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 특검의 2차 조사를 받기 위해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은석 내란 특검팀은 5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소환 조사를 9시간여 만에 마쳤다. 당초 심야 조사 가능성도 나왔지만 특검팀이 준비한 질의가 원활히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 조사를 마치고 국무위원에 대한 직권남용 혐의를 집중 추궁했다. 외환 혐의도 조사가 이뤄졌다.

특검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이 오후 6시34분께 조사 종료 후 열람 중”이라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이 서울고검 출석 직후 오전 9시4분 조사를 시작한지 9시간30분 만이다. 지난 28일 1차 소환 실제 조사 시간인 5시간보다 3시간 정도 길게 조사가 이뤄졌다. 당시에는 윤 전 대통령이 조사를 위해 서울고검에 머문 것은 약 15시간으로 더 길었지만 조사자 교체를 요구하면서 3시간30분간 조사가 중단됐다.

특검팀은 이번 조사에서는 속도와 효율성에 방점을 뒀다. 윤 전 대통령이 조사자 교체를 요구해 온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 박창환 총경이 직접 신문하지 않고 조사 지원 역할을 맡도록 전략을 짰다. 윤 전 대통령도 조사 질의에 대해 적극적으로 답변했다고 한다. 특검팀 관계자는 “저희가 준비한 질문은 오늘 다 완료했다”며 “순조롭고 빠르게 진행됐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 특검의 2차 조사를 받기 위해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출석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 방해 혐의는 오전에 마무리됐다. 오후 12시 5분부터 1시 7분까지는 인근 식당에서 배달한 설렁탕으로 점심 식사를 했다. 점심 직후 조사에서는 보안 휴대전화(비화폰) 통화기록 삭제 지시 혐의에 대한 조사도 마쳤다.12·3 비상계엄 당시 국무회의와 관련해 국무위원 대상 직권남용 혐의 조사가 집중됐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의 정족수 11명을 채우기 위해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 특정 국무위원만 부른 것인지 의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4일 ‘안가회동’ 다음날인 5일 사후 계엄 선포문이 만들어지고 이후 폐기된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 관여 정도도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5일 김주현 전 민정수석 전화를 받고 만든 문건이 단순 ‘행정 문건’인지 국무회의 당시 비상계엄 선포문엔 부서(서명)가 없어 헌법 절차를 거치지 않은 점을 뒤늦게 파악한 뒤 이를 감추기 위한 것인지 등을 파악하고 있다. 7일 윤 전 대통령 결재까지 받은 이 문건은 한 전 총리 요청으로 강 전 실장이 10일 윤 전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폐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 특검의 2차 조사를 받기 위해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특검팀은 2차 소환 통지서에 새로 적시된 외환 혐의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요건인 국가비상사태를 조성하려고 북한에 무인기를 보내거나 오물풍선 원점 타격 검토 등 북한의 도발을 유도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특검팀은 ‘평양 무인기 침투’ 의혹 관련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V(윤 전 대통령) 지시다. 국방부와 합참 모르게 해야 된다(고 했다)”는 등 현역 장교 제보 녹취록 등을 기반으로 질의한 것으로 예상된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조사를 마친 뒤 저녁 식사를 하지 않고 조서 열람을 이어갔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 내용이 방대한 만큼 특검팀은 추가 소환 조사를 검토하고 있다. 특검팀 관계자는 “조사 내용 등을 검토해서 결정해야할 것 같다”며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말씀드릴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275 한스텝 빠른 조은석 스타일… 내란특검, ‘n차 소환’ 대신 속도전 랭크뉴스 2025.07.07
52274 김건희 특검, ‘삼부토건·양평고속도로’ 의혹 원희룡 겨누나 랭크뉴스 2025.07.07
52273 5. 동성애에 관한 김대중·이회창·이인제·권영길, 그리고 바틀릿의 말[말했다] 랭크뉴스 2025.07.07
52272 소비쿠폰, 쿠팡·스벅선 '불가' 배민 조건부 적용…11월까지 안 쓰면 ‘환수’ 랭크뉴스 2025.07.07
52271 이젠 트럼프의 최대 정적…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랭크뉴스 2025.07.06
52270 [속보] 與 "가공식품 가격 인상률 최소화" 요청…정부 "적극 검토" 랭크뉴스 2025.07.06
52269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논문 의혹 이어 ‘MB 4대강 자문위원’ 이력 도마에 랭크뉴스 2025.07.06
52268 사사건건 어깃장 놓은 ‘법꾸라지’…윤, 넉 달 만에 재수감 기로 랭크뉴스 2025.07.06
52267 병원장 임명 때마다 ‘낙하산’ 논란… 대통령이 임명하는 이상한 법 랭크뉴스 2025.07.06
52266 노부부 타고 가던 전동차 농수로에 추락…80대 아내 숨져 랭크뉴스 2025.07.06
52265 반복되는 맨홀 속 질식사고…인천서 1명 심정지, 1명 실종 랭크뉴스 2025.07.06
52264 터널서 차선 변경하다 '쾅'…여성 2명 사망·50대 운전자 중상 랭크뉴스 2025.07.06
52263 이재명 정부 첫 고위당정…"수단 총동원, 물가 잡는다" 랭크뉴스 2025.07.06
52262 특검, ‘증거’ 자신감에 속전속결…윤 일관된 혐의 부인도 영향 랭크뉴스 2025.07.06
52261 “주제 파악해”“10분마다 보고” 여친 협박·폭행한 20대 징역 3년 랭크뉴스 2025.07.06
52260 “CCTV에 찍힌 낯선 남성” 농촌 지역 고령층 노린 성범죄 랭크뉴스 2025.07.06
52259 美재무 "협상 진전없는 국가들은 8월 1일부터 상호관세 재부과" 랭크뉴스 2025.07.06
52258 李대통령, 7일 유흥식 추기경 접견… 취임 후 종교 인사 첫 만남 랭크뉴스 2025.07.06
52257 국정위, '개헌요구' 시민단체와 간담회…"시기·절차는 더 고민" 랭크뉴스 2025.07.06
52256 “‘남은 음식’ 반값에” 구매 열풍…가치 소비로도 확장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