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A씨가 작성한 글. X캡쳐=연합뉴스

[서울경제]

일본에 거주 중인 한국인이 건물 창문에 몰린 파리 떼를 이상하게 여겨 경찰에 신고한 일이 온라인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달 5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X(엑스·옛 트위터)에는 “태어나서 처음으로 경찰서에 전화해 봤다”는 글과 함께 한 장의 사진이 게시됐다. 사진 속에는 일본의 한 맨션 창문에 수십 마리의 파리 떼가 다닥다닥 붙어있는 모습이 담겼다.

작성자 A씨는 길을 걷다 우연히 위를 올려다보다 이 장면을 목격했다. 이상한 낌새를 느낀 A씨는 즉시 관련 정보를 검색했고, 곧 이와 같은 현상이 고독사의 징후일 수 있다는 내용을 확인한 뒤 경찰에 신고했다.

며칠 뒤 A씨는 “역시 고독사였다”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는 댓글을 덧붙였다. 해당 게시글은 600만 회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관심을 받았다.

누리꾼들은 “보통은 그냥 지나쳤을 텐데 멋지다”, “관찰력이 없었다면 더 오랜 시간 방치됐을지도 모르겠다”며 놀라움과 안타까움을 동시에 전했다.

고독사는 현재 일본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일본 내 고독사 사망자는 2만 명을 넘었으며, 이 중 80% 이상이 60세 이상 고령층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망 후 한 달이 넘도록 발견되지 않은 사례만 7000건에 달한다.

한국 상황도 다르지 않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고독사 사망자는 2021년 3378명에서 2023년 3661명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 중 41.4%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경제적 취약계층이 고독사 위험에 더 크게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들은 고독사 방지를 위해 이웃 간의 관심을 호소하고 있다. 대표적인 징후로는 △우편물·전단지가 계속 쌓여 있는 경우 △현관 주변의 악취, 벌레·파리 몰림 △며칠 동안 불이 꺼지지 않거나 TV가 계속 켜져 있는 경우 △마른 빨래가 오랫동안 그대로 걸려 있는 경우 △공과금 연체, 술병 등 쓰레기 더미의 방치 등을 꼽는다.

“창문에 파리 떼가…” 이상한 낌새에 신고했더니, 고독사였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738 [속보] 尹 구속 취소 4개월 만에 다시 수감 "증거 인멸 염려"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37 특검에 무너진 특검 수사팀장…계엄→구속→탄핵→석방→재구속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36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4개월 만에 재구속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35 尹, 4개월만에 내란특검에 재구속…법원 "증거인멸 염려"(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34 尹 재수감되는 3.7평 독방…에어컨 없고 천장에 소형 선풍기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33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 “50년간 ‘사람 중심’ 기술 개발… 갤Z폴드·플립7은 혁신의 정점”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32 구속심사 마친 윤석열, 주머니에 손 찔러 넣은 채 구치소로 [포토]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31 尹 머그샷 찍고 '3평 독방' 입소…경호도 중단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30 다시 구속된 윤석열…특검, 외환 등 여죄 수사 탄력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29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증거인멸 염려”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28 [속보] 尹 124일 만에 재구속, 수감…조은석 속도전 통했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27 당신의 진단명은 무엇인가요 [뉴스룸에서]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26 김성훈·강의구 바뀐 진술이 결정적…尹 재구속에 외환 혐의 수사도 ‘속도’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25 尹, 재구속....구속 취소 4개월 만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24 [속보] 尹, 재구속....구속 취소 4개월 만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23 [2보] 尹, 내란특검에 재구속…법원 "증거인멸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22 테슬라 낙관론자마저 정치 행보 우려하는데… 머스크 “입 닫아”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21 “수박 못 먹겠네” 장마 끝나니 불볕 더위에 여름채소 가격 ‘꿈틀’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20 은행권 가계대출 6.2兆 늘어… 한은 “8월까지 증가세 지속” new 랭크뉴스 2025.07.10
53719 트럼프의 ‘편지 사랑’… 군주적 격식 즐기는 성향 때문 new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