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통일부 "송환계획에 동의 답변 없었다…유엔사 통해 소통은 이뤄져"
남북 조율 없이도 조기송환 전례…"리더십 공백 영향" 지적도


북으로 돌아가는 북한 주민 선박
(서울=연합뉴스) 북한 주민들은 태운 선박이 9일 동해상에서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3월과 5월에 각각 서해와 동해 북방한계선(NLL) 이남에서 구조한 북한 주민 6명을 9일 동해상에서 송환했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 주민들을 태운 선박은 오전 8시 56분께 동해 NLL을 넘었고, 9시 24분께 북한 경비정과 만났다. 2025.7.9 [통일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박수윤 기자 = 정부가 지난 3·5월 해상에서 구조한 북한 주민들을 돌려보내기까지 길게는 넉 달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

정부는 지난 5월 동해상에서 구조한 주민 4명이 타고 있던 목선에 이들 4명과 앞서 3월 7일 서해상에서 구조한 2명까지 태워 9일 오전 동해 북방한계선(NLL) 너머로 송환했다.

이들 북한 주민 6명은 정부의 초기 조사 때부터 귀순 의사가 없었고 북한으로 귀환을 강력히 희망했다고 한다.

이들의 귀환 의사는 우리 정부 조사뿐만 아니라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중립국감독위원회의 면담에서도 확인됐다.

2010년부터 최근까지 우리 군이나 해양경찰이 구조한 북한 주민 중 귀순 의사가 없어 북한으로 돌아간 사례 47건을 보면 빠르면 당일, 길어도 한 달 남짓 후에는 송환이 이뤄졌다. 타고 온 선박의 상태 등에 따라 해상 또는 판문점을 통해 북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번에는 4개월이 넘게 걸린 것이다. 2010년 이후로는 귀환 의사가 있는 북한 주민이 남측에 체류한 기간으로는 최장이다

정부는 이들의 의사에 따라 안전하고 조속한 송환을 추진했으나 악화한 남북관계와 북한의 무호응으로 인해 과거에 비해 시간이 더 걸렸다.

북한은 2023년 4월 7일 남북 연락채널을 일방적으로 단절한 후 남측의 통화 시도에 전혀 응하지 않고 있으며, 2023년 12월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선언한 후 대남 무시 전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번 송환에서도 유엔사는 북한 주민 신병 확보와 송환 방침에 대해 지속해서 통보했으며 지난주와 이번 주에 구체적인 송환 계획도 전달했지만 북한은 끝까지 의미 있는 답변을 하지는 않았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송환 완료 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의 송환 계획이 유엔사 연락채널(핑크폰)을 통해 북측에 전달은 됐다"면서도 "우리가 원하는 답은 송환 계획에 '동의하고 데려가겠다'인데 북한이 그에 관해 답을 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면서도 북한이 유엔사의 송환 일시·장소 통지에 관해 어느 정도 소통이 이뤄졌다고 볼 수는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이러한 평가에 따라 북측이 선박 인계 장소에 나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송환 계획 통지 사실을 사전에 언론 등을 통해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부 "북 주민 6명 오늘 동해상 송환…NLL 넘어 북 경비정과 만나"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이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표류 북한 주민 6명 동해상 송환과 관련해 브리핑하고 있다. 2025.7.9 [email protected]


지난 2017년 남북의 사전 협의 없이 북한 선박을 해상 송환했을 당시에는 북한이 유엔사의 연락도 받지 않아 우리 군은 판문점에서 확성기를 통해 송환 계획을 알리고, 언론을 통해서도 공개한 바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과거 대비 송환에 장시간이 걸린 데 대해 "남북 간 원활하게 연락되고 소통됐다면 이보다는 훨씬 부드럽고 조속하게 문제가 해결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남북관계가 단절돼 북한의 응답이 없었던 문재인 정부 초기에도 조기에 송환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정부가 탄핵과 대선으로 이어지는 리더십 공백으로 제때 결단을 내리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

북으로 돌아가는 북한 주민 선박
(서울=연합뉴스) 북한 주민들은 태운 선박이 9일 동해상에서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3월과 5월에 각각 서해와 동해 북방한계선(NLL) 이남에서 구조한 북한 주민 6명을 9일 동해상에서 송환했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 주민들을 태운 선박은 오전 8시 56분께 동해 NLL을 넘었고, 9시 24분께 북한 경비정과 만났다. 2025.7.9 [통일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563 2000명 온다더니 300명…“윤석열 어게인” 북 치며 욕설집회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62 이재명 압박한 깐깐한 면접관...'권사인 볼트' 권혁기의 과거 [이재명의 사람들]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61 '박정훈 표적 수사 의혹' 국방부 검찰단장 직무 정지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60 옥죄어오는 특검 수사에 긴급의총 연 국민의힘 “조은석 특검에 경고한다”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59 이재용은 선밸리로, 최태원은 구글 캠프로…총수들의 뜨거운 여름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58 경고 다음날 SNS 반박글 '결정타'…이 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참석 제외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57 ‘김건희 집사’ 4월 도피성 출국...특검, 여권 무효화·수사 착수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56 "요즘 '아아' 없으면 못 사는데"…카페·편의점 식용얼음 일부서 '세균 초과'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55 “지구 최대 화성 운석, 뉴욕 경매에 출품”…예상 낙찰가는 55억원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54 노동장관 후보자 "주 4.5일제 임금감소 없이 가능"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53 "북에서 인권침해 당했다"며 김정은 상대 민·형사 소송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52 [단독] 패션 플랫폼 ‘원톱’ 무신사 IPO 시동…"목표 기업가치 10조" [시그널]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51 이재용 '억만장자 여름캠프' 간다…한국인 유일하게 초대된 이 행사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50 'wjd도'? 트라우마 떠오른다‥'표절 의혹' 이진숙 대위기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49 "교제중 다른 여성과 성관계" 사생활 폭로…'나솔' 출연자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48 "이진숙 오지 마" 결국 강퇴‥포용해도 '선 넘자' 단칼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47 김건희특검, 윤상현에 尹부부 업무방해 공범…정진석 피의자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46 폭염에 온열질환자 하루 200명 넘어…2018년 이후 처음(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45 이진숙, 국무회의 배석 제외에 "아쉽다"…사퇴 요구는 일축(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44 에어컨 무조건 26도 맞췄다간 큰코…'전기료 폭탄' 피하는 꿀팁 new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