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에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4조원대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다. 사진은 8일 서울 강남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연합뉴스]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1년 새 절반 이하로 꺾였다. 전날 LG전자에 이어 삼성의 실적마저 반토막 나면서, 한국 전자·반도체 산업에 드리운 중국의 그림자가 재확인됐다.
8일 삼성전자는 지난 2분기 매출 74조원에 영업이익 4조6000억원을 올렸다는 잠정실적을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0.09
잠정실적 공시에서는 사업부 매출 등 세부 내용을 밝히지 않는다. 다만 업계에서는 삼성전자 DS(반도체) 부문 3개 사업부 중 파운드리(위탁생산)와 시스템LSI(설계) 사업의 적자가 지속하고, 메모리사업부도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 제품에서 뚜렷한 실적 개선을 이루지 못한 영향으로 본다. 2분기는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효과가 사그라지는 MX(모바일경험)사업부의 비수기이고, TV와 가전 사업도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 등으로 수요가 위축된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실적 부진에 대해 이례적으로 설명문을 내고 ‘반도체 부문 이익 하락은 재고 충당 및 첨단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대(對)중국 제재 영향’이라고 밝혔다. 구형 HBM 재고를 다 판매하지 못할 수 있어 이를 평가손실로 반영한 탓에 실적이 나빠졌고,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제재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등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에 제약이 있었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하반기에 반도체가 팔려나가 재고가 소진되면 실적이 반등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재민 기자
미·중 첨단기술 경쟁 국면에서 중국은 한국 전자산업에 복합적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삼성 반도체는 ‘수출 시장으로서 중국’의 격변으로 타격이 크다. 미국이 올해 1월부터 중국으로의 모든 HBM 수출을 막자 삼성 구형 HBM 수출이 급감했다. AI 칩 시장 지배자인 엔비디아의 주력 공급망에 포함되지 못한 상태에서 중국 수출 문마저 좁아진 거다.
삼성 파운드리도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다. 삼성은 2019년 바이두의 첨단 AI 칩 생산을 수주하는 등 중국에서 파운드리 일감을 챙겨 왔다. 그런데 미국의 제재 강화로 이 길이 좁아졌는데 미국 빅테크 고객은 대만 TSMC가 독식하는 상황이라 삼성 파운드리 가동률 저하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이날 삼성전자 이사회는 3조9119억원어치 자사주 매입을 의결했다. 이 중 1조1000억원은 임직원 상여 지급 등 주식 보상 목적이고, 나머지는 주주가치 제고 목적으로 소각할 계획이다. 지난해 11월 ‘10조원 규모 자사주 분할 매입’을 의결한 데 따른 것이다.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전날보다 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