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서한에 경제·안보 라인 투입 총력 대응
'시간에 쫓기듯 협상에 임하지 말자' 기류도
"한미 정상회담 가능한 한 빨리 개최해야"
협상 결과가 새 정부 초기 국정 동력 가늠자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린 제1회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낸 '관세 청구서'가 이재명 대통령에게 도착했다. 내달 1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25%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인데, 만약 이대로 실현된다면 자동차와 철강 등 주력 산업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3주라는 유예 기간 동안 다른 나라들보다 유리한 협상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새 정부의 관건이다. 이를 위해선 한미 정상회담의 조속한 성사 여부도 과제다.

대통령실은 이날 경제·안보 라인을 투입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관계부처 대책 회의를 소집해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7월 말까지 대응 시간을 확보했다"며 긍정적인 면에 주목한 뒤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 이어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면밀한 점검 △관세 부과 시 직격탄을 맞게 될 자동차 철강 등 국내 관련 업종에 대한 지원 대책의 차질 없는 이행을 주문했다. 대미국 무역 의존도를 줄이는 시장 다변화 등 수출대책 보강
도 지시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관세 협상에 대해 협의했다.
위 실장은 "양국이 동맹 정신에 기초해 큰 틀에서 동맹을 더욱 강력하게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협의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
했다.
루비오 장관은 "한국을 포함해 주요국 대상 관세 서한이 오늘 발송됐으나 실제 관세 부과 시점인 8월 1일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양국이 그 전까지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길 바란다"고 답했다.


특히 한미 양국은 조선 분야 협력과 관련해 "정부, 업계 등 다양한 영역의 역량을 결집하는 것이 이 분야에서 실질적이고 상호 호혜적인 협력 방안 도출에 있어 관건"이라며 긴밀한 조율을 강조했다. 관세 협상 또는 한미 정상회담 성사 과정에 조선 협력이 카드로 사용될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김 실장은 위 실장이 귀국하는 대로 정책실과 국가안보실 간 공동회의를 열고 상황을 재점검할 예정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이 7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한미 안보실장 협의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쫓기듯 협상에 임하지 말자' 대통령실 기류



다만
여권에선 '시간에 쫓기듯 협상에 임하지 말자'는 기류도 감
된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는 자국 정치 상황에서 비롯한 것인 만큼 추가 유예 등 언제든 상황이 바뀔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무역 장벽을 높이면 미국 내 소비자 물가도 올라 협상이 장기화할수록 미국 정부의 부담도 커진다. 김 실장도 이날 회의에서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고 강조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7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브리핑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한을 들어 보이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


"한미 정상회담 가능한 한 빨리"



관건은 3주 후 협상 성과물이다.
미국과 관세 협상을 벌이는 다른 나라들과 '상대 평가'가 될 수밖에 없다. 출범 한 달 남짓한 이재명 정부의 초반 국정 동력과 직결되는 부분이다.
관세 협상 종료를 앞두고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서두르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위 실장은 루비오 장관과의 면담에서 "조속한 시일 내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통해 제반 현안에서 상호 호혜적인 결과를 진전시켜 나가길 희망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대통령실은 미국 측이 공감한다고 밝힌 보도자료를 배포했으나, 미 국무부는 관련 입장을 내지는 않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8월 초 이전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 "특정 시점을 염두에 두고 있지는 않다"면서도 "한미 정상회담은 가능한 한 빨리 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있다"고 전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205 [단독]채 상병 특검, 국방부에 김동혁 검찰단장 직무배제 요청 new 랭크뉴스 2025.07.08
53204 김태효 11일 직권남용 피의자 소환…‘VIP 격노설’ 실체 밝혀질까 new 랭크뉴스 2025.07.08
53203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협상 중에도…가자지구서 105명 숨져 new 랭크뉴스 2025.07.08
53202 "부산 시민은 25만 원 필요 없다" 박수영에…국힘 조경태가 한 말 new 랭크뉴스 2025.07.08
53201 특검, 尹 부부 공천개입 '퍼즐 맞추기' 나서... 명태균 의혹 전방위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5.07.08
53200 "이 날씨에 에어컨 껐다"…예산 아끼려던 초등학교, 하루 만에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99 13층 상가건물 추락 사고 사망자 3명으로…행인 모녀 숨져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98 서울 117년 만에 가장 더웠던 7월...전력 수요는 이틀 연속 최고치 경신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97 7월 초에 첫 ‘40도’···태백산맥 서쪽 덥히는 '마의 동풍' 11일까지 분다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96 "돌이켜보면 크게 후회"‥방첩사령관의 뒤늦은 '참회'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95 이진숙 후보자 두 딸 조기 유학…둘째 딸 의무교육 위반?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94 넉 달간 자유 만끽해 온 尹‥다시 구치소로?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93 감사원, 이진숙 ‘의대 증원 300명’ 감사… 13일 보고시한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92 회생 절차 자영업자, 1년간 성실히 빚 갚으면 ‘신용사면’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91 이 대통령 "국무회의 개인정치 활용 안돼"…이진숙에 직접 경고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90 '김건희 특검' 공천개입 의혹 수사…윤상현 "압수수색 의도 몰라"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89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 또 추락사…결국 아래에 '이것' 단다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88 "인라인 못 타서" 일곱살 딸에 주먹 휘두른 40대 구속 송치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87 수도권 곳곳 기습 폭우…원인은?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86 의사 엄마보다 더 잘 벌었다…정은경 장남 직업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