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시내 전경.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1900년대 서울 시내 곳곳을 달리다 버스와 택시에 밀려났던 '서울 근대화 상징' 노면 전차(트램)가 58년 만에 부활을 앞두고 있다.

7일 서울시에 따르면 5호선 종점 마천역에서 복정역·남위례역까지 5.4km, 12개 정거장으로 구성되는 위례선 트램이 내년 9월 개통을 목표로 현재 약 88%의 공정률을 달성했다.

가장 까다로운 행정 절차로 꼽혔던 서울경찰청의 교통안전 심의를 최근 통과하면서 막바지 작업에 속도가 붙었다.

트램 차량은 다음 달부터 충북 오송시험선에서 5,000㎞ 예비주행시험을 거친다. 올 연말에는 위례선 본선에서 종합시험운행에 들어간다. 이후 국토부의 최종 승인을 받으면 실제 승객 탑승이 가능해지게 된다.

과거 ‘서울전차’ 노선도. 출처=서울시


서울 트램은 과거 1899년 첫 도입된 '서울전차(電車)'가 전신이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성전차'로 불렸다. 1968년 인구 증가와 교통난, 느린 속도 등으로 버스와 택시에 밀려나기까지 약 70년간 시민의 발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전차는 계급, 성별 구분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울 근대화의 상징'이었다. 노선은 광화문, 용산, 마포, 노량진, 돈암동 등을 오갔다. 전차 궤도 부설로 한양도성 일부와 성문이 훼철되는 등 도시 경관 변화도 컸다.

지금은 서울역사박물관 앞 381호 전차, 마포·동대문 표지석 등에서 흔적만 남아 있다.

과거 1칸이던 전차와 달리 58년 만에 부활하는 위례선 트램은 5칸, 10편성 도입 예정이다. 초저상 구조의 트램으로 노인·장애인 등 교통약자 접근성도 크게 높였다. 특히 차량 지붕 위에 전선이 없는 '무가선(無架線) 트램' 형태로 설계돼 외부에서 전기를 받지 않는 대신 차내에 설치된 배터리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위례선 트램 예상도. 출처=서울시

위례선 트램 노선도. 출처=서울시


위례선 트램은 지난 2008년 위례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도입이 확정됐다. 애초 민자사업으로 추진했으나 2015년 민자적격성조사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결과가 낮게 나오자 서울시가 재정사업으로 전환했다.

이후 2020년 국토부의 '위례선 도시철도 기본계획' 최종 승인 이후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돼 2022년 말 착공했다.

내년 8월께 개통을 앞둔 위례선 트램의 운영 기간은 개통 후 5년이며, 운영비는 5년간 1195억원으로 추산된다. 서울시(60.7%)와 성남시(39.3%)가 거리 비율에 따라 분담한다.

자회사를 세워 위례선을 운영하게 될 서울교통공사는 개통 준비에 발맞춰 '위례선 트램 활성화 연구용역'을 최근 발주했다. 위례선이 다니는 지역 내 다소 부족한 관광자원 인프라를 개선해 이용률을 높이고 운영 수입을 늘리기 위한 목적이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에서 위례신도시 외에 트램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울산과 대전이다. 당초 배터리 방식 트램에서 수소전기트램으로 차종을 변경했다.

"이걸 서울에서 또 보게 될 줄은"…58년 만에 부활한다는 '이것'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662 "와 잡아먹히고 있다"…맛 없다는 '러브버그' 먹방하는 천적 드디어 나타났다는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61 “안 그래도 더워 죽겠는데…나무가 왜 이래?” 하루아침에 뼈만 남은 70그루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60 "일본 말고 다른데 가자"…'대지진설'에 우르르 몰려가던 사람들 '뚝' 끊기더니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59 어린 자매 잇따라 숨진 화재, 모두 ‘멀티탭’ 발화 추정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58 [속보] 노상원 '군사정보 불법 입수' 추가 구속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57 의정 대화 급물살…金총리 취임 첫날 전공의·의대생과 회동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56 [속보] 법원, '내란 특검 추가기소' 노상원 구속영장 발부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55 방송 3법 신호탄 '거부권 법안' 몰아치는 민주... 협치 정국 흐려지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54 “성능 3배나 차이난다고?”…무선이어폰 고르는 ‘꿀팁’ 살펴보니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53 “비싸서 못 먹겠다” 했는데…여기서는 건오징어 한 마리 통째로 7500원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52 어린이 안전사고 46%가 집에서… ‘돌봄 공백’ 해결돼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51 ‘관리실 직원 전원 사직’… 울산 아파트 단지에서 벌어진 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50 “외국인 아파트 쇼핑 규제하자”… 잇따라 법안 발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49 서울 첫 폭염경보 18일 빨라… 역대기록 계속 경신할 듯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48 살인마 이춘재 정액은 없었다…1400번 턴 '속옷 DNA' 비밀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47 법원, 노상원 전 사령관 추가 구속…"증거인멸·도주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46 법원, 노상원 前 사령관 추가 구속... “증거 인멸·도주 우려 있어”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45 "지금껏 이런 복지 없어"…'부동산 쏠림' 지적한 한은, 직원에는 저리로 수천만원 대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44 [속보] 내란특검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추가 구속영장 발부"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43 尹, 이르면 내일 구속 결정…특검 "영장 유출 변호인단 법적대응" new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