“변화하는 고객 요구에 대응해 한계를 뛰어넘고 기술 새롭게 정의”
“인공지능은 멀티모달 방식으로 빠르게 발전 중… 삼성이 선두”
“손목 외에도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 제공… 성장 위해 도전할 것”
“여러분을 위한 최고의 경험이 펼쳐집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은 9일(현지시각) ‘갤럭시 언팩 2025’의 문을 이렇게 열었다. 노 사장은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갤럭시Z 폴드·플립7은 우리 혁신의 정점”이라며 “단순히 새로운 폴드·플립이 아닌 그 이상의 가치를 담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폴더블 제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며 “가장 강력하고 혁신적인 하드웨어로 바(bar) 타입의 휴대전화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겠다”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를 통해 신규 폴더블 스마트폰인 ‘갤럭시Z 폴드7’(Galaxy Z Fold7)와 ‘갤럭시Z 플립7’(Galaxy Z Flip7)를 공개했다. 또 ‘갤럭시 워치8′ 시리즈와 폴더블폰 첫 보급형 모델인 ‘갤럭시Z 플립7 팬에디션(FE)’도 선보였다.
노 사장은 이날 갤럭시 언팩 무대에 올라 “삼성은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사람을 중심으로 한 혁신을 주도해 왔다”라며 “매일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을 만들어 왔다”라는 말로 발표를 시작했다. 그는 “끝없이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니즈)에 대응하며 한계를 뛰어넘고 기술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며 삼성전자가 최초로 모바일에 적용한 슈퍼 아몰레드(AMOLED·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와 5G 연결, 카메라 성능 등을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Z 폴드7’ 커버 디스플레이로 너비 약 64.9㎜의 6.5형 다이내믹 아몰레드 2X를 적용했다. ‘갤럭시Z 플립7’에도 펼치면 보이는 메인 디스플레이에 6.9형 다이내믹 아몰레드 2X가 장착됐다. 이런 디스플레이에는 삼성전자의 ‘50년 개발’ 역사가 담겨있다는 게 노 사장의 설명이다.
노 사장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기술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라며 이제 모바일 기기가 인공지능(AI)을 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작년 삼성은 최초의 AI 스마트폰으로 새로운 모바일 시대를 열었다”라며 “이제 AI는 텍스트 기반의 프롬프트에서 멀티모달 형식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우리는 그 선두에서 모두를 위한 모바일 AI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Z 폴드7이 ‘진정한 멀티모달 AI 경험’을 제공한다고 했다. 멀티모달 AI는 텍스트·이미지·음성·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화면이나 카메라 공유 기능으로 텍스트 기반 검색 방식에서 벗어나 즉각적인 음성 답변을 얻을 수 있는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나 AI를 통해 생성된 결과를 볼 수 있는 ‘AI 결과 뷰’가 여기에 해당한다. 노 사장은 “갤럭시 AI는 여러분의 말을 행동으로 옮기고 최신형 카메라는 여러분을 보고 이해한 후 반응한다”고 소개했다.
노 사장은 삼성전자가 이런 기능을 구현한 건 “AI가 모두에게 의미 있고 친근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갤럭시 AI를 사람처럼 소통하는 AI 동반자로서 소통하고 창작하며 살아가는 방식을 한층 더 향상하겠다”는 것이다.
노 사장은 또 AI 성능만큼이나 보안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신뢰 없이는 혁신도 의미가 없으므로 갤럭시 AI는 개인정보보호를 최우선으로 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키고 있다”라며 “AI와 강력한 모바일 기술이 결합할 때 완전히 새로운 기회의 세상이 열리게 된다”라고 말했다.
