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룰라 "온라인으로 세계 겁박 부적절"…브라질 특사 "美, 제 발에 총쏘기"
백악관 회담 때 '진땀' 남아공 대통령 "힘이 곧 옳음 아니다"


7일(현지시간) 기자회견 하는 브라질 룰라 대통령
[리우데자네이루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러시아와 중국 등 비(非)서방 신흥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BRICS) 회원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추가 관세 부과 위협에 비판 목소리를 높이며 회원국 간 결속 의지를 다졌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진행된 17차 브릭스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현지 기자회견에서 "미국과 같은 거대 국가의 대통령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를 겁박하는 건 매우 잘못된 일"이라며 "우리는 황제를 원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날 회견에서 룰라 대통령은 "사람들은 주권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잘 알아야 한다"며 "그(트럼프)는 세상이 변했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우리는 주권 국가"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인 트루스소셜에서 브릭스의 "반미 정책"에 동조하는 모든 국가에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완전한 감시하에 있는 이란의 '평화적 핵 시설에 대한 군사 공격'을 규탄하는 한편 '무차별적으로 인상한 관세 부과'에 따른 글로벌 교역 질서 교란을 성토한 브릭스 정상회의 선언문 공개 이후 나왔다. 선언문 자체에 '트럼프'가 적시되진 않았다.

이와 관련,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릭스가 미국 이익을 훼손하려 한다고 (대통령은) 보고 있다"며 "대통령이 브라질에서 진행된 브릭스 정상회의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러시아 매체 리아노보스티는 보도했다.

브라질에서 열린 17차 브릭스 정상회의
[리우데자네이루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남미 최대 경제국'인 브라질 입장에서 볼 때 미국의 관세 부과는 되레 미국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올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세우수 아모링 브라질 대통령실 국제관계 특별보좌관(특보)은 CNN 브라질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추가 관세를 "제 발에 총 쏘기"(도끼로 제 발등 찍기와 같은 의미)라고 표현했다.

브라질 정부에서 공개한 교역액 수치를 보면 지난해 브라질은 대미 교역에서 400억 헤알(68억 달러·10조원 상당) 적자를 기록했다.

이미 '재미'를 보고 있는 미국이 브라질을 상대로 관세를 새로 더 얹은 건, 되레 미국에 비합리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게 아모링의 지적이다.

브라질에서 외교장관(2003∼2010년)과 국방장관(2011∼2014년)을 역임한 아모링 특보는 "사실 미국의 관세는 가장 큰 문제는 아니다"라며 "글로벌 교역 시스템의 변화, 즉 다자간 협상 대신 양자 간 협상을 선호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더 중대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아모링 특보는 "항상 위협과 관세를 내세운다면, 다른 국가들은 대안을 찾아 서로 협상할 것"이라면서 브릭스 회원국의 연대를 통한 공조 가능성을 시사했다.

브릭스 정상회의 참석한 남아공 대통령(왼쪽)과 인도네시아 대통령
[리우데자네이루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정상회의 참석차 브라질을 방문 중인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도 "브릭스 같은 매우 긍정적인 연합체의 움직임이 있을 때, 이를 부정적으로 보고 해당 참여국을 벌주려는 듯한 모습이 있다는 건 정말 실망스러운 일"이라며 "힘이 곧 옳음이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브릭스는 다른 어떤 강대국과도 경쟁을 추구하지 않는다"면서 논의를 통합 합의 정신을 역설했다.

남아공 대통령은 앞서 지난 5월 백악관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구체적이고 검증된 증거도 없이 '백인 학살'을 주장하자, 이를 반박하느라 진땀을 빼면서도 의연하게 대응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러시아 역시 트럼프의 위협에 "브릭스 내 (회원국 간) 상호 움직임은 제3국을 겨냥한 적 없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AFP통신이 러시아 언론을 인용해 보도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대신해 이번 회의에 자리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은 "브릭스는 잠재력을 발휘하기 시작하고 있다"면서, 브릭스가 회원국 공통 관심사에 대한 논의 구심점이 될 수 있음을 재확인했다.

2009년 창설된 브릭스는 10여년 넘게 5개국(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이어오던 회원국 규모를 최근 11개국(이집트·에티오피아·이란·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인도네시아 합류)으로 불리면서 영향력을 대폭 키웠다.

브릭스 국가들의 달러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 비중은 세계 경제의 약 39% 정도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843 트럼프, 한국에 서한 “8월1일부터 25% 관세 부과”···협상 여지 열어둬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42 [비즈톡톡] 주가 6만원 바라보는 KT… 김영섭 연임은 ‘안갯속’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41 김건희특검, 삼부토건 주가 급등 ‘우크라 포럼’과 원희룡 연관성 추궁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40 6070보다 낮은 20대 지지율…냉담한 이대남에 고심 커진 與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39 인도네시아 쓰레기 더미 속 ‘신라면 스프’…선진국 쓰레기에 마을이 잠겼다[마당 위의 플라스틱]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38 트럼프, 한국에 관세 서한 “내달부터 25%…무역장벽 없애면 조정”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37 [단독]건진법사 “이철규 통해 YTN 인수 방법 알아보겠다”···김건희 특검, 통화내역 입수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36 트럼프, 상호관세부과 8월1일로 연기…시간 번 정부 "협상 박차"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35 노현정 남편 정대선, 법정관리 여파에 상장사 잃어... 우수AMS 경영권 부산 부품사로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34 "도저히 안되겠다. 전원 사직합니다"…아파트 관리실 직원들에게 무슨 일이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33 [단독] 빗썸, VIP 회원에 보상 제공하고 특정 코인 거래량 부풀려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32 [가덕도신공항의 그림자] ④MB는 무산시키고, 文은 되살렸다… 대통령의 결정, 그 뒷이야기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31 [속보] 트럼프 “韓에 8월1일부터 25% 상호관세 부과”…행정명령 서명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30 '기관단총' 든 경호처‥"총 보여줘" 지시 따라서?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29 트럼프 "한국·일본에 8월 1일부터 25% 관세 부과할 것" 통보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28 “대출 규제 안 받는 주담대”… 대부업체, 고소득자 유혹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27 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급락... 트럼프 관세 서한 여파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26 [단독] 이재명·트럼프 대통령, 한국형 이지스함·중형잠수함 ‘동승’ 하나?[이현호의 밀리터리!톡]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25 트럼프, 한국 서한 공개 “8월 1일부터 한국에 25% 상호 관세” new 랭크뉴스 2025.07.08
52824 [단독]서울 집 산 40% '갭투자'였다…1주택자 전세대출 금지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