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예 종료 이틀 전 ‘합의 압박’ 메시지
8월 1일 발효… 9일 일부 연장 가능성
한국, 안보실장까지 급파… 협상 총력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6일 주말 휴식 뒤 미 워싱턴 백악관 복귀를 위해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에 오르기 전 미 뉴저지주 모리스타운 공항에서 취재진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모리스타운=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이틀 앞두고 교역국들을 상대로 통상 합의 압박 수위를 바싹 끌어올렸다. 고관세 일방 통보 대상이 되고 싶지 않으면 서둘러 양보하고 협상을 타결하라는 게 그의 메시지다. 막판 협상 총력전을 위해 미국에 급파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협의가 마무리되고 결정을 내려야 하는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통보 시작, 서둘러라”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나는 전 세계 다양한 국가를 상대로 미국의 관세 서한, 그리고(또는) 합의(결과)가 7월 7일 월요일 낮 12시(한국시간 8일 새벽 1시)부터 전달될 것이라고 발표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예고된 일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앞서 백악관 복귀 전 취재진과 만나 “월요일에 무역 합의 관련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라며 “12개국, 어쩌면 15개국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이 끝나는 9일 0시가 임박해 오자 3개국을 늘린 것이다. 어떤 나라가 본보기로 먼저 관세율이 적힌 편지를 받게 될 것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7월 9일까지 대부분 국가에 서한이든 합의든 전달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예 기간을 더 늘리지 않겠다는 공언대로 합의가 도출됐든 아니든 거의 모든 국가의 상호관세율이 9일 일단 결정될 것임을 시사하는 언급이다. 대미 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상태에서 서한을 받는다는 것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정한 고관세를 울며 겨자 먹기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뜻이다. 유예 기간 만료가 미국의 협상 지렛대가 될 수 있는 이유다.

안보 참모 채널도 가동



그러나 9일이 지난다고 합의 기회가 사라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 옆에 있다가 부연을 요청받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대통령은 지금 당장 관세율과 합의를 설정하고 있다”면서도 “8월 1일부터 관세가 발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대상국에 한해 7월 말까지 사실상 재협상 기간이 주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위성락(오른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6일 미국 워싱턴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에서 특파원들을 만나 미국과의 협의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미국이 주요 수출 시장인 나라들은 분주할 수밖에 없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전날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에 이어 이날 위 실장까지 부랴부랴 미국을 찾았다. 그는 덜레스 국제공항에서 특파원들에게 “고위급 관여(대화)가 필요한 중요한 협상 국면이라 판단했다”며 “협의가 진행돼 입장들이 좀 더 명료해졌다. 이제 미국과 우리가 판단을 해야 하는 때”라고 말했다. 또 대화 상대인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의 협의가 무역 협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총리 없는 태국의 분투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보이는 협상 상대는 유럽연합(EU)과 인도다. 스티븐 미런 미국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은 이날 미 ABC방송 인터뷰에서 “유럽, 인도와의 협상에 대해 좋은 소식을 들었다”며 “양보하는 나라들에는 협상 일정이 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회원국 간 입장이 다른 EU는 원칙만 포함된 ‘기본 합의’가 목표라고 영국 가디언이 전했다.

정치적 혼란기인 태국도 양보 안을 제시하며 막바지 타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피차이 춘하바지라 태국 재무장관은 블룸버그통신 인터뷰에서 대미 무역 흑자를 5년 내에 70% 줄여 7, 8년 뒤 무역 균형을 맞춘다는 목표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현재 태국은 국경 분쟁 중인 캄보디아의 훈센 전 총리와의 통화 내용이 유출된 패통탄 친나왓 총리가 직무정지된 상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088 광명·파주 기온 ‘40도’ 기록…“7월 중 처음 있는 일” 랭크뉴스 2025.07.08
53087 숨 막히는 ‘40도 폭염’ 노동자들 쓰러뜨렸다…2018년보다 뜨거울 수도 랭크뉴스 2025.07.08
53086 발뺌하던 여인형 “지금에야 깊이 후회” 증인신문 포기, 입장돌변 랭크뉴스 2025.07.08
53085 [단독] 합격했더니 ‘고노부’…일행직 44% 고용노동부 배치 논란 랭크뉴스 2025.07.08
53084 대구서 출장 와 인천 맨홀서 숨진 초등생 아빠…유족 "안전관리 부실" 분통 랭크뉴스 2025.07.08
53083 파주·광명 40도 폭염…7월 중 ‘사상 최악 더위’ 랭크뉴스 2025.07.08
53082 53세 개그맨 윤정수 결혼한다…'띠동갑' 예비신부 누구 랭크뉴스 2025.07.08
53081 "할리우드 영화인 줄"…대낮 LA 공원 덮친 무장군인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8
53080 김건희 특검, ‘건진법사-통일교 의혹’ 관련 경찰청 압수 수색 랭크뉴스 2025.07.08
53079 “국민과 검증하겠다”는 국민의힘 각오…이재명 정부 장관 후보자들에게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7.08
53078 [속보] 김건희 특검팀, 경찰청 압수수색… “자료 제출 차원” 랭크뉴스 2025.07.08
53077 [단독] 둘째 딸은 부모 없이 조기유학? 이진숙 후보자 초·중등교육법 위반 의혹 랭크뉴스 2025.07.08
53076 [속보]김건희 특검팀, 경찰청 압수수색···“자료 임의제출 형식” 랭크뉴스 2025.07.08
53075 서쪽 중심 폭염 계속…강원 동해안 폭염특보 해제 랭크뉴스 2025.07.08
53074 김건희 무응답에 국민대 박사 취소 절차 차질‥"박사 학위 유지 중" 랭크뉴스 2025.07.08
53073 윤석열·조은석 그리고 전현희…2008년 ‘국사봉 사진’ 속 인연 [특검 150일 ④] 랭크뉴스 2025.07.08
53072 100㎏ 대형 참치 1300마리 잡고도…영덕 '눈물의 전량 폐기' 왜 랭크뉴스 2025.07.08
53071 [속보] 김건희 특검, 경찰청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8
53070 특검, 'VIP 격노설' 회의 참석한 김태효 피의자로 부른다 랭크뉴스 2025.07.08
53069 경기 광명·파주 낮 기온 40도 넘었다…7월 중 처음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