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특검, 비화폰 기록과 당사자 진술 제시
'보안성' 믿고 비화폰·시그널 활용한 듯
尹은 끝내 인정 안 해... 특검, 구속영장
윤석열 전 대통령이 3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우두머리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9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불법 행위 전후로 사용한 '비화폰(보안 처리된 통화)'이 윤 전 대통령 범죄 혐의를 옭아맨 '스모킹 건(결정적 근거)'이 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에서 비화폰 통화 기록과 통화 당사자들의 진술을 제시했다. 윤 전 대통령이 끝내 혐의를 부인하자, 특검팀은 곧바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7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내란특검팀은 5일 윤 전 대통령 조사에서 비화폰 통화 기록과 시그널(보안 메신저)기록, 통화 당사자들의 진술을 주요 증거로 제시했다. 특검팀은 특히 1차 체포영장 집행 저지(1월 3일), 비화폰 삭제 지시(지난해 12월 7일) 직전에 오고간 윤 전 대통령의 비화폰 통화 기록을 범죄 혐의를 뒷받침할 핵심 물증으로 봤다. 윤 전 대통령은 보안성이 좋은 비화폰과 시그널 메신저를 믿고 이를 자주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성훈 전 차장 등 경호처 강경파 간부들은 처음엔 수사기관에서 진술을 거부했으나, 경호처의 비화폰 서버 제출로 비화폰 통화 기록이 드러나고 200회에 달하는 시그널 기록까지 나오자 이를 부인하지 못했다.

특검팀은 '수사기관을 한 발자국도 들여보내지 못하게 하라'는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지난해 12월 8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압수수색 저지 때 구체화됐다고 봤다. 박종준 전 경호처장이 압수수색에 나선 경찰에 협조해 경찰관 1명을 공관촌으로 들여보내자, 윤 전 대통령은 오후 2시쯤 김 전 차장에게 전화해 "그걸 왜 들어가라고 해?" "들여보내지 말라니까 말이야! 응?"이라고 화를 냈다. 윤 전 대통령은 이후 박 전 처장에게도 비화폰으로 전화해 따졌고, 다시 김 전 차장에게 연락해 "내가 그렇게 들여보내지 말라고 했는데!" "너 처장한테 이야기 전달 안 했어?"라고 질책했다.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이대환(붉은 점선 안) 부장검사와 수사관들이 1월 3일 오전 8시 30분쯤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검문소에 진입하자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55경비단 병력이 수사관들을 둘러싸며 출입을 저지하고 있다. 뉴스1


지난 1월 3일 체포영장 집행이 시작되자, 윤 전 대통령은 김 전 차장과 오전 6시50분부터 8시까지 최소 6회 연락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관과 경찰이 오전 8시 5분쯤 1차 저지선인 관저 정문과 바리케이드 철문을 통과하자, 윤 전 대통령은 박 전 처장에게 전화했다. 윤 전 대통령은 "철문이 왜 그렇게 쉽게 열리냐"라고 물었고, 박 전 처장과 함께 있던 김 전 차장은 "제가 나가서 막겠다"라며 뛰어 나갔다. 박 전 처장 연락이 닿지 않자, 윤 전 대통령은 김 전 차장에게 전화해 "어디냐" 라고 상황을 묻기도 했다. 오후 2시 해산 시점에 윤 전 대통령과 김 전 차장은 최소 8회 시그널을 주고받았다.

윤 전 대통령이 비화폰 통화기록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지난해 12월 7일 상황도 비슷했다. 이날 오후 4시쯤 윤 전 대통령은 박 전 처장에게 전화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육군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의 비화폰 삭제를 지시했다. 박 전 처장이 저어하자, 윤 전 대통령은 김 전 차장에게 두 차례 전화해 관련 규정을 물은 뒤 "수사 받는 사람 비화폰 조치해야지? 그래야 비화폰이지?"라는 취지로 말했다. 김 전 차장은 이후 경호처 실무진에게 전화를 걸어 "대통령의 지시다. 삭제하라"고 지시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후에도 시그널을 이용해 김 전 차장 등과 소통하며 2차 체포영장 집행까지 막을 의지를 보였다. 박 전 처장이 사임한 1월 7일, 김 전 차장은 "공수처와 경찰 간에 미숙한 처리로 소진해버린 영장 집행시간을 연장 신청한다는 것도 말이 안 되는 거고 모든 것들이 대통령님께 유리하게 바뀌어 가고 있다"는 취지로 메시지를 보냈고, 윤 전 대통령은 "그래 흔들림 없이 단결. 국군통수권자의 안전만 생각한다" "군사시설보호구역과 경호구역에 대한 완벽한 통제. 우리는 정치를 모른다. 일관된 임무 하나만 생각한다"고 답했다.

연관기사
• 경찰, 윤석열 체포 저지 과정 담긴 '비화폰 서버' 확보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218230001602)• '위법 지시 없었다'는 尹... 계엄 직후부터 "수사기관 막아라"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1516130002678)• 윤석열, 계엄 나흘 뒤 김성훈에 "비화폰 조치해야지?" 삭제 지시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0117480004965)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708 또 무산된 '국민의힘 혁신'‥안철수 "혁신위 거부하고 당대표 도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707 美재무 "48시간내 여러 무역합의 발표…새 제안 많이 받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706 '군함도 후속조치' 유네스코 의제 채택 불발…초유의 한일 표대결 패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705 "방학 때 맡길 곳 없는데 어쩌지"…아이랑 같이 출근하고 밥도 먹는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704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정부 "유감, 일본 약속 이행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703 “국무위원 일부만 소집” vs “정족수 채운 것”…윤 구속 가를까 new 랭크뉴스 2025.07.07
52702 金총리, 취임 첫날 전공의·의대생 등과 회동…"현안 의견 청취"(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7
52701 [단독] 명태균 “윤석열·김건희를 재판 증인으로 신청하겠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700 유네스코 군함도 논의 무산…韓日 과거사 표 대결 패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9 한·일, 군함도 문제로 국제무대서 충돌···이재명 정부 ‘한·일 관계’ 첫 변수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8 [속보] 美재무 "48시간내 여러 무역합의 발표…새 제안 많이 받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7 중국서 유치원생 70명 집단 납중독... 흰머리 나고 치아 까매져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6 '쌍권 청산' 거부당하자 '당대표 출마'로 선회한 안철수의 승부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5 경기 온열질환자 100명 넘어…폭염특보 속 사흘째 열대야 기승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4 폭염 뚫고 날아오른 'K팝의 여왕들'...블랙핑크 더 강력해졌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3 유럽연합 “9일까지 미국과 무역협정 체결 목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2 인도네시아 화산 분화…발리 오가는 항공기 수십편 취소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1 영남 내륙 39도 훌쩍…사람도 가축도 지친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0 김선교 출금에 국힘 “이제 시작”…특검 수사 전방위 확대될라 ‘술렁’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9 "경찰에 총 보여줘라"‥체포영장 집행 저지 그날엔 new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