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방송 3법 과방위 통과… 공영방송 이사 확대
'거부권 법안' 등 38건 중점 처리 대상
'집중투표제·감사위원 분리선출' 상법 2단계
양곡관리법·노란봉투법도 속도전
6월은 '추경' 9월은 '검찰개혁' 7월이 골든타임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최민희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7월 임시국회가 막이 오른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묵혀둔 개혁 입법을 처리하겠다고 벼르고 나섰다. 당장 윤석열 정부의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로 무산됐던 쟁점 법안들을 일괄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9월 정기국회에서 '검찰개혁'이라는 큰 숙제를 앞두고 있는 만큼 나머지 개혁 법안들은 7월에 선제적으로 매듭짓겠다는 계산이다. 당장 민주당은 7일 '방송 3법'을 국회 과학기술방송정보통신위원회에서 통과시키며 개혁 입법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뒤이어 더 센 상법개정안을 비롯해, 노란봉투법, 농업 4법 등이 줄줄이 대기 중이다. 검찰개혁도 '추석 전 처리'로 속도를 높였다.

문제는 거부권 법안을 두고 국민의힘 반발이 여전히 거세고, 일방 강행 처리 부담에 여권 내부에서도 우려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개혁 입법을 밀어붙이려는 여당 일부 강경파의 독주에 정권 초기 민생 안정을 강조해온 이재명 대통령의 협치 불씨가 사그라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최민희 '방송 3법 드라이브'...與 수뇌부는 속도 조절



민주당은 이날 방송 3법을 속전속결로 밀어붙였다. 방송 3법은 KBS·MBC·EBS 등 공영방송 이사 수를 확대하는 동시에, 이사 추천 주체를 기존 국회뿐 아니라 시민단체로 다양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정치권의 입김을 최소화해 독립성과 중립성을 보장하자는 취지지만, 국민의힘은 "여권의 방송 장악 시도"라고 반발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소위부터 전체회의까지 강행 처리를 멈추지 않았다.

국민의힘은 "법안 발의부터 소위, (전체회의) 상정까지 최민희 위원장을 비롯한 몇몇 민주당 의원들이 독단적으로 폭주하고 있다"며 "절차와 내용 모두 퇴행적"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최 위원장은 "여당과 이재명 대통령이 오히려 (권한을) 내려놓는 법"이라고 뜻을 굽히지 않았다.

최 위원장이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었지만, 여권 지도부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당장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7월 내 반드시 통과를 위해 무리해서 법안 처리는 하지 않겠다"고 했다. 민주당 지도부 핵심 관계자도 "야당과 달리, 여당 의사 결정은 상임위-원내-당 지도부-용산의 단계가 있다"며 "상임위 혼자 하고 싶다고 다 되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했다.

당장 이 대통령도 거리를 두는 분위기다. 최근 최 위원장과 과방위 간사인 김현 의원이 이 대통령에 방송 3법 관련 대면보고에 나섰는데, 이 대통령은 '대통령이 방송 장악을 위해 법을 만든다는 오해를 피할 방안이 있는지'를 물었다고 한다. 야당의 반발 등을 의식한 발언이다. 이에 과방위 의원들은 문제없다는 입장을 피력하며 방송 3법 처리에 의지를 드러냈고 이 대통령도 더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방송 3법 관련 대통령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국민적 공감대와 지지를 얻을 수 있는 방송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이 대통령이 원론적 입장을 밝힌 것이지만 "야당과 논의가 좀 더 무르익어야 하지 않겠냐"(원내 관계자)는 말이 나오는 배경이다. 다만 이 대통령이 개별 법안에 대해서 국회 몫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 강경파 입김에 따라 통과 여론이 커지면 분위기가 달라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7월 임시국회 처리 예상 ‘거부권’ 법안. 김대훈 기자


상법 최우선 과제... 양곡법 노봉법 줄줄이 대기



민주당은 방송법 이외에 거부권 법안에 대해선 보다 적극적이다. 당장 더 센 상법개정안에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6월 국회에서 여야 협상을 거쳐 대규모 상장회사의 집중투표제 강화,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를 제외한 상법개정안을 통과시켰는데, 두 가지 조항을 추가한다는 입장이 확고하다.

