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민대, 김건희에 개인정보 동의서 요청했지만
회신 기한까지 '수신 불가 및 미 회신'으로 일관
숙대 측 석사 학위 취소 공식 확인에 차질 빚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달 3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구 제3투표소에서 투표를 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뉴스1


김건희 여사의 숙명여대 석사 학위 취소에 따라 국민대 역시 김 여사의 박사 학위 취소에 돌입했지만, 김 여사가 국민대의 절차 진행을 위한 연락에 줄곧 무응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숙대 석사 학위 취소 여부에 대한 국민대 측의 공식 확인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대에 확인한 결과, 국민대는 김 여사의 숙대 석사 학위 취소 사실을 언론 보도를 통해 인지한 직후 박사 학위 유효성을 검토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현재 심의 절차가 진행중인 단계로, 아직까지 김 여사의 박사 학위는 유지되고 있다.

앞서 김 여사는 1999년 숙대에서 미술교육학 석사 학위를, 2008년 국민대에선 '아바타를 이용한 운세 콘텐츠 개발 연구: 애니타 개발과 시장적용을 중심으로' 논문으로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등교육법상 석사 학위가 있어야 박사 학위 과정이 가능하므로, 최근 표절 판단으로 김 여사의 숙대 석사 학위가 취소된 데 따라 국민대 박사 학위도 취소 수순을 밟게 됐다.

절차상 국민대는 숙대 측에 학력조회, 정보공개청구 등을 통해 석사 학위가 실제로 취소됐는지 공식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후 대학원에서 운영위원회를 개최해 입학 자격 유효성 심의 및 대학원위원회 회부 여부를 결정하고, 대학원위원회에서 최종 학위 유지 여부를 심의하게 된다. 끝으로 당사자에게 최종 결과가 통보된다.

이에 국민대는 석사 학위 취소를 인지한 지난달 24일 김 여사에게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를 제출할 것을 메일과 문자로 요청했고, 수차례 전화 통화도 시도했다. 하지만 김 여사로부터 답은 오지 않았다. 국민대는 "회신 기한이었던 같은달 27일까지 김 여사는 수신 불가 및 미 회신 상태였다"고 전했다.

같은날 국민대는 숙대에도 김 여사 석사 학위 취소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그로부터 이틀 뒤인 지난달 26일에는 석사 학위 취소 여부에 대한 정보공개청구도 제출했다. 하지만 숙대는 27일 국민대에 정보를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만을 전했다. 이에 숙대 측은 "국민대로부터 김 여사에 대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를 받지 못해 요청 공문에 회신하기 어려웠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민대는 "관련법 및 학내 규정에 따라 행정 절차를 공정하고 신속하게 이행 중"이라고만 전했다. 이어 "주요한 진행 상황이 발생할 경우 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알리겠다"며 "추가로 전할 내용은 현재로선 없다"고 전했다.

연관기사
• 김건희, 숙명여대 석사 학위로 받은 교사 자격 여전히 유지 중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0111000001641)• '논문 표절 논란' 40개월 만에 김건희 석사 취소… 국민대 박사 취소 착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2415560004828)• 석사논문 '표절' 결론에… 국민대 "김건희 박사학위 취소 검토"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11410510000976)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754 백악관서 봉변 피하려면… “트럼프에 반박 말고 칭찬하라” 랭크뉴스 2025.07.08
52753 [사설] 국민의힘, 이 정도면 고쳐 쓰기 어려운 것 아닌가 랭크뉴스 2025.07.08
52752 유네스코 ‘군함도 논의’ 무산, 한·일 과거사 첫 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8
52751 하반기 13만 가구 분양… 복병은 대출 규제 랭크뉴스 2025.07.08
52750 “내 운동·여행 후기를 통째로”… AI 악용한 콘텐츠 도용 확산 랭크뉴스 2025.07.08
52749 뉴욕증시, 무역 관세 불확실성 앞두고 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7.08
52748 [사설] 韓 잠재성장률 1%대…단기 부양 대신 구조개혁 속도 낼 때다 랭크뉴스 2025.07.08
52747 “민주당 시스템 배워야 당이 산다”… 침몰하는 국힘 내부 자성 목소리 랭크뉴스 2025.07.08
52746 상가건물 추락 여성이 행인 덮쳐‥10대 딸 숨지고 엄마는 심정지 랭크뉴스 2025.07.08
52745 [사설] 與野 경제 공통 공약은 빠르게 추진하고 쟁점 법안은 숙의해야 랭크뉴스 2025.07.08
52744 "헬리코박터 검사·치료하면 세계 위암 1천186만명 예방 가능" 랭크뉴스 2025.07.08
52743 '항암 효과 500배' 이것 충격 반전…"절대 먹지 말라" 경고 나왔다 랭크뉴스 2025.07.08
52742 ‘고교 자퇴’ 검정고시생 31년 만에 최다…공교육 위협하나? 랭크뉴스 2025.07.08
52741 기온만큼 치솟는 냉매 가격, 중국이 쥔 한국 에어컨 리모콘 랭크뉴스 2025.07.08
52740 "尹 변호인 나가자 김성훈 진술 달라져"‥'회유 가능성' 강조 랭크뉴스 2025.07.08
52739 이란 대통령 "이스라엘, 날 암살하려 했지만 실패" 랭크뉴스 2025.07.08
52738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한·일 과거사 표 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8
52737 18㎞ 상공까지 치솟았다…화산 분화에 발리 오가는 항공기 줄취소 랭크뉴스 2025.07.08
52736 진술거부권 안 쓴 김계환, ‘수사외압’ 입장 뒤집을까 랭크뉴스 2025.07.07
52735 ‘군함도’ 유네스코 의제 채택 무산…정부 한·일관계 첫 시험대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