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유문화' 확산에 올상반기 20·30대 신차 등록 점유율 각각 5.7%·19.5%
60대는 10년새 2배 가까이 올라…"경제활동 지속"


20·30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올해 상반기 20·3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이 10년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60대와 70대의 등록 점유율은 크게 올랐는데 20·30대는 차를 필수품으로 여기지 않은 인식 확산 등으로 신차 구매를 하지 않는 데 반해 60·70대는 경제활동에 따른 이동 수단으로 여전히 차가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8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0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개인 자가용 기준)는 2만9천66대로, 전체 승용 신차 등록 대수(51만1천848대)의 5.7%에 그쳤다.

20대 신차 등록 점유율은 2016년 8.8%에 달했지만 매년 하락세를 보이다 2022년 7.8%까지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6.7%를 기록했다.

만약 올해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진다면 2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10년 이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올해 상반기 30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와 점유율도 각각 9만9천611대, 19.5%를 나타냈다.

20대와 마찬가지로 3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도 2016년에는 25.9%에 달했지만 10년 새 6.4%포인트(p) 하락했다. 3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올해 처음으로 20%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경기 불황에 중고차 인기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에 반해 고령층인 60대와 70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와 점유율은 매년 늘고 있다.

올해 상반기 60대와 70대의 신차 등록 대수는 각각 9만2천123대, 2만3천10대로, 전체 연령대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각각 18.0%, 4.5%로 집계됐다.

6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은 10년 전인 2016년 9.6% 불과했지만 매년 꾸준히 증가하다 올해 상반기에는 2배 가까운 18.0%까지 뛰어올랐다.

2016년 2.8%였던 7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도 매년 증가하다 올해 상반기 4%대 중반을 기록했다.

20·30대의 신차 구매가 줄어든 배경으로는 공유문화 확산으로 차를 더는 필수품으로 여기지 않는 인식 변화가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신차가격에 부담을 느낀 20대들이 차량공유 애플리케이션으로 차를 이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60·70대의 경우에는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 운전면허 자진 반납이 적극적으로 장려되고 있지만 고령화에 따라 이 연령대까지 경제활동이 이어지면서 이동권을 위해 차량 수요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20·30대의 신차 구매 감소에는 경기 불황 외에도 공유 문화 확산으로 차량을 굳이 소유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도 자리 잡고 있다"며 "60·70대는 최근 취업전선에 나서는 분들도 많은 만큼 이동권을 위해 차가 필요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일하는 60·70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83 퇴근길 ‘기습 폭우’에 서울 곳곳 침수…1호선 운행 차질 랭크뉴스 2025.07.08
53182 "전자담배는 괜찮지 않아?"…12살부터 피운 20대 청년, 폐는 이미 70대였다 랭크뉴스 2025.07.08
53181 "행복하고 싶냐? 식세기 사라" 서울대 심리학 교수의 비결 랭크뉴스 2025.07.08
53180 박찬대 “내란특별법” 정청래 “국립의대”… 당권주자들 호남 구애 랭크뉴스 2025.07.08
53179 수업 중 스마트폰 ‘법적으로’ 못 쓴다…내년 1학기부터 랭크뉴스 2025.07.08
53178 [단독] "V 말려야 하지 않냐"했다던 노상원‥메모엔 "대통령 최후 수단 밖에" 랭크뉴스 2025.07.08
53177 내년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서 결정 랭크뉴스 2025.07.08
53176 [속보] 내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 결정된다 랭크뉴스 2025.07.08
53175 "방어 쉽지 않다"... 부글부글 민주당, 이진숙 엄호 '이상기류' 랭크뉴스 2025.07.08
53174 [속보] 내년 최저임금 '1만210원∼1만440원' 사이…심의촉진구간 제시 랭크뉴스 2025.07.08
53173 노상원 수첩에 담긴 '계엄의 전말'‥친필 메모에도 랭크뉴스 2025.07.08
53172 최저임금 공익위원, 노사에 ‘1만210~1만440원’ 수정안 제안 랭크뉴스 2025.07.08
53171 尹 정부 '실세' 김태효, 피의자 신분 소환‥'VIP 격노' 정조준 랭크뉴스 2025.07.08
53170 김건희 특검, 윤상현 첫 압색‥'尹부부 공천개입 의혹' 수사 본격화 랭크뉴스 2025.07.08
53169 폭염 식중독 주범은 달걀 ‘살모넬라균’… 식약처, 음식점 3700여곳 위생 점검 랭크뉴스 2025.07.08
53168 ‘국민투표법 개정’ 논의…국정기획위, 선관위와 다음 주 간담회 랭크뉴스 2025.07.08
53167 [단독] '삼부 키맨' 연일 소환‥"원희룡 장관이 치고 나갔다" 랭크뉴스 2025.07.08
53166 7월 초에 닥친 40도 ‘살인 폭염’…일하다 픽, 픽 쓰러진다 랭크뉴스 2025.07.08
53165 대통령 ‘경고’ 먹고, 감사원 ‘주의’ 받고… 속타는 이진숙 랭크뉴스 2025.07.08
53164 7세 딸 주먹질에 발길질까지 무차별 폭행…한강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