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상청, 우주기상 예·특보 업무규정 개정
우주방사선 위험지대, 북극항로 감시 강화


앞으로 기상청이 북극항로 우주방사선에 대해서도 특보를 낸다. 북극항로를 비행하는 항공기에 탑승하는 승무원이나 승객의 안전에 영향을 줄 정도로 우주방사선이 심하면 이를 미리 알려 항로를 바꾸도록 할 예정이다. 그렇다고 비행기 탑승을 꺼릴 필요는 없다. 태양 활동이 전례 없이 강력한 경우만 아니라면 승무원이 아닌 승객이 받는 우주방사선은 극히 적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고도 10㎞ 이상을 비행하는 국제선 항공기는 지표면보다 우주방사선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기상청이 북극항로를 비행하는 항공기에 대해 우주방사선 유효선량 특보를 시행한다./조선비즈


기상청은 지난달 말 우주기상 예보 및 특보 업무규정을 개정해 북극항로 우주방사선 유효선량을 예·특보 대상에 추가했다. 기상청은 일반적인 날씨 예보와 마찬가지로 우주기상에 대해서도 예보와 특보를 내고 있다.

예컨대 태양 흑점 활동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태양풍을 미리 알리는 것도 기상청 우주 예·특보의 역할이다. 태양에서 오는 고에너지 입자 흐름인 태양풍은 지구 자기장에 영향을 줘 여러 피해를 입힌다.

이번에 우주방사선 유효선량이 예·특보 대상에 추가된 건 항공기 승무원 방사선 안전 문제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우주방사선은 초신성 폭발로 인해 태양계 밖에서 날아오는 은하 방사선과 태양 흑점 활동으로 발생해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방사선이 대표적이다. 우주 방사선은 대부분 지구 자기장과 대기에 튕겨나가지만, 일부는 지표면까지 도달한다.

우주방사선 예보를 한다고 일반인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우리나라 일반인의 연간 인공 방사선 피폭 허용량은 1밀리시버트(mSv)이다. 시버트는 생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사선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 밀리시버트는 1000분의 1시버트이다. 인공 방사선 피폭 허용량은 자연 방사선과 의료 방사선을 제외한 수치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노출되는 연간 방사선량은 3.8mSv(밀리시버트)이고 전 세계 평균은 2.4mSv이다. 자연 방사선은 암반이나 흙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에서 나온다. 우주에서 받는 영향은 0.3~0.4mSv이고, 흉부 X선을 한 번 촬영할 때 받는 피폭선량이 0.1mSv다. 일반인이 우주방사선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의미다.

문제는 항공기를 자주 탑승하는 승무원이다. 국제선 비행기처럼 고도 10㎞ 이상에서는 우주방사선의 영향이 더 커진다. 인천공항에서 뉴욕까지 비행기를 타고 갈 때 피폭선량은 0.07~0.085mSv 정도다. 비행기를 가끔 타는 사람은 문제가 없지만, 승무원처럼 자주 탑승하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항공승무원의 최대 피폭 선량은 평균 5.42m㏜이었다.

특히 극지방을 통과하는 북극항로는 다른 항로보다 피폭 정도가 더 심하다. 일반적으로 극지방에서는 우주방사선 영향이 최대 5배까지 증가한다. 북극 지역은 지구 자기장의 보호막이 약해 우주방사선이 지구로 더 많이 유입된다

정부는 지난 2023년부터 항공승무원 우주방사선 피폭 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의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개정안을 시행했다. 우주방사선에 자주 노출되는 항공 승무원의 안전을 챙기는 법이다. 기상청도 이에 맞춰서 북극항로 우주방사선 유효선량을 예·특보에 추가한 것이다.

특보 기준은 우주방사선 유효선량이 시간당 20마이크로시버트(μSv) 이상일 경우 주의보, 30μSv 이상이면 경보가 내려진다. 마이크로시버트는 100만분의 1시버트다. 주의보나 경보가 내려지면 운항고도를 조정하거나 우회운항 권고 등을 하게 된다.

기상청은 “기존 우주기상 특보가 전파나 장비 장애 위주로 내려졌다면, 북극항로 우주방사선 유효선량 기준이 추가되면서 항공기 승무원과 승객의 안전 지원을 강화하게 됐다”고 밝혔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107 일본 도카라 열도에서 규모 5.4 지진…보름 동안 1,400회 넘게 일어나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6 로봇의 기막힌 발레파킹… 현대차그룹 AI 영상, 전 세계로 '역주행'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5 내란특검, 尹 추가소환 통지 안했다…바로 구속영장 청구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4 대통령실 특활비 늘리느라 검찰까지? 떨떠름한 민주당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3 주진우, ‘주담대 최대 6억’ 대출규제에 “文정부 실패 데자뷔”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2 "폭염 잊고 바다로 풍덩" 주요 해수욕장 피서 인파로 북적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1 숨진 동료 눈앞에서 봤는데… 트라우마 노동자 복귀 지시한 한전KPS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0 "부산 시민은 25만원 필요없어" 국힘 박수영에…"그럼 본인이 소비쿠폰 주실 거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9 [단독] 특검, 김선교 의원 출금…원희룡에 '양평노선 변경 요청' 의혹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8 고강도 대출 규제 통했나… 끓어오르던 서울 아파트 거래 '뚝'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7 ‘상투 잡았나’ 집 계약 취소 속출… 李 ‘맛보기’ 발언에 숨죽이는 시장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6 ‘60만명 동의’ 이준석 제명 국회 청원, 역대 2위로 마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5 대구 아파트 14층서 불…“제습기서 화재 추정”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4 “억대 계약금 날려도 포기”...서울 집값, 드디어 잡히나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3 "한끼에 30만원 초호화"…특급호텔 여름 보양식, 뭐가 나오길래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2 이진숙 후보자 '논문 중복게재 의혹'…野 "범죄수준 사퇴하라"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1 “전세사기 공포에 세입자 외면” 빌라 공급 절벽 심화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0 '주담대 6억 제한' 약발 셌다…송파·서초 집거래 1주새 90% 급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89 “야구장 갈 맛 나네”...한화 팬들 난리난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88 “삼성전자 시총의 13배”...AI 열풍 타고 ‘급등’ new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