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조정될 수 있어” 추가 협상 시사
한국 정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
트럼프, 일본에도 25% 상호관세 통보
한국 정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
트럼프, 일본에도 25% 상호관세 통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취재진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공개서한을 통해 다음 달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한국 정부는 관세 부과가 사실상 다음 달 1일까지 유예된 것이라며 추가 협상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공개한 관세 서한. 트루스소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공개한 무역 관련 서한에서 “2025년 8월 1일부터 우리는 미국으로 보낸 모든 한국산 제품에 단지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이 관세는 모든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고 밝혔다. 이 서한은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자로 지정했다. 관세율 25%는 트럼프가 지난 4월 2일 한국에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상호관세 25%와 같은 수치다. 트럼프는 관세 회피를 목적으로 제3국을 경유하는 환적 상품에는 25%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는 추가 협상 여지도 열어뒀다. 트럼프는 “당신이 지금까지 미국에 닫혀 있던 무역 시장을 개방하고, 당신의 관세와 비관세(장벽), 정책과 무역 장벽을 없애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어쩌면 이 서한의 조정을 고려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 관세는 당신 나라와 우리의 관계에 따라 위로든 아래로든 조정될 수 있다. 당신은 결코 미국에 실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상호관세 부과가 다음달 1일로 사실상 연장된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트럼프의 서한공개 이후 낸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서한으로 다음 달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으로 보고,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해 남은 기간 동안 상호 호혜적인 협상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측의 주된 관심사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국내 제도 개선, 규제 합리화 등과 함께 양국간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산업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서한에서 “25%라는 수치는 한국과의 무역 적자 격차를 해소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수치임을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며 “만약 한국 또는 한국 기업이 미국 내에서 제조 또는 생산을 하기 원한다면, 그 경우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또 “이러한 관세는 수년간 지속된 한국의 관세·비관세 정책, 무역 장벽에 의한 무역 적자의 시정을 위해 필요한 조치임을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며 “미국은 감당할 수 없는 무역 적자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는 미국 경제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게도 유사한 공개서한을 보냈다. 일본의 상호관세율은 25%로 기존 24%보다 1%포인트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