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직권남용·허위공문서 작성 등 혐의
전날 '15시간' 2차 조사 하루 만에
추가 소환 건너뛰고 '입증 자신감'
구속되면 외환죄 등으로 수사 확대
尹 측 "무리한 청구, 범죄 성립 안 돼"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 특별검사팀의 2차 조사를 마치고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12·3 불법계엄을 수사 중인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조 특검은 임명 24일 만에 내란·외환 사건의 '정점'인 전직 대통령 신병 확보에 나서게 됐다. 3월 7일 법원의 구속취소로 석방된 윤 전 대통령은 법원에서 영장이 발부되면 넉 달여 만에 재차 구치소 신세를 지게 된다.

박지영 특검보는 6일 브리핑에서 "오후 5시 20분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죄 등으로 서울중앙지법에 구속영장을 청구했다"며 "허위공문서 작성, 특수공무집행방해 등도 영장(혐의)에 함께 들어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올해 1월 3월 한남동 관저로 진입한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하라고 대통령경호처에 지시한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 및 형법상 직권남용), 계엄 직후 군 지휘부에 비화폰 통화내역을 삭제토록 지시한 혐의(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교사)를 받는다. 특검은 지난달 24일 두 가지 혐의를 적용해 체포영장을 청구했지만 법원에서 기각됐다.

특검은 이후 두 차례 윤 전 대통령을 소환조사하면서 국무회의 관련 혐의도 추가해 구속영장 청구서에 적시했다.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당일 특정 국무위원만 불러 정족수(11명)를 채운 뒤 계엄령을 선포함으로써 통보를 받지 못한 국무위원들의 계엄 선포 심의·의결권 행사를 방해했다는 게 특검의 시각이다. 사후에 허위로 계엄 선포문을 만들어 위법성을 없애려 시도한 혐의도 함께 적용됐다. 다만 북한과의 무력 충돌을 유도했다는 외환 혐의는 아직 수사할 게 남아있어 이날 구속영장 청구서에는 담기지 않았다.

이날 구속영장 청구는 조 특검이 임명된 지 24일, 수사 개시일로부터 18일 만에 이뤄졌다. 내란 특검법상 수사기간은 준비기간 20일을 포함해 총 170일이지만, 7분의 1도 쓰지 않은 시점에서 최종 수사대상을 구속하려고 시도한 셈이다.

그래픽=김대훈 기자


특검은 지난달 28일에 이어 전날 윤 전 대통령을 두 번째로 불러 강도 높게 조사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전날 오전 9시 1분쯤 서울고검 청사에 도착한 시점으로부터 3분 만에 '티타임' 없이 조사에 돌입하는 등 속도전에 나섰다. 오전에 진행된 '체포 방해' 혐의 조사는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총경) 대신 부장검사 두 명을 투입해 진행했다. 1차 조사 당시 윤 전 대통령은 경찰 신문을 받지 않겠다고 반발했고, 이 때문에 조사가 차질을 빚을 수 있는 상황을 차단한 셈이다.

특검은 오후부터는 계엄 당시 국무회의 의결 과정과 관련한 의혹, 외환 혐의 등에 대한 조사를 이어갔다. 조사는 오후 6시 34분쯤 종료됐는데, 이후 윤 전 대통령은 조서 열람만 5시간을 진행해 총 14시간 54분 만에 귀가했다.

특검이 세 번째 조사를 건너뛰고 곧장 구속영장 청구를 택한 것은 현재까지 축적된 증거와 진술 등을 토대로 혐의 입증을 자신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두 차례 조사를 통해 윤 전 대통령에게 충분히 소명할 기회를 준 것도 영장 청구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윤 전 대통령은 조사 과정에서 진술 거부권을 행사하진 않았지만 혐의를 전면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이를 근거로 증거인멸 우려가 있다고 법원을 설득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검팀은 수사를 개시한 뒤 속도전으로 윤 전 대통령 구속을 위해 달려왔다. 박종준 전 경호처장과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을 불러 체포영장 집행 저지·비화폰 통화기록 삭제에 대한 윤 전 대통령의 구체적인 지시가 있었는지 집중 추궁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던 장관들까지 잇따라 불러 조사했다.

특검팀은 외환 의혹과 관련해서도 드론작전사령부에 무인기를 납품한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술연구원 소속 관계자를 불러 조사하는 등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될 경우, 특검은 재판에 넘기기 전까지 구속 상태로 외환죄 관련 내용을 집중 추궁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이날 "무리한 구속영장 청구"라며 반발했다.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입장문을 통해 "혐의 사실에 대해 충실히 소명했고, 법리적으로도 범죄가 성립될 수 없음을 밝혔다"며 "특검 조사에서 객관적 증거가 제시된 바도 없고 관련자들 진술에 의하더라도 범죄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래픽=송정근 기자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271 이젠 트럼프의 최대 정적…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70 [속보] 與 "가공식품 가격 인상률 최소화" 요청…정부 "적극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69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논문 의혹 이어 ‘MB 4대강 자문위원’ 이력 도마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68 사사건건 어깃장 놓은 ‘법꾸라지’…윤, 넉 달 만에 재수감 기로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67 병원장 임명 때마다 ‘낙하산’ 논란… 대통령이 임명하는 이상한 법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66 노부부 타고 가던 전동차 농수로에 추락…80대 아내 숨져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65 반복되는 맨홀 속 질식사고…인천서 1명 심정지, 1명 실종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64 터널서 차선 변경하다 '쾅'…여성 2명 사망·50대 운전자 중상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63 이재명 정부 첫 고위당정…"수단 총동원, 물가 잡는다"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62 특검, ‘증거’ 자신감에 속전속결…윤 일관된 혐의 부인도 영향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61 “주제 파악해”“10분마다 보고” 여친 협박·폭행한 20대 징역 3년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60 “CCTV에 찍힌 낯선 남성” 농촌 지역 고령층 노린 성범죄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59 美재무 "협상 진전없는 국가들은 8월 1일부터 상호관세 재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58 李대통령, 7일 유흥식 추기경 접견… 취임 후 종교 인사 첫 만남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57 국정위, '개헌요구' 시민단체와 간담회…"시기·절차는 더 고민"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56 “‘남은 음식’ 반값에” 구매 열풍…가치 소비로도 확장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55 180도 바뀐 이시바 "美에 할 말 해야, 관세 쉽게 타협 안해"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54 [영상] “사고 차량 번쩍 들어 옮겼다”…꽉 막힌 퇴근길 구한 해결사 정체는?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53 '여름캠프 참가' 소녀들 덮친 최악 홍수... 美 텍사스 폭우로 최소 51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7.06
52252 "싸다고 받았다가 수술"…동남아 7000원 마사지, 美 의사 '주의' 경고 new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