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오른쪽)이 지난 5월 30일 금요일 워싱턴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일론 머스크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한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불렸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5일(현지시간) 트럼프에 맞서며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머스크는 이날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X에 올린 글에서 “여러분들은 새 정당을 원하며, 그것을 갖게 될 것”이라며 “오늘‘아메리카당(America Party)’이 여러분들에게 자유를 돌려주기 위해 창당된다”고 밝혔다.

이어 “낭비와 부패로 우리나라를 파산시키는 일에 대해 말하자면 우리는 민주주의가 아닌 ‘일당제’ 속에 살고 있다”고 트럼프 대통령의 공화당과 민주당을 동시에 비판하며 신당 창당 취지를 설명했다.

일론 머스크는 5일(현지시간)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X 캡처

앞서 머스크는 미국의 독립기념일이었던 지난 4일에는 창당에 대한 찬반을 묻는 온라인 투표 창구를 띄우며 창당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날 머스크는 “독립기념일은 양당체제(일각에서는 일당체제라고도 한다)로부터 독립을 원하는지 스스로 묻기에 딱 맞는 날”이라며 ‘아메리카당’ 창당에 대한 찬반 투표를 올렸다.

머스크는 이후 게시한 추가 글에서 “이것을 실행하는 한 가지 방법은 상원 의석 2∼3석과 하원 선거구 8∼10곳에 집중하는 것”이라며 “매우 근소한 의석수 차이를 고려할 때, 그것은 논쟁적인 법안에 결정적인 표가 되기에 충분할 것이며 진정한 국민의 의지를 반영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제3당을 조직해 공화당과 민주당 사이에서 캐스팅보트(표결에서 가부 동수가 나왔을 때 결정권을 갖는 의장 또는 제3세력)를 쥐겠다는 취지였다.

지난 1월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행사에서 마주보며 웃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왼쪽) 당시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일론 머스크. EPA/=연합뉴스

지난해 대선 때 트럼프 대통령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신흥 최측근으로 부상했던 머스크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및 국경보안 강화책 등 국정 의제를 두루 담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A)’에 에 공개적으로 반대하며 트럼프 대통령에 각을 세운 바 있다.

이와 관련 머스크는 지난달 30일 X에 “이 미친 지출 법안이 통과되면 다음 날 신당이 결성될 것”이란 글을 올렸다. 당시“사상 최대 폭의 재정 적자 증가를 찬성하는 의원들은 목을 매달아야 한다”는 거친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머스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일 집권 2기 국정과제 실현의 핵심 내용이 담긴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서명했다. 해당 법안은 지난 5월 22일 미 연방 하원을 통과했으며, 상원에서 지난 1일 수정안이 가결 처리된 뒤 지난 3일 하원에서 재의결됐다.

지난 5월 22일 하원 표결에서는 찬성 215표, 반대 214표, 기권 1표로 단 한 표 차이로 통과됐고, 상원 표결에서는 50대 50으로 찬ㆍ반이 동수였으나 상원의장을 겸직하는 JD 밴스 부통령이 캐스팅 보트를 행사해 가까스로 가결됐으며 하원 재의결 표결에선 찬성 218표, 반대 214표로 최종통과됐다.

이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인 2017년 시행해 올해 말 종료될 예정인 각종 감세 조처를 영구화하는 내용이 주를 이뤄 이른바 ‘감세 법안’으로도 불린다.

감세 규모는 4조5000억 달러(약 6134조원)에 달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팁과 초과근무 수당에 대한 면세 내용도 들어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366 ‘마동석 근육’ 이유 있었다, 찐 운동권 정성호의 속사정 [이재명의 사람들⑨]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65 미 재무장관 “8월1일부터 상호관세 재부과”···관세 시한 사실상 미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64 李 "입법은 국회 몫" 말하자…그 틈 파고든 與 강경파의 독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63 대선 때 '옷차림 정치색 논란' 카리나 "너무 무지했다" 해명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62 특검 “비화폰 삭제 시도는 내란죄 연속선상에 있는 범죄”…윤석열 구속영장청구서 살펴보니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61 대출 규제 열흘만에…호가 하락하는 서울 아파트[집슐랭]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60 "북한 보이는 스타벅스"…7개월새 김포 애기봉공원점 12만여명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59 ‘자사주 소각’ 논의 본격화… 與·국정위 논의 ‘속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58 “엑스포도 말아먹더니”···‘해수부 이전 촉구 부결’에 부산이 부글부글[점선면]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57 “USDT 90% 미국 밖에서 사용”… 스테이블코인으로 ‘달러 패권’ 강화한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56 OECD “한국 잠재성장률 올해 사상 처음 1%대로 하락 전망”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55 “한미 통상 협상 중요 국면”…통상 이어 안보 사령탑도 방미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54 "협상 중요 국면"‥"8월 1일 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53 [단독] 이진우, 작년 5월 드론사 찾아 합동 훈련 제안… 특검, 경위 파악 계획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52 [속보] 트럼프 "12∼15개국에 7일 관세 서한 발송할 수 있어"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51 화장품 ‘궁중비책’ 부진에…제로투세븐, 결국 인력 감축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50 책임지지 않도록 만들어 놓은 한국 퇴직연금[퇴직연금 인사이트]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49 “2배 배상·민증 게시 문제 안 삼죠?”…‘상품권 예판’ 거래로 번진 불법사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48 고공농성 547일째···한국니토옵티칼 매출 37% 늘었는데 고용승계는 ‘모르쇠’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47 ‘성장 모터’ 단 현대차...정의선의 ‘믿을맨’[2025 100대 CEO] new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