양곡관리법 등 ‘농업 4법’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도 이번 임시국회 처리 대상이다. 양곡관리법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사전 수급 조절 조치 후에도 과잉 생산이 발생하면 쌀을 매입하는 절충안을 제안하는 등, 합의점을 찾고 있다. 농업 4법은 7월 국회, 늦어도 8월 ‘수확기 전’에는 처리를 한다는 방침이다. 노란봉투법도 환경노동위원회 논의를 거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문 수석부대표는 "중점 추진 법안이 40개가 있었는데, (6월 국회에서) 2개를 통과시켜 38개가 남았다”며 “가장 중요한 건 전 정권에서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을 집중 처리하겠다는 목표”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이렇게 속도를 높이는 데는 7월이 민생 개혁 입법의 마지노선이기 때문이다. '추석 전 검찰개혁'을 예고하고 있는 만큼, 9월 정기국회 시선은 여기에 쏠릴 공산이 크다. 민주당 한 지도부 의원은 "이 대통령은 취임 후 3, 4개월 안에 못다 한 일을 처리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했다.

진성준(왼쪽)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7일 국회에서 김정재(왼쪽 두 번째) 국민의힘 정책위의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왼쪽부터 진 의장, 김 의장, 김은혜 국민의힘 원내정책수석부대표, 이정문 정책위수석부의장. 고영권 기자


與 "7월은 '민생 전면전'"… 野 "일방 통과 안돼"



문제는 이 같은 개혁 입법 드라이브로 모처럼 조성된 협치 정국이 빛이 바랠 수 있다는 점이다. 당장 김정재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날 여야 첫 정책위 상견례에서 "이견이나 논란이 있는 법은 일방적인 통과가 아니라, 여야가 머리를 맞대 시간이 걸리더라도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가는 방법을 택해야 한다"고 쏘아붙였다. 7월 중순부터 이재명 정부 첫 내각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줄줄이 예고돼 있는 상황에서, 여야 대치가 격화하는 것도 여권으로선 부담일 수밖에 없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841 김건희특검, 삼부토건 주가 급등 ‘우크라 포럼’과 원희룡 연관성 추궁 랭크뉴스 2025.07.08
52840 6070보다 낮은 20대 지지율…냉담한 이대남에 고심 커진 與 랭크뉴스 2025.07.08
52839 인도네시아 쓰레기 더미 속 ‘신라면 스프’…선진국 쓰레기에 마을이 잠겼다[마당 위의 플라스틱] 랭크뉴스 2025.07.08
52838 트럼프, 한국에 관세 서한 “내달부터 25%…무역장벽 없애면 조정” 랭크뉴스 2025.07.08
52837 [단독]건진법사 “이철규 통해 YTN 인수 방법 알아보겠다”···김건희 특검, 통화내역 입수 랭크뉴스 2025.07.08
52836 트럼프, 상호관세부과 8월1일로 연기…시간 번 정부 "협상 박차" 랭크뉴스 2025.07.08
52835 노현정 남편 정대선, 법정관리 여파에 상장사 잃어... 우수AMS 경영권 부산 부품사로 랭크뉴스 2025.07.08
52834 "도저히 안되겠다. 전원 사직합니다"…아파트 관리실 직원들에게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7.08
52833 [단독] 빗썸, VIP 회원에 보상 제공하고 특정 코인 거래량 부풀려 랭크뉴스 2025.07.08
52832 [가덕도신공항의 그림자] ④MB는 무산시키고, 文은 되살렸다… 대통령의 결정, 그 뒷이야기 랭크뉴스 2025.07.08
52831 [속보] 트럼프 “韓에 8월1일부터 25% 상호관세 부과”…행정명령 서명 랭크뉴스 2025.07.08
52830 '기관단총' 든 경호처‥"총 보여줘" 지시 따라서? 랭크뉴스 2025.07.08
52829 트럼프 "한국·일본에 8월 1일부터 25% 관세 부과할 것" 통보 랭크뉴스 2025.07.08
52828 “대출 규제 안 받는 주담대”… 대부업체, 고소득자 유혹 랭크뉴스 2025.07.08
52827 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급락... 트럼프 관세 서한 여파 랭크뉴스 2025.07.08
52826 [단독] 이재명·트럼프 대통령, 한국형 이지스함·중형잠수함 ‘동승’ 하나?[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08
52825 트럼프, 한국 서한 공개 “8월 1일부터 한국에 25% 상호 관세” 랭크뉴스 2025.07.08
52824 [단독]서울 집 산 40% '갭투자'였다…1주택자 전세대출 금지 검토 랭크뉴스 2025.07.08
52823 외식 소주 가격 열달만에 올라…맥주도 7개월 만에 상승 랭크뉴스 2025.07.08
52822 "中서 대학 자율성 부러워할 줄이야"…딥시크 탄생의 힘 [창간기획-평화 오디세이]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