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30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뉴시스


여권 내부에서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진숙 회의론'이 확산하고 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표절 정황에 더해 자녀 조기유학, 평화의 소녀상 철거 요구 등 각종 의혹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커지자 여권도 당혹한 분위기가 역력하다. 특히 여권이 김건희 여사의 논문 표절을 강하게 문제 삼았던 만큼, 교육 수장의 논문 관련 논란은 방어가 쉽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이재명 대통령 강성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지명 철회" 요구가 빗발치는 것도 부담이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이 8일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주진우 의원 페이스북


"내각 후보 중 가장 취약"



민주당은 후보자를 낙마시킬 만한 "치명적 한 방은 나오지 않았다"거나, "좀 더 여론을 지켜보겠다"며 엄호에 주력하고 있다. 여당 교육위원회 소속 한 의원은 8일 "이 후보자를 둘러싼 우려들이 있지만 설명을 들으면 수긍되는 면이 있다"며 "아직은 치명적인 약점은 없는 것 같아 여러 의혹들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했다. 교육위 다른 의원도 "법에서 크게 벗어난 부분은 없어 보이는데 정도를 벗어난 부분도 있는 것 같다"며 "문제 될 부분을 검토하는 중"이라고 했다.

다만 자고 나면 새로운 의혹이 나오는 상황에서 내부적으로 "방어가 쉽지 않다"는 견해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이 후보자가 제자의 학위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을 '폭탄'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여론이 가장 예민하게 여기는 공정 이슈를 정면으로 건드릴 수 있는 문제"라고 했다.

민주당에선 "내각 후보자 가운데 가장 취약한 후보", "이런 후보자를 어떻게 방어하라고 던져준 거냐", "교수로서는 몰라도 공직자로서 자기 관리는 부족했던 것 같다"며 부글부글해하는 분위기도 엿보인다. 민주당 교육위원회 일부 의원이 이 후보자와 만나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한 사과를 제안한 배경이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이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7회국회(임시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교육위는 오는 16일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뉴스1


특히 논문 표절을 엄중히 보고 있다. 민주당은 2014년 박근혜 정부 당시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논문 표절·중복 게재 등을 집중 제기해 낙마를 이끌어냈다. 이 후보자를 과하게 옹호할 경우 '내로남불'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

이 후보자가 '진보 정부' 정체성과 걸맞지 않다는 평가도 걸림돌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4대강 사업과 연결된 국가건축정책위원회에서 민간위원으로 활동했는데, 민간위원 중 4년 동안 활동한 사람은 이 후보자가 유일하다는 점에서 진보 진영의 비판이 적지 않았다. 2022년 충남대 학생들을 중심으로 추진된 교내 평화의 소녀상(위안부 피해자 상징) 설치를 두고 철거를 경고해 내부 반발이 커진 것을 두고도 논란이 일었다.

교육계 반발이 확산되는 것도 부담이다. 사회대개혁지식네트워크 등 7개 교수 단체는 "도덕성과 전문성, 시대적 통찰력이 모두 부족하다는 점에서 지명 철회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진보성향 교육단체인 교육대개혁국민운동본부도 "보통교육에 관심을 갖거나 개혁의 필요성을 언급한 적도 없는 대학 총장 출신 인사를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한 데 대해 허탈감을 금치 못하고 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던 중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여권서도 "진지하게 검토해야"



이재명 대통령 지지층 분위기도 심상치 않다. 이 대통령 팬카페인 '재명이네 마을'에는 최근 "이 지명자 임명을 진지하게 검토하길 정중하게 부탁드린다"는 글이 올라왔다. "청문회까지 가기 전에 스스로 거취를 정리하는 게 맞다" 등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당원주권주의를 강조해온 이 대통령과 민주당 입장에선 이 같은 강성 지지층의 비토 여론은 부담일 수밖에 없다.

이에 민주당도 '여론이 진정되지 않으면 낙마할 수 있다'는 기류로 점차 바뀌는 모습이다. 이 후보자는 정권 교체에 크게 기여했거나 민주당과 코드가 맞는 인물이 아니라 정치적 부담도 덜하다. 이 후보자는 '여성 인재 발굴'과 '충청 지역 배려' 차원에서 낙점된 것으로 전해졌다. 16일로 예정된 인사청문회에서 이 후보자의 사과와 해명 기회를 본 후 후속조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286 김병기 "이 대통령 공소 취소돼야... 검찰, 잘못 인정하는 게 용기" 랭크뉴스 2025.07.09
53285 트럼프 "한국, 자국 방위비 부담해야…美에 너무 적게 지불"(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9
53284 나서는 곳 없나? 홈플러스 “인수, ‘전세’ 끼고 1조원 미만도 가능” 랭크뉴스 2025.07.09
53283 "포켓몬 카드 빨리 사려고 새치기 했다가"…사소한 말다툼이 결국 흉기 난투극으로 랭크뉴스 2025.07.09
53282 트럼프 "한국, 우리에게 군사 비용 너무 적게 지불" 랭크뉴스 2025.07.09
53281 트럼프 "머스크 신당 걱정 안해…제3정당은 늘 내게 도움 됐다" 랭크뉴스 2025.07.09
53280 서울 37.8도 ‘이글이글’… 1907년 이후 최악 폭염 랭크뉴스 2025.07.09
53279 美국무 "아르메니아-아제르 평화협정 조속 체결 기대" 랭크뉴스 2025.07.09
53278 트럼프 “반도체·의약품 관세 곧 발표…구리 관세는 50%” 랭크뉴스 2025.07.09
53277 [단독] 주담대 한도 ‘발등에 불’… 보험사, 6·27 대책 잘못 적용해 혼선 랭크뉴스 2025.07.09
53276 [속보] 트럼프 “한국, 자국 방위비 부담해야…구리 관세는 50%” 랭크뉴스 2025.07.09
53275 [속보] 트럼프 “한국, 자국 방위비 부담해야…반도체관세 매우 곧 발표할 것” 랭크뉴스 2025.07.09
53274 "층간 소음, 이 지경까지"…'쿵쿵' 소리에 내려갔더니, 펄펄 끓는 식용유 부은 이웃 랭크뉴스 2025.07.09
53273 브라질·인도 "교역 3배 확대"…美관세 위협 속 경협강화 모색 랭크뉴스 2025.07.09
53272 "울고 보채서" 11개월 딸 살해 후 베란다에 시신 6개월 방치한 父, 징역 13년 랭크뉴스 2025.07.09
53271 美, 북한 IT노동자 위장취업 도운 北·러의 개인·기업들 제재 랭크뉴스 2025.07.09
53270 이건희 회장의 이태원 집, 228억에 팔렸다 랭크뉴스 2025.07.09
53269 트럼프 "반도체 관세 곧 발표할 것…50% 구리 관세 오늘 발표" 랭크뉴스 2025.07.09
53268 "기억상실에 '여친' 존재 잊었는데 어떻게?"…'전 여친'과 또 사랑에 빠진 남성 랭크뉴스 2025.07.09
53267 삼성전자 영업이익 56% 뚝…“대중제재 영향” 이례적 설명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