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화폰 기록 삭제·체포영장 집행 방해 지시 의혹 등
특검, 영장 청구서에 尹 발언 담아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 공판기일에 출석하고 있다. 윤웅 기자


내란 특검이 법원에 제출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66쪽 분량 구속영장 청구서에는 비화폰 삭제 지시 의혹, 체포영장 집행 저지 의혹 등과 관련해 당시 윤 전 대통령이 했던 말들이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 사태 직후 김성훈 경호처 전 차장에게 “쉽게 볼 수 없어야 비화폰”이라며 기록 삭제를 요구하는가 하면 “총을 보여줘라”며 체포영장 집행 저지 방식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①공보 담당자에게 “외신에 ‘헌정질서 파괴 뜻 없었다’ 전달하라”
윤 전 대통령은 계엄이 해제된 당일인 지난해 12월 4일 오후 내외신 공보 업무를 담당하는 하태원 외신대변인에게 전화를 걸었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은 “국회의원 과반수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 요건을 알고 있었지만 의원들의 국회 출입을 통제하지 않았다” “합헌적 틀 안에서 행동을 취했다” 등의 내용을 담은 PG(프레스 가이던스)를 작성해 전파하도록 했다.

그가 PG에 담으라는 한 말에는 “현재의 국정마비 상황을 일단 타개하고 질서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 목표였다” “헌정질서 파괴의 뜻은 추호도 없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하 대변인은 이런 내용이 담긴 PG를 외신기자 등에게 전파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에게 직권을 남용해 하 대변인에게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를 적용했다.

②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에게 “쉽게 볼 수 없어야 비화폰이지, 조치하라”
같은 달 7일 오후 4시쯤 윤 전 대통령은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에게 비화폰으로 전화해 “차장 네가 통신에 대해 잘 안다며”라며 비화폰을 언급했다. 윤 전 대통령은 “비화폰 관련 규정이 어떻게 되느냐” “서버 삭제는 얼마마다 한 번씩 되나” 등을 물었다.

약 5분 뒤 다시 전화한 윤 전 대통령은 “수사 받고 있는 그 세 사람의 단말기를 그렇게 놔둬도 되느냐” “쉽게 볼 수 없어야 비화폰이지. 조치해라. 그래서 비화폰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약 4분 뒤 다시 전화해 “빨리 조치해야 되지 않겠느냐”며 김 전 처장에게 기록삭제를 다그치기도 했다. 윤 전 대통령이 삭제조치를 지시한 비화폰 기록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과의 통화내역인 것으로 영장 청구서에 적시됐다.

③한덕수 ‘사후부서’ 계엄선포문 폐기 요청에… “그렇게 해라”
같은 날(12월 7일) 오전 11시, 윤 전 대통령은 강의구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으로부터 한덕수 전 국무총리,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서명을 받은 비상계엄 선포문 양식을 보고받고 최종 서명했다. 하지만 이튿날 한 총리는 강 전 실장에게 전화해 “사후에 문서를 만들었다는 것이 알려지면 또 다른 논쟁을 낳을 수 있으니, 내가 서명한 것을 없었던 것으로 하자”고 입장을 바꿨다.

윤 전 대통령은 같은 달 10일 관저에서 강 전 실장에게 이를 보고받은 뒤 “총리의 뜻이 그렇다면 그렇게 하라”고 말했다. 강 전 실장은 그의 지시에 따라 해당 선포문을 파쇄했다. 영장 청구서엔 윤 전 대통령은 계엄 이후에 비상계엄 선포문을 ‘사후 부서(서명)’하는 방식으로 허위 작성했다는 혐의가 담겼다.

④압수영장 집행되자 “들여보내지 말라니까!”
윤 전 대통령이 압수수색 영장과 체포영장 영장의 집행 저지와 관련해 경호처에 지시했다는 내용들도 영장 청구서에 빼곡히 적시됐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8일 오전 11시12분 김 전 차장에게 비화폰으로 전화해 “국방부 장관 공관(압수장소)만 생각하면 안 된다. 대통령 관저와 함께 묶여있는 군사보호구역 아니냐” “이런 곳은 수사관들도 못 들어오는 것 알고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경찰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공관의 압수수색을 시도한 후였다.

