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요즘과 같은 무더위에도 매일매일 화기 앞에서 일할 수밖에 없는 이들이 있죠.
불볕더위도 힘들지만 불경기로 손님들 발길이 끊기는 게 더 고통스럽게 느껴진다는데요.
송서영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 리포트 ▶
화덕 안에서 빨갛게 달궈진 쇳덩이를 조심스레 꺼냅니다.
기계로 먼저 다듬은 뒤, 됐다 싶을 때까지 망치로 계속 내리쳐야 뾰족한 정 하나가 완성됩니다.
[강단호/대장장이]
"<여기 이렇게 가까이만 가도 열기가 엄청 올라오네요?> 네, 그렇죠."
3대째 가업을 잇고 있는 대장장이 강단호 씨.
그가 하루 8시간 가량 일하는 대장간은 사시사철 폭염보다 더 뜨겁습니다.
선풍기 3대로 계속해서 열기를 식혀도 작업장 기온은 바깥보다 10도 넘게 높은 42도까지 치솟아 있습니다.
2천 도에 달하는 화덕의 불은 하루종일 꺼지지 않습니다.
작업이 끝난 철근도 열기를 뿜어냅니다.
쉴 새 없이 흐르는 땀에 눈 뜨고 있기도 힘들지만, 사방으로 튀는 불꽃을 피할 겨를조차 없습니다.
건설 경기 악화로 철근 제작이나 건설장비 수리 같은 일감이 많이 줄었습니다.
[강단호/대장장이]
"요즘에는 아무래도 경기가 또 안 좋다 보니까 일을 많이 했으면 좋겠는데‥ 불 앞에 있는 게 힘들어도 아무래도 일을 많이 하는 게 더 좋죠."
서울 마포구의 전통시장.
2백 도 넘는 튀김기름의 열기에 온몸이 금세 땀으로 젖습니다.
[김영호/상인]
"땀이 줄줄 흐르니까 힘들어요. 에어컨 한 네다섯 개 이상 틀어놓고 해도 여기 사실 보다시피 덥잖아요."
에어컨이 돌아가고는 있는지 야속한 마음에, 아예 옷속으로 냉풍기 호스를 집어넣어봅니다.
아무리 땀을 식혀봐도 돌아서면 다시 뜨거운 불 앞지만, 열기 보다 더 무서운 게 있습니다.
[함지훈/상인]
"손님들이 줄어드는 게 더 무섭지 않을까. 더워도 그래도 저희는 이제 해야 하는 일이기도 하고‥"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최초로 1백만 명을 넘어섰는데, 이 중 절반가량이 소매업과 음식점업이었습니다.
장기화하는 불황에다 극심한 폭염까지 겹친 이중고에 자영업자들은 어느때보다 힘겨운 여름을 나고 있습니다.
MBC뉴스 송서영입니다.
영상취재: 남현택 / 영상편집: 안윤선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