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 “초개인화된 예방 중심 케어의 새 기준 제시”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뉴스1

삼성전자가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회사 ‘젤스(Xealth)’를 인수한다고 8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젤스와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기반으로 미국에서 ‘커넥티드 케어’(Connected Care) 서비스 제공에 나설 방침이다. 인수 금액은 양사 계약에 따라 비공개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젤스 인수 절차를 연내에 마무리할 예정이다.

커넥티드 케어는 일상의 건강을 돌보는 웰니스 분야와 의료 분야에서의 헬스케어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삼성전자 측은 “갤럭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건강을 관리하고, 나아가 질병 예방까지도 할 수 있도록 돕는 삼성헬스의 비전”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가 인수한 젤스는 여러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회사다. 2016년 미국의 대표적인 대형 병원 그룹인 프로비던스 ‘헬스 시스템’(Providence Health System)에서 스핀오프하며 설립됐다.

젤스는 프로비던스 헬스 시스템·애드버케이트 헬스(Advocate Health)·배너 헬스(Banner Health) 등 미국 내 주요 대형 병원 그룹을 포함한 약 500개의 병원과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또 당뇨·임신·수술 등과 관련된 약 70개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을 파트너로 보유하고 있다.

젤스가 제공하는 플랫폼은 의료진이 환자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해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환자에게 처방·추천할 수 있게 한다. 또 환자의 건강 상태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젤스와 협력을 맺은 병원의 의사는 젤스 플랫폼에서 당뇨 환자에게 혈당·생활 습관을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 파트너 기업의 앱을 추천하고, 이를 통해 혈당 변화∙식이 조절∙운동 기록 등을 한눈에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를 넓힐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는 그간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일상에 자리 잡을 수 있게 돕겠다는 점을 사업 비전으로 내걸어 왔다. 웨어러블 기기에 탑재되는 센서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한 이유다.

회사 측은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기기는 하루 종일 사용자의 건강을 꼼꼼히 관리할 수 있는 핵심 도구로 자리 잡았다”며 “갤럭시 스마트폰·워치·링과 같은 제품에서 수집된 건강정보를 ‘삼성헬스’ 서비스로 통합 관리해 개인이 건강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데 집중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향후 젤스 플랫폼을 활용해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전문 의료 서비스와 연결하는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가 본격화되면 환자의 평소 상태와 병원 의료기록이 별도로 관리되면서 발생하는 정보 공백도 해소되고, 환자와 의료진과의 연결도 한층 강화될 수 있다.

삼성전자는 특히 질병의 예방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를 더욱 확장시켜 가전제품과도 연결,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삼성전자는 앞서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AI(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메드텍(소니오)·오디오와 전장(룬,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AI 데이터센터 중심의 공조(플랙트) 등 미래 성장 산업 관련 기업을 인수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은 “삼성전자는 혁신 기술과 업계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사람들이 일상에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라며 “젤스의 폭넓은 헬스케어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더해 초개인화된 예방 중심 케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마이클 맥쉐리 젤스 최고경영자(CEO)는 “삼성전자와 젤스는 헬스케어 분야에서 진정한 커넥티드 케어를 구현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를 한단계 발전시키겠다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웨어러블 기기로 수집된 생체 데이터가 병원의 의료기록과 결합됨으로써 환자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새로운 디지털 헬스케어 가능성을 선보이겠다”고 덧붙였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212 [단독] "V가 영장 걱정" "다 막겠다"‥김건희-김성훈 텔레그램도 추궁 랭크뉴스 2025.07.08
53211 "한 말씀 올리겠다" "하지 마라"…이진숙 돌발발언, 李대통령 '격노' 랭크뉴스 2025.07.08
53210 "'美국무장관 사칭자', 외국장관 등에 AI음성·메시지로 연락" 랭크뉴스 2025.07.08
53209 “평생 용접했는데 AI?”…기로에 선 제조 대한민국 랭크뉴스 2025.07.08
53208 창원 미용실 흉기 난동 진압 경찰 철수하다 총기 오발 ‘아찔’ 랭크뉴스 2025.07.08
53207 폭염 후 기습폭우에 퇴근길 곳곳 혼란…도로·하천 통제(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8
53206 폭염엔 손풍기 말고 '이것'…체감온도 -10도 낮추는 생존템 떴다 랭크뉴스 2025.07.08
53205 [단독]채 상병 특검, 국방부에 김동혁 검찰단장 직무배제 요청 랭크뉴스 2025.07.08
53204 김태효 11일 직권남용 피의자 소환…‘VIP 격노설’ 실체 밝혀질까 랭크뉴스 2025.07.08
53203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협상 중에도…가자지구서 105명 숨져 랭크뉴스 2025.07.08
53202 "부산 시민은 25만 원 필요 없다" 박수영에…국힘 조경태가 한 말 랭크뉴스 2025.07.08
53201 특검, 尹 부부 공천개입 '퍼즐 맞추기' 나서... 명태균 의혹 전방위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8
53200 "이 날씨에 에어컨 껐다"…예산 아끼려던 초등학교, 하루 만에 결국 랭크뉴스 2025.07.08
53199 13층 상가건물 추락 사고 사망자 3명으로…행인 모녀 숨져 랭크뉴스 2025.07.08
53198 서울 117년 만에 가장 더웠던 7월...전력 수요는 이틀 연속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7.08
53197 7월 초에 첫 ‘40도’···태백산맥 서쪽 덥히는 '마의 동풍' 11일까지 분다 랭크뉴스 2025.07.08
53196 "돌이켜보면 크게 후회"‥방첩사령관의 뒤늦은 '참회' 랭크뉴스 2025.07.08
53195 이진숙 후보자 두 딸 조기 유학…둘째 딸 의무교육 위반? 랭크뉴스 2025.07.08
53194 넉 달간 자유 만끽해 온 尹‥다시 구치소로? 랭크뉴스 2025.07.08
53193 감사원, 이진숙 ‘의대 증원 300명’ 감사… 13일 보고시한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