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 앵커 ▶
해수욕장 소식과 함께 잠시 더위 좀 잊으셨나요?
그런데 ,올 여름 날씨가 심상치 않습니다.
예년보다 장마가 일찍 시작됐는데, 제주와 남부지방의 장마는 벌써 끝이 났습니다.
그리고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죠.
기후학자들은 우리가 알던 전통적인 장마와 여름은 사라졌다고 말합니다.
현인아 기후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제주도에서 6월에 장마가 끝난 건 올해가 처음입니다.
남부지방 장마는 기상관측 사상 2번째로 일찍 끝났습니다.
그 자리를 기록적인 폭염이 뒤덮었습니다.
지난 달 전국 평균기온은 기상관측 사상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장마를 밀어낸 폭염의 원인은 남쪽에서 올라오는 열기와 습기입니다.
지난달 하순 관측된 북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의 모습입니다.
예년 같으면 일본 오키나와와 대만 부근에 있어야 할 아열대 고기압이 제주도 남쪽까지 밀려왔습니다.
아열대 고기압의 확장은 올해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2천 년대는 태평양의 섬처럼 보이던 고기압이 2010년대와 2020년대는 마치 열풍선이 부풀 듯 덩치를 키우며 동아시아로 다가옵니다.
열풍선에 열기를 불어넣는 건 갈수록 뜨거워지는 기온과 바닷물 온도입니다.
[김백민/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
"해마다 북태평양 고기압이 빠르게 점점 더 북상하는 경향성이 감지되었거든요. 최근 20~30년 동안 지구 온난화에 따라서 나타나고 있는 일반적인 경향성이라고 할 수 있고요."
기후학자들은 또 다른 원인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적도 부근 대서양 동쪽이 차갑게 식는 이른바 ‘대서양-니냐’ 현상입니다.
아프리카 서해안에서 남미 브라질 부근까지 바다가 식어 온통 파랗게 보입니다.
대서양 수온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대기 흐름을 더 격하게 뒤흔들어 멀리 북태평양 고기압 강화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겁니다.
[예상욱/한양대 해양융합공학과 교수]
"대서양 니냐 현상이 북태평양 고기압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유는 대서양의 해수면 온도가 점점 증가하면서 대기 순환을 강제력화 시키고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동합니다.)"
기후학자들은 우리가 알던 전통적인 장마와 여름은 사라진 지 오래라고 지적합니다.
[예상욱/한양대 해양융합공학과 교수]
"전통적인 장마는 거의 사라졌다. 2020년대 들어서는 비정상적인 장마가 정상화돼 보이는. 강수 또는 기온 측면에서도 변동 폭이 매우 커졌다."
전문가들은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열대야가 장기간 이어지다 예상치 못한 폭우로 돌변하는 복합재난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MBC뉴스 현인아입니다.
영상편집 : 허유빈 / 영상제공 : NASA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카카오톡 @mbc제보
MBC
현인아([email protected]) 영상편집 : 허유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