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신위 출범 본격화에 관심도 급증
'소신파' 안철수 향한 기대감 커져
실질적 개혁 두고선 회의적 시선도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오른쪽)와 혁신위원장으로 내정된 안철수 의원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원내대표실에서 회동하고 있다. 뉴스1

[서울경제]

대선 패배 후 무기력한 상태에 빠져있는 국민의힘을 재정비할 혁신위원장에 안철수 의원이 임명되면서 향후 개혁 속도·수위에 당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상계엄 반대·탄핵 찬성’ 기조를 유지하며 주류인 구 친윤(친윤석열)계와 대척점에 섰던 안 의원이 지리멸렬한 당을 구해낼 ‘적임자’라는 기대감이 나오는 한편, 과거 혁신위원회가 지도부와 갈등을 빚다 ‘빈 손’으로 물러났던 전례를 들어 이번에도 쇄신은 선언적 구호에만 그칠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선도 나온다.

서울경제신문이 6일 SNS 텍스트를 빅데이터로 분석해 주는 ‘썸트렌드’를 통해 지난 일주일 간 ‘안철수’에 대한 언급량을 분석한 결과 7월 2일 언급량은 전날 대비 25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은 안 의원이 혁신위원장에 임명된 날로 당 혁신에 대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보수층의 높은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2일 오후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를 만나기 위해 국회 본청 원내 대표실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혁신위 구성은 송언석 원내대표가 취임 일성으로 내건 사안이지만, 당내 진통이 이어지며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했다. 직전 지도부인 김용태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5대 개혁안'을 퇴임 직전까지 주장하면서 관련 논의가 뒷전으로 밀린 탓이다. 그러나 김 전 비대위원장이 임기를 마치며 물러나고 안 의원이 혁신위원장으로 전격 임명되며 혁신위 구성 작업도 급물살을 탔다. 안 의원은 임명 직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보수 정치를 오염시킨 고름과 종기를 적출하겠다”며 강한 개혁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국민의힘은 지금 사망 선고 직전의 코마(의식불명) 상태에 놓여 있다”며 “과거의 잘못을 철저히 반성하고, 냉정히 평가하겠다”고 강조했다.

6월 27일~7월 4일 SNS 상 안 의원 긍·부정 언급 키워드. 썸트렌드


안 의원의 결기 어린 다짐이 무색하게 그를 향한 민심의 반응은 싸늘했다. 지난 일주일 간 안 의원에 대한 긍정과 부정 언급은 각각 39%와 61%로 부정적 언급이 우세했다. 안 의원에 대한 긍정 단어 키워드를 언급 건수가 많은 단어부터 줄 세웠을 때 ‘지지하다’, ‘기대’, ‘최적’, ‘잘하다’ 등을 찾아볼 수 있었다. 반면 부정적인 키워드로는 ‘비판’, ‘난항’. ‘패배’ 등의 단어가 다수 포착됐다.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 체제 아래서 가동됐던 ‘인요한 혁신위’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채 초라하게 마무리되면서 ‘안철수 혁신위’에 대해서도 당 안팎에선 회의론이 잦아들지 않는 모습이다.

특히, 당내 역학 구도를 감안하면 안 의원이 실질적인 개혁을 밀어붙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지난 2022년 20대 대선 당시 국민의힘에 넘어온 안 의원은 ‘소신’ 행보를 보이며 당 주류와 각을 세워온 당내 대표적인 비주류 인사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그가 추진할 혁신안도 기득권의 반발로 동력을 상실할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 이에 대해 안 의원은 “국민이 찬성하는 혁신안에 대해서는 비대위에서도 받아야만 국민의힘이 국민 눈높이에 부합할 거라는 공감대가 형성되리라 믿는다”고 밝혔다.

6월 27일~7월 4일 SNS 상 혁신위원회 긍·부정 언급 키워드. 썸트렌드


혁신위 자체에 대한 의구심도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주일 간 ‘혁신위원회’와 함께 언급된 단어들을 분석한 결과 부정적 언급이 53%로, 긍정적 언급(47%)을 웃돌았다. 부정적 키워드를 언급 건수가 많은 순으로 줄 세웠을 때 ‘반발’, ‘어렵다’, ‘우려’ 등의 단어가 눈에 띄었다. 혁신위가 당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을 지에 대해 여론의 기대감은 다소 낮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120 실패한 장기 투자?…정은경 후보자 배우자의 주식 투자 살펴보니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19 [단독] “고함, 소란, 무시…사과하라” 이진숙, 시상식 결례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18 尹 측 피의자 조서 열람·검토에 5시간 걸려… 공들인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17 日 도카라열도서 규모 5.4 지진…보름여간 1천400회 넘게 관측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16 "이번에 안 바꾸면 아이도 위험?" 통신사 과열 마케팅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15 임은정 “난 검찰 장례 치르는 장의사”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14 “양산 쓰면 하남자? 그냥 하남자 할랍니다”···폭염·뙤약볕에는 성별이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13 국힘, 이진숙 후보 '논문 표절' 의혹에 사퇴 촉구‥"연구 윤리 파괴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12 이재명 대통령이 9년간 비어 있던 특별감찰관 임명에 적극적인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11 쿠팡은 안 되고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된다···소비쿠폰 21일부터 신청[일문일답]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10 매일 지시 받으며 일하는 나, 4대보험이 안 된다?···‘가짜 프리랜서’ 확인해보세요!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9 임은정 "검찰 장례 치르는 장의사 역할…잘 감당해 보겠다"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8 “새 정부는 다를 줄 알았는데”···대통령실 앞 시위하다 강제로 들려나간 활동가들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7 일본 도카라 열도에서 규모 5.4 지진…보름 동안 1,400회 넘게 일어나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6 로봇의 기막힌 발레파킹… 현대차그룹 AI 영상, 전 세계로 '역주행'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5 내란특검, 尹 추가소환 통지 안했다…바로 구속영장 청구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4 대통령실 특활비 늘리느라 검찰까지? 떨떠름한 민주당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3 주진우, ‘주담대 최대 6억’ 대출규제에 “文정부 실패 데자뷔”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2 "폭염 잊고 바다로 풍덩" 주요 해수욕장 피서 인파로 북적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1 숨진 동료 눈앞에서 봤는데… 트라우마 노동자 복귀 지시한 한전KPS new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