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에서 주제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무기 장사’ 소리는 안 듣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해 뛰어보겠다.”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제1회 방위산업(방산)의 날 비공개 토론회에 참석해 이렇게 말했다. 이처럼 이 대통령은 ‘K-방산’ 세일즈에 직접 앞장서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6~18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과 관련해서도 “우리 방산의 우수성을 알리고, 잠수함 사달라고 부탁하러 간 이유가 크다”고 말했다고 한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기간 잠수함 도입 사업을 추진 중인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방산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네덜란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지난달 24~25일)와 관련해서도 “참석하려고 했던 건 우리 방산과 무기를 홍보하려 했던 이유가 가장 컸다”고 말했다. 결국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대참했는데, 위 실장은 나토의 방위비 ‘2%→5%’ 증액과 관련해 “이러한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국가는 많지 않다. 한국은 그 중 하나”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대통령은 그만큼 방산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고 참석자들은 말했다. 이 대통령은 공개된 토론회의 모두발언에서도 “방위산업이 대한민국의 안보를 튼튼하게 할 뿐 아니라 나아가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산업의 하나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며 “정부도 지금까지 그랬듯 큰 노력을 기울여 투자와 지원을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한화오션 등 방산 기업 대표 100여명을 비롯해 방산 관련 연구소와 정부 관계자 등 총 140여명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의 방산에 대한 관심이 반영돼 규모가 커진 것이라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왼쪽)과 김현종 국가안보실 1차장이 8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방산의 날은 윤석열 정부 때인 2023년 제정된 국가기념일이다.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때 거북선을 처음으로 출전시켜 승리한 날로 지정했다. 업계는 정부가 바뀌면서 윤석열 정부의 유산인 방산의 날이 1회부터 쪼그라들까 걱정이 컸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오히려 잘 됐다. 그 날 방산 지원의 뜻을 강조하겠다”는 취지로 참모들에게 말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당초 방산의 날 기념식에 초대받았지만 이날 열린 국무회의 시간과 겹쳐 참석하기 힘들었다. 대통령실 참모들은 현장의 얘기를 듣는 토론회로 방식을 바꿔 이 대통령 참석 시간을 더 늘렸다. 이재명 정부가 대북 확성기 중단 등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면서도 안보와 방산 또한 놓지 않는다는 정책 균형의 메시지를 주기 위해서라고 한다.

토론회에선 방산 업계의 다양한 건의가 나왔다. 한 방산 기업 대표는 “방산 기술에도 인공지능(AI) 활용이 중요한데 국방 데이터 활용이 힘들다”는 점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정보 공개도 중요하고, 국방 데이터 통합 관리 체계 마련도 시급하다”고 건의했다고 한다. 또 “지속가능한 방산을 위해서는 적정한 수준의 국내 물량 확보가 필요한데, 정부의 일정 수준 이상의 국방 발주 물량이 도움된다”, “방위사업청이 아닌 방위산업청 수준으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등의 건의도 나왔다.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에서 관련 영상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 “방산, 그리고 무기 수출은 기업 간 경쟁이 아닌 국가 간 경쟁이다. ‘원팀 코리아’로 승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토론회에 앞서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방산 4대 강국이라는 목표 달성을 이끌 방산 육성 컨트롤타워를 신설하고 ‘방산수출진흥전략회의’ 정례화도 검토해달라”고 지시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357 트럼프 "조만간 구리에 50% 관세" 발표에 구리 가격 사상 최고로 급등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56 한국은 '부자'...트럼프, "주한미군 방위비 9배 높여야"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55 삼성 갤럭시 ‘폴드7·플립7’, 오늘밤 전세계 첫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54 밤낮없는 무더위 지속…서울·대전·광주 낮 36도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53 '재벌가 며느리' 노현정 아나운서...남편 근황에 '충격'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52 금융 당국, 방시혁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 검찰 고발 방침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51 40도 넘긴 7월 초 '역대급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 최고치 경신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50 스테이블코인의 역습...투자판·정책 다 바꿨다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49 트럼프 ‘구리 50% 관세’ 발표에 구리 가격 1989년 이후 최대폭 급등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48 [팩트체크] 자녀 이름 몇 자까지 가능할까…이름의 변천사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47 윤석열 전 대통령 보좌한 '빅 4' 국무위원 운명은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46 "계엄 항명 안 한 것 후회"‥여인형의 '참회록'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45 윤석열 전 대통령 오늘 구속심사…“무관용 대응” 경찰 2천 명 투입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44 이제 美 공항에서 신발 안 벗어도 된다… “검사 의무 19년 만에 철폐”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43 서울대 문화관 새 단장… 이주용·최기주 부부 100억 원 기부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42 시간당 47.5㎜ 퍼부은 평택 청북…주상복합 건물서 '물난리'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41 “SK하이닉스 덕분에” 국민연금 주식평가액 2분기 35조원 폭등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40 [중견기업 해부] “IP 키운다더니”…3년 지나도 블핑 뿐인 양현석의 YG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39 ‘슬리퍼 활보’의 최후는?···윤석열, 오늘 구속영장 심사 new 랭크뉴스 2025.07.09
53338 삼성전자, 2분기 실적 부진에도… 증권가 “일회성 비용 해소, 하반기 이후 실적 개선 기대” new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