하지만 박종준 전 경호처장이 압수수색 영장 집행을 시도하는 경찰관 1명을 공관촌에 들여보내자 윤 전 대통령은 같은 날 오후 2시21분 김 전 차장에게 재차 전화해 “그걸 왜 들어가라고 해. 들여보내지 말라니까 말이야!”라며 질책했다. 박 전 처장과 통화한 후 약 5분 뒤 김 전 차장에게 다시 전화한 윤 전 대통령은 “내가 그렇게 들여보내지 말라고 했는데! 처장한테 내 이야기 전달 안 했어?”라며 수사에 협조하지 말 것을 재차 지시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1차 체포영장 집행일이었던 지난 1월 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관들이 타고 온 차량이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입구에서 대기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⑤체포영장 집행 앞두고 “총 보여줘라”
1차 체포영장이 집행되기 전인 지난해 12월 31일부터 지난 1월 2일 사이 윤 전 대통령은 박 전 처장에게 여러 차례 “체포영장에 응할 수 없다”는 취지로 말했다. 그는 “내란죄 수사권이 없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영장은 불법이다” “서울서부지법의 영장 발부는 관할권 위반이라 불법이다” 등의 이유를 언급했다. 또 “체포영장을 집행하러 오면 제1정문 앞에 대기시켰다가 대통령 변호인단을 만나고 돌아가도록 조치해라”고 지시했다. 지난 1월 3일 1차 체포영장 집행은 경호처의 약 5시간30분에 걸친 저항 끝에 불발됐다.

2차 체포영장이 발부된 지난 1월 7일 윤 전 대통령은 김 전 처장에게 시그널(보안메세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통령님께서 전략을 세우시고 준비하시는 데 전혀 지장 없으시도록 경호처가 철통같이 막아 내겠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받았다. 그러자 윤 전 대통령은 “경호처는 정치진영 상관없이 전현직 대통령 국군통수권자의 안전만 생각한다” “군사시설보호구역과 경호구역에 대한 완벽한 통제, 우리는 정치를 모른다, 일관된 임무 하나만 생각한다”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같은 달 11일 윤 전 대통령은 김 전 처장, 이광우 경호본부장 등이 참석한 오찬 자리에서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특공대와 기동대가 들어온다고 하는데 걔들 총 쏠 실력도 없다. 경찰은 전문성도 없고 총은 경호관들이 훨씬 잘 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찰은 니들이 총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기만 해도 두려워할 거다. 총을 가지고 있다는 걸 좀 보여줘라”라고 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이른바 ‘위력 경호’를 하도록 지시해 직권을 남용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612 13층 상가서 10대 추락, 지나던 행인 덮쳐 1명 사망·2명 심정지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11 '윤석열 방어권 권고' 안창호·김용원 등 5명 내란 특검에 고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10 “윤석열 구속 100%”…반바지 활보 내란수괴 그만 봐도 되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09 삼성중공업, 모잠비크 FLNG 사실상 수주…계약금만 8700억원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08 건물 옥상서 10대 추락해 행인 3명 덮쳐‥1명 사망·2명 심정지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07 홀로살던 제주 70대 치매노인 실종 이틀 만에 숨진 채 발견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06 손에서 터져도 안전한 수류탄? (쿠키영상 있음) [밀리K]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05 李대통령, 인천 맨홀사고에 "일터의 죽음 멈출 특단조치 마련"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04 “6개월 내 2나노 공정 완성하라”… 삼성전자 반도체 경영진에 내려진 특명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03 상호관세 부과 코앞인데 혼란뿐인 한국… 8월 1일까지 관세 유예될까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02 [단독] 윤석열, 외신에 ‘내란 거짓홍보’ 직접 지시…비화폰 통화 2번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01 [단독] 박강수 마포구청장, 주식 백지신탁 불복 항소심 패소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00 “위약금도 없는데 굳이” SKT 면제 첫날 1만명 떠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99 K-방산 대표 ‘K-2 전차’, 극한의 성능 시험 현장 공개 [밀리K]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98 이 대통령, 인천 맨홀 사고에 “산업재해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97 [속보] 李대통령 "산업재해 잇따라…법위반 조사해 책임자 엄중히 조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96 국민의힘 박수영 “부산은 산업은행을 25만 원보다…”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95 尹 구속영장 청구한 내란특검 “변호인 측 영장 유출”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94 “중국 때문에 진짜 미치겠다”…뻔뻔하게 훔쳐보더니 이번엔 저작권 도둑질까지 new 랭크뉴스 2025.07.07
52593 찜통더위에 온열질환자 전년비 83% 급증…사망자 2명 추가돼 7명 new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