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상호관세 서한 발송·데드라인 연기…정책 널뛰기에 불확실성 계속
'단기적 진전' 일각 평가에도 재계·학계서는 장기적 효용에 물음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한국 등 14개국에 상호관세 서한을 발송하면서 '관세전쟁'에 다시금 불을 붙였다.

최근 굵직한 현안을 잇달아 처리한 트럼프 대통령이 여세를 몰아 취임 첫 달부터 밀어붙인 경제 정책에 재차 속도를 내는 것으로, 거듭된 정책 널뛰기에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무역전쟁을 다시 자신의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면서 "무역에 대한 강조는 지난 2주간 트럼프가 세금 및 국내 정책 관련 대형 법안에 서명하고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 중재를 돕는 등 큰 승리에 이어 나온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스라엘-이란 휴전에 이어 주요 국정 의제가 담긴 감세법안이 의회에서 최종 통과되자 그 기세를 몰아 중요 통상국에 관세 서한을 보내며 압박에 나섰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25∼40%의 상호관세율을 제시하면서 이를 8월 1일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협상 마무리 시점으로 제시한 7월 9일을 넘겨 3주간 더 협상하면서 상대국에 대한 압박에 나서겠다는 뜻이라는 게 대체적 분석이다.

트럼프 1기 정부에서 상무부 장관을 지낸 윌버 로스는 이를 '판돈'을 올린 조치로 보면서 "사실상 그(트럼프)가 한 일은 (다른 나라들이) 다른 조처를 하지 않으면 관세가 이렇게 부과될 것이라고 말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미국 일각에서도 무역장벽 완화를 환영하면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계속해서 높은 관세를 압박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반대하고 있다.

미 대기업을 대표하는 전미무역위원회(NFTC)의 제이크 콜빈 회장은 "대통령의 전략적 불확실성은 어느 정도 단기적 성과를 내고 있지만, 계속해서 엄청난 관세율을 위협하는 것은 비즈니스 의사 결정을 마비시키고 동맹국 및 주요 무역 파트너와의 신뢰를 약화할 뿐"이라고 말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도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전쟁을 되살렸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경제학자들이 협상 시한 연장이 기업과 소비자들이 수개월간 씨름해 온 불확실성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잦은 정책 변화로 많은 기업이 채용과 투자 계획을 보류하고 있는데 혼란이 더 가중됐다는 것이다.

웰스파고 이코노미스트 사라 하우스는 "전반적으로 우리는 여전히 이 상황을 불확실성의 장기화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한 들고 있는 백악관 대변인
[AFP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미 CNN 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에 있어 단기적으로는 진전을 이뤘다고 진단했다.

관세 정책의 목표를 ▲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 회복 ▲ 미국 내 수익 증대 ▲ 무역 수지 균형 ▲ 미국에 이익이 되는 정책을 수립하도록 외국 압박하기 등 크게 4가지로 봤을 때 목표마다 일정 부분 성과가 있었다는 것이다.

CNN은 일부 기업이 비싼 관세를 이유로 미국 공장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고, 매달 수백억달러의 관세 수입이 정부로 들어오고, 무역 적자도 4월에 전달 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고, 관세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자극하지 않고 있는 상황을 성과로 봤다.

다만, 경제학자들과 재계 리더들은 관세가 미국 공장의 대규모 호황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CNN은 전했다.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감세법안에 서명함으로써 초래되는 막대한 재정 적자에 비하면 관세 수입은 미미한 수준이며, 관세가 외국에서 미국 제품에 대한 수요를 극적으로 끌어올리지도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374 “주식 투자로 생활비”…배당소득 분리과세 시행될까?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7.09
53373 LH, 이틀 연속 근로자 체감온도 35℃ 이상이면 외부 작업 전면 중단 랭크뉴스 2025.07.09
53372 “노후대책보다 시세 차익?” 집값 상승에 주택연금 외면 랭크뉴스 2025.07.09
53371 ‘탈석탄’ 외치고 500조원 투자 [ESG 뉴스 5] 랭크뉴스 2025.07.09
53370 이 대통령, 오늘 종교계 오찬···불교·천주교·개신교·원불교 등 랭크뉴스 2025.07.09
53369 [단독] "尹 진짜 나쁜 사람이네" 김용태가 혀 찬 '尹탈당' 비하인드 [강찬호의 뉴스메이커] 랭크뉴스 2025.07.09
53368 박은정 "윤석열·김건희 동시 구속 수사해야"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9
53367 [속보]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윤희숙·전대 선관위원장 황우여 랭크뉴스 2025.07.09
53366 우크라포럼 실체는…특검, 삼부토건 가세·주가조작 연관 추적 랭크뉴스 2025.07.09
53365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 일본 전략에 허 찔린 한국 랭크뉴스 2025.07.09
53364 [속보] 국힘 새 혁신위원장에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랭크뉴스 2025.07.09
53363 [속보]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에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임명 랭크뉴스 2025.07.09
53362 경찰, 尹 구속 심사 앞두고 서울구치소 주변 경력 배치 랭크뉴스 2025.07.09
53361 박은정 "내란특별법, 당명 바꾸면 국고보조금은‥" [모닝콜] 랭크뉴스 2025.07.09
53360 6·27 규제에 집주인도 세입자도 "월세로"…'전세의 월세화' 가속 [집슐랭] 랭크뉴스 2025.07.09
53359 21일부터 신청 받는 ‘전국민 소비쿠폰’, 이것이 궁금해![점선면] 랭크뉴스 2025.07.09
53358 ‘주담대 6억’ 초강력 부동산 규제…오피스텔로 눈 돌리나?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7.09
53357 트럼프 "조만간 구리에 50% 관세" 발표에 구리 가격 사상 최고로 급등 랭크뉴스 2025.07.09
53356 한국은 '부자'...트럼프, "주한미군 방위비 9배 높여야" 랭크뉴스 2025.07.09
53355 삼성 갤럭시 ‘폴드7·플립7’, 오늘밤 전세계 첫 공개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