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 특검의 2차 조사를 받기 위해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은석 내란 특검팀은 5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소환 조사를 9시간여 만에 마쳤다. 당초 심야 조사 가능성도 나왔지만 특검팀이 준비한 질의가 원활히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 조사를 마치고 국무위원에 대한 직권남용 혐의를 집중 추궁했다. 외환 혐의도 조사가 이뤄졌다.

특검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이 오후 6시34분께 조사 종료 후 열람 중”이라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이 서울고검 출석 직후 오전 9시4분 조사를 시작한지 9시간30분 만이다. 지난 28일 1차 소환 실제 조사 시간인 5시간보다 3시간 정도 길게 조사가 이뤄졌다. 당시에는 윤 전 대통령이 조사를 위해 서울고검에 머문 것은 약 15시간으로 더 길었지만 조사자 교체를 요구하면서 3시간30분간 조사가 중단됐다.

특검팀은 이번 조사에서는 속도와 효율성에 방점을 뒀다. 윤 전 대통령이 조사자 교체를 요구해 온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 박창환 총경이 직접 신문하지 않고 조사 지원 역할을 맡도록 전략을 짰다. 윤 전 대통령도 조사 질의에 대해 적극적으로 답변했다고 한다. 특검팀 관계자는 “저희가 준비한 질문은 오늘 다 완료했다”며 “순조롭고 빠르게 진행됐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 특검의 2차 조사를 받기 위해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출석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 방해 혐의는 오전에 마무리됐다. 오후 12시 5분부터 1시 7분까지는 인근 식당에서 배달한 설렁탕으로 점심 식사를 했다. 점심 직후 조사에서는 보안 휴대전화(비화폰) 통화기록 삭제 지시 혐의에 대한 조사도 마쳤다.12·3 비상계엄 당시 국무회의와 관련해 국무위원 대상 직권남용 혐의 조사가 집중됐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의 정족수 11명을 채우기 위해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 특정 국무위원만 부른 것인지 의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4일 ‘안가회동’ 다음날인 5일 사후 계엄 선포문이 만들어지고 이후 폐기된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 관여 정도도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5일 김주현 전 민정수석 전화를 받고 만든 문건이 단순 ‘행정 문건’인지 국무회의 당시 비상계엄 선포문엔 부서(서명)가 없어 헌법 절차를 거치지 않은 점을 뒤늦게 파악한 뒤 이를 감추기 위한 것인지 등을 파악하고 있다. 7일 윤 전 대통령 결재까지 받은 이 문건은 한 전 총리 요청으로 강 전 실장이 10일 윤 전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폐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 특검의 2차 조사를 받기 위해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특검팀은 2차 소환 통지서에 새로 적시된 외환 혐의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요건인 국가비상사태를 조성하려고 북한에 무인기를 보내거나 오물풍선 원점 타격 검토 등 북한의 도발을 유도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특검팀은 ‘평양 무인기 침투’ 의혹 관련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V(윤 전 대통령) 지시다. 국방부와 합참 모르게 해야 된다(고 했다)”는 등 현역 장교 제보 녹취록 등을 기반으로 질의한 것으로 예상된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조사를 마친 뒤 저녁 식사를 하지 않고 조서 열람을 이어갔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 내용이 방대한 만큼 특검팀은 추가 소환 조사를 검토하고 있다. 특검팀 관계자는 “조사 내용 등을 검토해서 결정해야할 것 같다”며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말씀드릴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065 "너도나도 일본·중국 가더니"…국내선 공급 110만석 줄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64 “건설자재 옮기는 로봇 나왔다” 삼성물산·현대건설 공동개발 ‘첫 시연’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63 특별감찰관 9년만에 부활? 文 때도 반대, 李 뒤집은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62 ‘이스라엘 암살 표적’ 이란 최고지도자, 전쟁 후 첫 공식석상 등장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61 상호관세 유예 종료 임박…여한구 본부장 미국 방문해 연장 협상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60 “지금 서둘러야” 면허 갱신 미뤘다간 과태료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59 “장사 안돼서 접었어요”...폐업자 사상 최대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58 서·연·고 새내기 중 자사고·특목고 출신 비율 ‘뚝’···의대 정원 늘어서?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57 "마누라 빼고 다 바꿨다"...확 달라진 기아[2025 100대 CEO]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56 민주 “법꾸라지 尹의 사법농락…즉각 구속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55 정은경, 재산 56억원 신고... 배우자 손소독제 주식 포함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54 친딸 40년 성폭행에 손녀까지…인면수심 70대 '징역 25년' 불복해 상고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53 美 텍사스주 돌발 홍수 피해 확대… 최소 32명 사망, 수 십 명 실종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52 위성락 안보실장 “대미 관세협상·안보 협의 중요 국면”···워싱턴서 루비오 국무장관 면담할듯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51 5·18 왜곡에 벌금형·무더기 기소…특별법 제정 4년 만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50 머스크 ‘신당 창당’ 발표에 떠는 서학개미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49 통상-안보, '올코트프레싱' 방미협상…主의제는 관세·정상회담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48 “참치에서 고부가가치 소재 뽑는다”… 블루푸드테크 뛰어든 동원F&B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47 SNS에서 인기 폭발한 현대차그룹 주차 로봇 동영상, 사실은···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46 위성락 "대미 통상·안보 중요 국면... 한미 정상회담 등 협의" new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