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크모어

Menu

랭크뉴스 › 주 4.5일제·정년 연장 놓고 현대차 노조 ‘세대 차’

랭크뉴스 | 2025.07.09 07:22:03 |
젊은 생산직 “범사회적 과제, 왜 앞장서나”

현대차의 올해 임금·단체협약(임단협)에서 주 4.5일제 도입과 정년 연장이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이를 두고 노동조합 내에서도 세대별로 입장이 나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젊은 생산직들은 범사회적 과제보다는 현대차 근로자에게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구에 화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반면 노조 주류인 기성세대는 2000년대 초반 주 5일제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현대차가 노동 환경 개선을 견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달 18일 상견례를 갖고 올해 임단협에 돌입했다. 노조의 올해 요구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 ▲전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900% 지급 ▲주 4.5일제 ▲정년 연장 ▲퇴직금 누진제 ▲통상임금 위로금 2000만원 지급 등이다. 현재까지 총 7차례 교섭을 실시했는데, 노사 간 입장 차이만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26일 오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열린 올해 임단협 출정식에서 노조 조합원들이 손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연합뉴스

이번 협상의 최대 쟁점은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와 정년 연장이다. 현대차 노조는 주 5일제를 유지하되, 금요일에는 4시간만 근무해 주당 총근로시간을 40시간에서 36시간으로 단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만 60세인 정년도 64세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만 61세부터 촉탁계약직 신분으로 2년 더 근무하는 숙련재고용 제도가 있지만, 고용 안정성이 낮고 임의적이라 아예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쟁점에 대해 현대차 노조 내 일부 젊은 층은 노조의 전체 입장과 다른 생각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주 4.5일제와 정년 연장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범사회적 과제가 아닌 현대차 근로자에게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쟁점에 에너지를 쏟아야 한다는 것이다.

직장인 온라인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서 자신이 현대차 젊은 생산직이라고 밝힌 이는 “정년 연장, 주 4.5일제는 정부 추진 과제라 기다리면 될 텐데, 왜 선봉에 서는지 이해가 안 된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주 4.5일제와 65세 정년 연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었다.

현대차 노조 기성세대는 새 정부 공약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노동 환경 개선에 앞장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노사 임단협은 그동안 국내 산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2003년 주 5일제 도입을 위해 장기간 파업했고, 결국 합의를 끌어냈다. 현대차 이후 금속노조 산하 40개 자동차 부품업체와 3400여 부품 협력업체도 주 5일제를 순차적으로 도입했다.

이번 임단협을 둘러싼 일부 젊은 생산직의 불만은 현대차 노조의 위세가 예전 같지 않다는 점을 방증한다. 최근 현대차가 발간한 ‘2025 지속 가능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노조 가입자 수는 3만9662명으로 집계돼 처음 4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전체 직원 중 노조 가입자 역시 5년 전 70.7%에서 52.3%로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의 젊은 생산직은 연고지가 다양하고 정치적 성향도 제각각”이라며 “옛날처럼 전 세대 조합원이 노조 깃발 아래 단결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목록

랭크뉴스 [53,547]

6 / 2678

랭크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