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올해 상반기 2030 세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이 10년 이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경기 불황과 카셰어링 문화 확산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고령화로 인해 늦게까지 일터로 나가게 된 6070 세대의 점유율은 크게 올랐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는 올해 상반기 20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개인 자가용 기준)는 2만9066대로 전체 승용 신차 등록 대수(51만1848대)의 5.7%에 그쳤다고 8일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20대 신차 등록 점유율은 2016년 8.8%에 달했지만 매년 하락하다 2022년 7.8%까지 떨어졌다. 지난해에는 6.7%까지 추락했다. 추세로 살펴볼 때 2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10년 이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올해 상반기 30대 승용 신차 등록 대수는 9만9611대 점유율은 19.5%로 나타났다. 2016년에는 25.9%에 달했지만 10년 새 6.4% 포인트 하락했다. 30대 신차 등록 점유율이 처음으로 20% 아래로 떨어질 수도 있다는 말도 나온다.
반면 6070 세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와 점유율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상반기 60대 신차 등록 대수는 9만2123대로 전체연령대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18.0%다. 70대는 2만310대로 점유율은 4.5%다.
60대 신차 등록 점유율은 10년 전인 2016년 9.6% 불과했지만 매년 증가하다 올해 상반기에는 2배 가까운 18.0%까지 껑충 뛰어올랐다. 2016년 2.8%였던 7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도 매년 증가하다 올해 상반기 4%대 중반을 기록했다.
2030 세대의 신차 구매가 줄어든 배경으로는 공유문화 확산과 경기 침체가 꼽힌다. 6070대의 경우 고령화에 따라 경제활동이 이어지면서 차량 수요가 계속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