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예 종료 이틀 전 ‘합의 압박’ 메시지
8월 1일 발효… 9일 일부 연장 가능성
한국, 안보실장까지 급파… 협상 총력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6일 주말 휴식 뒤 미 워싱턴 백악관 복귀를 위해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에 오르기 전 미 뉴저지주 모리스타운 공항에서 취재진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모리스타운=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이틀 앞두고 교역국들을 상대로 통상 합의 압박 수위를 바싹 끌어올렸다. 고관세 일방 통보 대상이 되고 싶지 않으면 서둘러 양보하고 협상을 타결하라는 게 그의 메시지다. 막판 협상 총력전을 위해 미국에 급파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협의가 마무리되고 결정을 내려야 하는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통보 시작, 서둘러라”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나는 전 세계 다양한 국가를 상대로 미국의 관세 서한, 그리고(또는) 합의(결과)가 7월 7일 월요일 낮 12시(한국시간 8일 새벽 1시)부터 전달될 것이라고 발표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예고된 일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앞서 백악관 복귀 전 취재진과 만나 “월요일에 무역 합의 관련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라며 “12개국, 어쩌면 15개국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이 끝나는 9일 0시가 임박해 오자 3개국을 늘린 것이다. 어떤 나라가 본보기로 먼저 관세율이 적힌 편지를 받게 될 것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7월 9일까지 대부분 국가에 서한이든 합의든 전달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예 기간을 더 늘리지 않겠다는 공언대로 합의가 도출됐든 아니든 거의 모든 국가의 상호관세율이 9일 일단 결정될 것임을 시사하는 언급이다. 대미 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상태에서 서한을 받는다는 것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정한 고관세를 울며 겨자 먹기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뜻이다. 유예 기간 만료가 미국의 협상 지렛대가 될 수 있는 이유다.

안보 참모 채널도 가동



그러나 9일이 지난다고 합의 기회가 사라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 옆에 있다가 부연을 요청받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대통령은 지금 당장 관세율과 합의를 설정하고 있다”면서도 “8월 1일부터 관세가 발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대상국에 한해 7월 말까지 사실상 재협상 기간이 주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위성락(오른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6일 미국 워싱턴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에서 특파원들을 만나 미국과의 협의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미국이 주요 수출 시장인 나라들은 분주할 수밖에 없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전날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에 이어 이날 위 실장까지 부랴부랴 미국을 찾았다. 그는 덜레스 국제공항에서 특파원들에게 “고위급 관여(대화)가 필요한 중요한 협상 국면이라 판단했다”며 “협의가 진행돼 입장들이 좀 더 명료해졌다. 이제 미국과 우리가 판단을 해야 하는 때”라고 말했다. 또 대화 상대인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의 협의가 무역 협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총리 없는 태국의 분투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보이는 협상 상대는 유럽연합(EU)과 인도다. 스티븐 미런 미국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은 이날 미 ABC방송 인터뷰에서 “유럽, 인도와의 협상에 대해 좋은 소식을 들었다”며 “양보하는 나라들에는 협상 일정이 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회원국 간 입장이 다른 EU는 원칙만 포함된 ‘기본 합의’가 목표라고 영국 가디언이 전했다.

정치적 혼란기인 태국도 양보 안을 제시하며 막바지 타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피차이 춘하바지라 태국 재무장관은 블룸버그통신 인터뷰에서 대미 무역 흑자를 5년 내에 70% 줄여 7, 8년 뒤 무역 균형을 맞춘다는 목표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현재 태국은 국경 분쟁 중인 캄보디아의 훈센 전 총리와의 통화 내용이 유출된 패통탄 친나왓 총리가 직무정지된 상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770 [속보] 트럼프, 한국에 서한…"8월 1일부터 25% 상호관세"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9 [속보] 트럼프 "한국·일본에 8월 1일부터 25% 관세 부과할 것" 통보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8 트럼프, 한국에 무역 서한…“8월 1일부터 25% 상호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7 [3보] 트럼프, 한국에 무역 서한…"8월 1일부터 25% 상호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6 [단독] "돗대산에 거의 스치듯 날아"‥아슬아슬 김해공항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5 [속보] 트럼프 "한국이 무역장벽 없애면 관세 조정 고려하겠다"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4 특검이 부른 '우크라 포럼' 주최 측 인사, 삼부토건 관련사 임원 후보에 올라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3 홍명보호 백스리 실험 대성공…중국에 3-0 완승하며 다양한 카드 점검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2 [속보] 트럼프, 韓에 상호관세 서한…"8월1일부터 25% 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1 [속보] 트럼프 "품목별 관세와 별도로 부과…환적하면 더 높은 관세"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60 “이사 기념으로 공중제비 돌다가”…두통 호소 후 6일만에 사망한 10대, 왜?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9 '코로나19 대응 실패' 고발된 프랑스 前장관들 무혐의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8 “잠 재우지 말까”···동 대표 갑질에 관리실 전원 사직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7 민주당, 방송3법 과방위도 강행 처리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6 윤, 직접 영장심사 나온다…이르면 내일밤 재구속여부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5 "익기도 전에 열매가 썩어간다"…제주 감귤 '비상'걸렸다,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4 백악관서 봉변 피하려면… “트럼프에 반박 말고 칭찬하라”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3 [사설] 국민의힘, 이 정도면 고쳐 쓰기 어려운 것 아닌가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2 유네스코 ‘군함도 논의’ 무산, 한·일 과거사 첫 표대결 패배 new 랭크뉴스 2025.07.08
52751 하반기 13만 가구 분양… 복병은 대출 규제 new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