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시내 전경.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1900년대 서울 시내 곳곳을 달리다 버스와 택시에 밀려났던 '서울 근대화 상징' 노면 전차(트램)가 58년 만에 부활을 앞두고 있다.

7일 서울시에 따르면 5호선 종점 마천역에서 복정역·남위례역까지 5.4km, 12개 정거장으로 구성되는 위례선 트램이 내년 9월 개통을 목표로 현재 약 88%의 공정률을 달성했다.

가장 까다로운 행정 절차로 꼽혔던 서울경찰청의 교통안전 심의를 최근 통과하면서 막바지 작업에 속도가 붙었다.

트램 차량은 다음 달부터 충북 오송시험선에서 5,000㎞ 예비주행시험을 거친다. 올 연말에는 위례선 본선에서 종합시험운행에 들어간다. 이후 국토부의 최종 승인을 받으면 실제 승객 탑승이 가능해지게 된다.

과거 ‘서울전차’ 노선도. 출처=서울시


서울 트램은 과거 1899년 첫 도입된 '서울전차(電車)'가 전신이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성전차'로 불렸다. 1968년 인구 증가와 교통난, 느린 속도 등으로 버스와 택시에 밀려나기까지 약 70년간 시민의 발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전차는 계급, 성별 구분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울 근대화의 상징'이었다. 노선은 광화문, 용산, 마포, 노량진, 돈암동 등을 오갔다. 전차 궤도 부설로 한양도성 일부와 성문이 훼철되는 등 도시 경관 변화도 컸다.

지금은 서울역사박물관 앞 381호 전차, 마포·동대문 표지석 등에서 흔적만 남아 있다.

과거 1칸이던 전차와 달리 58년 만에 부활하는 위례선 트램은 5칸, 10편성 도입 예정이다. 초저상 구조의 트램으로 노인·장애인 등 교통약자 접근성도 크게 높였다. 특히 차량 지붕 위에 전선이 없는 '무가선(無架線) 트램' 형태로 설계돼 외부에서 전기를 받지 않는 대신 차내에 설치된 배터리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위례선 트램 예상도. 출처=서울시

위례선 트램 노선도. 출처=서울시


위례선 트램은 지난 2008년 위례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도입이 확정됐다. 애초 민자사업으로 추진했으나 2015년 민자적격성조사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결과가 낮게 나오자 서울시가 재정사업으로 전환했다.

이후 2020년 국토부의 '위례선 도시철도 기본계획' 최종 승인 이후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돼 2022년 말 착공했다.

내년 8월께 개통을 앞둔 위례선 트램의 운영 기간은 개통 후 5년이며, 운영비는 5년간 1195억원으로 추산된다. 서울시(60.7%)와 성남시(39.3%)가 거리 비율에 따라 분담한다.

자회사를 세워 위례선을 운영하게 될 서울교통공사는 개통 준비에 발맞춰 '위례선 트램 활성화 연구용역'을 최근 발주했다. 위례선이 다니는 지역 내 다소 부족한 관광자원 인프라를 개선해 이용률을 높이고 운영 수입을 늘리기 위한 목적이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에서 위례신도시 외에 트램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울산과 대전이다. 당초 배터리 방식 트램에서 수소전기트램으로 차종을 변경했다.

"이걸 서울에서 또 보게 될 줄은"…58년 만에 부활한다는 '이것'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858 한국, 타이완에 추월당했다…‘수도권 에너지 독식’ 풀어야 랭크뉴스 2025.07.08
52857 '음주운전 사고' 전 야구선수 장원삼에 벌금 700만 원 랭크뉴스 2025.07.08
52856 [1보]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4조6천억원…작년 동기 대비 55.9%↓ 랭크뉴스 2025.07.08
52855 “방송 3법에 평소 내 생각 잘 담겨”…이 대통령, 與상임위원장단과 관저 만찬 랭크뉴스 2025.07.08
52854 소비쿠폰, 다이소 다 된다더니…1,100개 직영점은 안 된다고? 랭크뉴스 2025.07.08
52853 "동맹국 한·일 먼저 때린 트럼프, 車관세 완화 어렵단 메시지" [25% 상호관세 서한] 랭크뉴스 2025.07.08
52852 대미 관세, 7월 말까지 추가 협상… 트럼프 "한국에 8월부터 25% 상호관세" 랭크뉴스 2025.07.08
52851 [속보] 삼성전자 2분기 잠정 영업이익 4조6000억원…전년 동기 대비 56%↓ 랭크뉴스 2025.07.08
52850 美 전기차 혜택 줄이고 유럽선 中에 밀리고… 배터리사 믿을 건 ESS 랭크뉴스 2025.07.08
52849 트럼프 서한에 산업부 “사실상 내달 1일까지 관세 유예 연장···협상에 박차 가할 것” 랭크뉴스 2025.07.08
52848 ‘25% 관세폭탄’ 맞은 韓·日… 트럼프 계산서, ‘동맹’도 예외 없었다 랭크뉴스 2025.07.08
52847 [오송참사 2주기] ① 간절한 외침에…국정조사 논의 급물살 랭크뉴스 2025.07.08
52846 "8월부터 한국에 25%"‥"미국 내 투자" 협상 여지 랭크뉴스 2025.07.08
52845 트럼프, 한·일 이어 말레이·미얀마·남아공에도 관세 서한···내달 1일까지 유예 연장 랭크뉴스 2025.07.08
52844 “자칭 법치주의자 윤석열”···추가 혐의 5개, 내란 특검 칼 갈았다[점선면] 랭크뉴스 2025.07.08
52843 트럼프, 한국에 서한 “8월1일부터 25% 관세 부과”···협상 여지 열어둬 랭크뉴스 2025.07.08
52842 [비즈톡톡] 주가 6만원 바라보는 KT… 김영섭 연임은 ‘안갯속’ 랭크뉴스 2025.07.08
52841 김건희특검, 삼부토건 주가 급등 ‘우크라 포럼’과 원희룡 연관성 추궁 랭크뉴스 2025.07.08
52840 6070보다 낮은 20대 지지율…냉담한 이대남에 고심 커진 與 랭크뉴스 2025.07.08
52839 인도네시아 쓰레기 더미 속 ‘신라면 스프’…선진국 쓰레기에 마을이 잠겼다[마당 위의 플라스틱]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