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민대, 김건희에 개인정보 동의서 요청했지만
회신 기한까지 '수신 불가 및 미 회신'으로 일관
숙대 측 석사 학위 취소 공식 확인에 차질 빚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달 3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구 제3투표소에서 투표를 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뉴스1


김건희 여사의 숙명여대 석사 학위 취소에 따라 국민대 역시 김 여사의 박사 학위 취소에 돌입했지만, 김 여사가 국민대의 절차 진행을 위한 연락에 줄곧 무응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숙대 석사 학위 취소 여부에 대한 국민대 측의 공식 확인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대에 확인한 결과, 국민대는 김 여사의 숙대 석사 학위 취소 사실을 언론 보도를 통해 인지한 직후 박사 학위 유효성을 검토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현재 심의 절차가 진행중인 단계로, 아직까지 김 여사의 박사 학위는 유지되고 있다.

앞서 김 여사는 1999년 숙대에서 미술교육학 석사 학위를, 2008년 국민대에선 '아바타를 이용한 운세 콘텐츠 개발 연구: 애니타 개발과 시장적용을 중심으로' 논문으로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등교육법상 석사 학위가 있어야 박사 학위 과정이 가능하므로, 최근 표절 판단으로 김 여사의 숙대 석사 학위가 취소된 데 따라 국민대 박사 학위도 취소 수순을 밟게 됐다.

절차상 국민대는 숙대 측에 학력조회, 정보공개청구 등을 통해 석사 학위가 실제로 취소됐는지 공식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후 대학원에서 운영위원회를 개최해 입학 자격 유효성 심의 및 대학원위원회 회부 여부를 결정하고, 대학원위원회에서 최종 학위 유지 여부를 심의하게 된다. 끝으로 당사자에게 최종 결과가 통보된다.

이에 국민대는 석사 학위 취소를 인지한 지난달 24일 김 여사에게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를 제출할 것을 메일과 문자로 요청했고, 수차례 전화 통화도 시도했다. 하지만 김 여사로부터 답은 오지 않았다. 국민대는 "회신 기한이었던 같은달 27일까지 김 여사는 수신 불가 및 미 회신 상태였다"고 전했다.

같은날 국민대는 숙대에도 김 여사 석사 학위 취소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그로부터 이틀 뒤인 지난달 26일에는 석사 학위 취소 여부에 대한 정보공개청구도 제출했다. 하지만 숙대는 27일 국민대에 정보를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만을 전했다. 이에 숙대 측은 "국민대로부터 김 여사에 대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를 받지 못해 요청 공문에 회신하기 어려웠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민대는 "관련법 및 학내 규정에 따라 행정 절차를 공정하고 신속하게 이행 중"이라고만 전했다. 이어 "주요한 진행 상황이 발생할 경우 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알리겠다"며 "추가로 전할 내용은 현재로선 없다"고 전했다.

연관기사
• 김건희, 숙명여대 석사 학위로 받은 교사 자격 여전히 유지 중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0111000001641)• '논문 표절 논란' 40개월 만에 김건희 석사 취소… 국민대 박사 취소 착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2415560004828)• 석사논문 '표절' 결론에… 국민대 "김건희 박사학위 취소 검토"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11410510000976)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712 "올해 제 후원금 모금합니다" 국민의힘 박수영에 부산 민심 '부글' 랭크뉴스 2025.07.07
52711 '군함도 후속조치' 유네스코 의제 채택 불발…초유의 한일 표대결서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710 與상임위원장 만난 이대통령 “떠날때 지지율 높았으면” 랭크뉴스 2025.07.07
52709 李대통령, 與상임위원장단 만찬…"내각 빨리 구성하게 살펴달라" 랭크뉴스 2025.07.07
52708 또 무산된 '국민의힘 혁신'‥안철수 "혁신위 거부하고 당대표 도전" 랭크뉴스 2025.07.07
52707 美재무 "48시간내 여러 무역합의 발표…새 제안 많이 받아" 랭크뉴스 2025.07.07
52706 '군함도 후속조치' 유네스코 의제 채택 불발…초유의 한일 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705 "방학 때 맡길 곳 없는데 어쩌지"…아이랑 같이 출근하고 밥도 먹는다 랭크뉴스 2025.07.07
52704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정부 "유감, 일본 약속 이행해야" 랭크뉴스 2025.07.07
52703 “국무위원 일부만 소집” vs “정족수 채운 것”…윤 구속 가를까 랭크뉴스 2025.07.07
52702 金총리, 취임 첫날 전공의·의대생 등과 회동…"현안 의견 청취"(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701 [단독] 명태균 “윤석열·김건희를 재판 증인으로 신청하겠다” 랭크뉴스 2025.07.07
52700 유네스코 군함도 논의 무산…韓日 과거사 표 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99 한·일, 군함도 문제로 국제무대서 충돌···이재명 정부 ‘한·일 관계’ 첫 변수로 랭크뉴스 2025.07.07
52698 [속보] 美재무 "48시간내 여러 무역합의 발표…새 제안 많이 받아" 랭크뉴스 2025.07.07
52697 중국서 유치원생 70명 집단 납중독... 흰머리 나고 치아 까매져 랭크뉴스 2025.07.07
52696 '쌍권 청산' 거부당하자 '당대표 출마'로 선회한 안철수의 승부수 랭크뉴스 2025.07.07
52695 경기 온열질환자 100명 넘어…폭염특보 속 사흘째 열대야 기승 랭크뉴스 2025.07.07
52694 폭염 뚫고 날아오른 'K팝의 여왕들'...블랙핑크 더 강력해졌다 랭크뉴스 2025.07.07
52693 유럽연합 “9일까지 미국과 무역협정 체결 목표”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