그는 끝으로 “삼성전자는 손목 이외에도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들을 제공할 것”이라며 “여러분의 경험은 더 강력하고 역동적이며 직관적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장 큰 혁신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서비스가 성장을 위해 도전할 때 이뤄진다”라며 “우리는 이 도전을 기쁘게 받아들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공지능은 멀티모달 방식으로 빠르게 발전 중… 삼성이 선두”
“손목 외에도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 제공… 성장 위해 도전할 것”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 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갤럭시 언팩 중계 캡처
“여러분을 위한 최고의 경험이 펼쳐집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은 9일(현지시각) ‘갤럭시 언팩 2025’의 문을 이렇게 열었다. 노 사장은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갤럭시Z 폴드·플립7은 우리 혁신의 정점”이라며 “단순히 새로운 폴드·플립이 아닌 그 이상의 가치를 담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폴더블 제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며 “가장 강력하고 혁신적인 하드웨어로 바(bar) 타입의 휴대전화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겠다”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를 통해 신규 폴더블 스마트폰인 ‘갤럭시Z 폴드7’(Galaxy Z Fold7)와 ‘갤럭시Z 플립7’(Galaxy Z Flip7)를 공개했다. 또 ‘갤럭시 워치8′ 시리즈와 폴더블폰 첫 보급형 모델인 ‘갤럭시Z 플립7 팬에디션(FE)’도 선보였다.
노 사장은 이날 갤럭시 언팩 무대에 올라 “삼성은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사람을 중심으로 한 혁신을 주도해 왔다”라며 “매일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을 만들어 왔다”라는 말로 발표를 시작했다. 그는 “끝없이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니즈)에 대응하며 한계를 뛰어넘고 기술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며 삼성전자가 최초로 모바일에 적용한 슈퍼 아몰레드(AMOLED·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와 5G 연결, 카메라 성능 등을 강조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갤럭시Z 폴드7’ 커버 디스플레이로 너비 약 64.9㎜의 6.5형 다이내믹 아몰레드 2X를 적용했다. ‘갤럭시Z 플립7’에도 펼치면 보이는 메인 디스플레이에 6.9형 다이내믹 아몰레드 2X가 장착됐다. 이런 디스플레이에는 삼성전자의 ‘50년 개발’ 역사가 담겨있다는 게 노 사장의 설명이다.
노 사장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기술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라며 이제 모바일 기기가 인공지능(AI)을 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작년 삼성은 최초의 AI 스마트폰으로 새로운 모바일 시대를 열었다”라며 “이제 AI는 텍스트 기반의 프롬프트에서 멀티모달 형식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우리는 그 선두에서 모두를 위한 모바일 AI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Z 폴드7이 ‘진정한 멀티모달 AI 경험’을 제공한다고 했다. 멀티모달 AI는 텍스트·이미지·음성·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화면이나 카메라 공유 기능으로 텍스트 기반 검색 방식에서 벗어나 즉각적인 음성 답변을 얻을 수 있는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나 AI를 통해 생성된 결과를 볼 수 있는 ‘AI 결과 뷰’가 여기에 해당한다. 노 사장은 “갤럭시 AI는 여러분의 말을 행동으로 옮기고 최신형 카메라는 여러분을 보고 이해한 후 반응한다”고 소개했다.
/삼성전자 제공
노 사장은 삼성전자가 이런 기능을 구현한 건 “AI가 모두에게 의미 있고 친근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갤럭시 AI를 사람처럼 소통하는 AI 동반자로서 소통하고 창작하며 살아가는 방식을 한층 더 향상하겠다”는 것이다.
노 사장은 또 AI 성능만큼이나 보안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신뢰 없이는 혁신도 의미가 없으므로 갤럭시 AI는 개인정보보호를 최우선으로 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키고 있다”라며 “AI와 강력한 모바일 기술이 결합할 때 완전히 새로운 기회의 세상이 열리게 된다”라고 말했다.
그는 끝으로 “삼성전자는 손목 이외에도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들을 제공할 것”이라며 “여러분의 경험은 더 강력하고 역동적이며 직관적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장 큰 혁신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서비스가 성장을 위해 도전할 때 이뤄진다”라며 “우리는 이 도전을 기쁘게 받아들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