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에어컨, 실외기, 컴퓨터 등 연결돼
“전기 많이 쓰는 제품은 멀티탭 피해야”
지난 2일 부산 기장군의 한 아파트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 부산시 소방재난본부 제공

최근 부산에서 잇달아 발생한 아파트 화재 원인으로 ‘멀티탭’ 발화 가능성이 부각된다.

7일 부산시 소방재난본부 등의 말을 들어보면, 지난 2일 자매가 숨진 부산 기장군 아파트 화재는 스탠드형 거실 에어컨이 연결된 멀티탭에서 불이 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멀티탭에는 에어컨과 실외기가 연결돼 있었는데, 멀티탭 피복이 벗겨지는 등 흔적이 발견됐다. 하지만 이 멀티탭 정격 용량 등 구체적인 것은 불에 타는 바람에 정확하게 확인되진 않았다.

앞서 지난달 24일 또다른 자매가 숨진 부산진구 아파트 화재도 거실의 콘센트와 연결된 멀티탭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소방당국 등 합동감식에서 이 멀티탭에는 컴퓨터 등 전자기기 전선이 연결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화재 원인으로 전기적 요인에 무게를 두고 감식을 진행하고 있다.

멀티탭은 허용 전력량이나 교체 주기 등을 고려하지 않고 전자제품 여러 개를 동시에 연결할 경우 과열로 불이 날 위험성이 높다. 전류가 허용 전력량을 초과하면 전선이 과열돼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법적 규제는 없지만, 전문가들이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전자제품은 멀티탭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하는 이유다.

부산시 소방재난본부는 10일 ‘멀티탭 발화 위험 요인 검증과 안전대책’을 주제로 화재 실험을 진행한다. 화재 실험에서는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에 따른 발화 가능성, 정격용량 초과 멀티탭 사용시 과전류 여부, 헐거운 콘센트 연결 등에 따른 화재 가능성을 점검한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763 홍명보호 백스리 실험 대성공…중국에 3-0 완승하며 다양한 카드 점검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2 [속보] 트럼프, 韓에 상호관세 서한…"8월1일부터 25% 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1 [속보] 트럼프 "품목별 관세와 별도로 부과…환적하면 더 높은 관세"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0 “이사 기념으로 공중제비 돌다가”…두통 호소 후 6일만에 사망한 10대, 왜?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9 '코로나19 대응 실패' 고발된 프랑스 前장관들 무혐의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8 “잠 재우지 말까”···동 대표 갑질에 관리실 전원 사직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7 민주당, 방송3법 과방위도 강행 처리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6 윤, 직접 영장심사 나온다…이르면 내일밤 재구속여부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5 "익기도 전에 열매가 썩어간다"…제주 감귤 '비상'걸렸다,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4 백악관서 봉변 피하려면… “트럼프에 반박 말고 칭찬하라”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3 [사설] 국민의힘, 이 정도면 고쳐 쓰기 어려운 것 아닌가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2 유네스코 ‘군함도 논의’ 무산, 한·일 과거사 첫 표대결 패배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1 하반기 13만 가구 분양… 복병은 대출 규제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0 “내 운동·여행 후기를 통째로”… AI 악용한 콘텐츠 도용 확산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49 뉴욕증시, 무역 관세 불확실성 앞두고 하락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48 [사설] 韓 잠재성장률 1%대…단기 부양 대신 구조개혁 속도 낼 때다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47 “민주당 시스템 배워야 당이 산다”… 침몰하는 국힘 내부 자성 목소리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46 상가건물 추락 여성이 행인 덮쳐‥10대 딸 숨지고 엄마는 심정지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45 [사설] 與野 경제 공통 공약은 빠르게 추진하고 쟁점 법안은 숙의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44 "헬리코박터 검사·치료하면 세계 위암 1천186만명 예방 가능" new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