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해 고졸 검정고시를 치르고, 대학 입시에 도전하는 수험생이 31년 만에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신 경쟁에서 뒤처진 학생들이 학교를 그만두는 건데요.
이들 자퇴생 대부분은 사교육 시장으로 뛰어들고 있습니다.
이수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 고3인 친구들과 달리, 이 학생은 재수 학원에 다닙니다.
수능 공부에만 집중하기 위해, 지난해 말 학교를 자퇴했습니다.
다음 달 고졸 검정고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검정고시생 : "(내신에서) 상위권 애들은 다 정해진 상태였고. 너무 늦었고 내신 따기에는…."]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검정고시를 치르는 수험생 규모는 2018학년도 만 천여 명에서 지속적으로 늘어 지난해 2만 명을 넘었습니다.
수험생 100명 중 자퇴생이 4명꼴인데, 올해 대학입시에선 3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교과 시험은 기본, 학생부 전형 대비를 위한 각종 수행평가와 봉사, 동아리 활동까지.
숨 막히는 내신 경쟁에서 불리하다고 느낀 학생들이 학교를 떠나 사교육 시장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검정고시생 : "자퇴할 때 부모님에게조차도 응원을 많이 받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감도 많이 떨어지고."]
오락가락 정책도 혼란을 키웁니다.
고1부터 도입된 내신 5등급제에선 1등급에 들지 못해 자퇴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임성호/종로학원 대표 : "(1등급에) 만약에 못 들어온다라고 하면, 34% 구간대 학생들과 동일한 구간이기 때문에 사실 서울 소재 대학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그럼 이런 (자퇴) 상황들은 계속적으로…."]
최근 일부 대학에서 검정고시생의 내신 환산 비율을 낮추거나 수시 지원 자격을 제한하고 있다는 점 등을 신중하게 살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촬영기자:김정은 이창준/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