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4월 16일 베트남 하이퐁항에서 한 컨테이너가 화물선에 실리고 있다. 하이퐁/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이 오는 9일까지 무역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한 국가들에게 ‘다음달 1일 발효’를 조건으로 하는 관세율을 일방 통보할 것으로 보인다. 9일 이후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관세율 통보’를 최대 압박 수단으로 삼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몇몇 국가들에게는 협상 기간 연장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는데, 한국이 이에 포함될지는 미지수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각) 뉴저지주 일정을 마치고 워싱턴으로 향하기 전 기자들에게 관세 인상을 알리는 서한이 12~15개국을 대상으로 7일부터 발송되기 시작하며 “일부는 8일 또는 9일에 발송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2개국’을 서한 발송 대상국으로 언급한 바 있다. 3개국 정도가 추가될 수 있다는 뜻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몇몇 국가들과는 합의가 이뤄졌다. 9일까지 대부분의 국가와는 서한이든 합의든 어떤 형태로든 정리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한에 담긴 관세율 발효일은 오는 9일이 아닌 다음달 1일이다. 트럼프 대통령 옆에 있던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기자들에게 “관세는 8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한다. 지금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율과 협정 내용을 최종 결정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주요 무역상대국 중 9일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국가 12~15개국에 ‘다음달 1일 발효’ 조건을 달아 관세율을 일방 통보함으로써 압박 수위를 최대치로 끌어올리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이날 시엔엔(CNN)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8월 1일부터는 4월 2일의 관세 수준으로 다시 돌아갈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무역 파트너들에게 보낼 예정”이라며 “많은 협상이 빠르게 마무리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8월 1일이 새로운 마감일은 아니다”라며 “그저 그날이 실제 발효일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서한을 받는 국가들이 협상에 속도를 내 합의할지, 기존 상호관세율로 돌아가는 걸 선택할지는 그들의 몫이라면서 이를 “최대 압박을 가하는 전술”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별개로 미국과 무역량이 적은 약 100개국에도 서한을 보낼 예정이다. 베센트 장관은 “이들 국가 대부분은 현재 기본 10% 관세만 적용받고 있다”며 “이들 국가 다수는 우리한테 (관세 문제를 논의하고자) 연락조차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협상 기한 연장 가능성도 거듭 언급됐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미국 시비에스(CBS)와 인터뷰에서 ‘주요 무역 파트너와 협상이 9일까지 타결되지 않으면, 트럼프 대통령은 유예를 연장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시한이 있고, 거의 (합의에) 가까워진 사안들이 있다. 따라서 아마도 이 사안들은 시한을 넘길 수 있다”고 답했다.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도 에이비시(ABC) 뉴스에 출연해 “성실히 협상하고 합의를 위해 양보를 하는 국가들이 있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 국가와) 아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내 예상에는 그런 국가들은 일정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김원철 특파원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762 [속보] 트럼프, 韓에 상호관세 서한…"8월1일부터 25% 관세 부과" 랭크뉴스 2025.07.08
52761 [속보] 트럼프 "품목별 관세와 별도로 부과…환적하면 더 높은 관세" 랭크뉴스 2025.07.08
52760 “이사 기념으로 공중제비 돌다가”…두통 호소 후 6일만에 사망한 10대, 왜? 랭크뉴스 2025.07.08
52759 '코로나19 대응 실패' 고발된 프랑스 前장관들 무혐의 랭크뉴스 2025.07.08
52758 “잠 재우지 말까”···동 대표 갑질에 관리실 전원 사직 랭크뉴스 2025.07.08
52757 민주당, 방송3법 과방위도 강행 처리 랭크뉴스 2025.07.08
52756 윤, 직접 영장심사 나온다…이르면 내일밤 재구속여부 결정 랭크뉴스 2025.07.08
52755 "익기도 전에 열매가 썩어간다"…제주 감귤 '비상'걸렸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8
52754 백악관서 봉변 피하려면… “트럼프에 반박 말고 칭찬하라” 랭크뉴스 2025.07.08
52753 [사설] 국민의힘, 이 정도면 고쳐 쓰기 어려운 것 아닌가 랭크뉴스 2025.07.08
52752 유네스코 ‘군함도 논의’ 무산, 한·일 과거사 첫 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8
52751 하반기 13만 가구 분양… 복병은 대출 규제 랭크뉴스 2025.07.08
52750 “내 운동·여행 후기를 통째로”… AI 악용한 콘텐츠 도용 확산 랭크뉴스 2025.07.08
52749 뉴욕증시, 무역 관세 불확실성 앞두고 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7.08
52748 [사설] 韓 잠재성장률 1%대…단기 부양 대신 구조개혁 속도 낼 때다 랭크뉴스 2025.07.08
52747 “민주당 시스템 배워야 당이 산다”… 침몰하는 국힘 내부 자성 목소리 랭크뉴스 2025.07.08
52746 상가건물 추락 여성이 행인 덮쳐‥10대 딸 숨지고 엄마는 심정지 랭크뉴스 2025.07.08
52745 [사설] 與野 경제 공통 공약은 빠르게 추진하고 쟁점 법안은 숙의해야 랭크뉴스 2025.07.08
52744 "헬리코박터 검사·치료하면 세계 위암 1천186만명 예방 가능" 랭크뉴스 2025.07.08
52743 '항암 효과 500배' 이것 충격 반전…"절대 먹지 말라" 경고 나왔다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