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이번에 전 국민에게 지급되는 소비쿠폰은 지역의 소상공인들에게만 쓸 수 있습니다.
소비 침체로 어려움을 겪어온 동네 가게들을 살려서 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한 건데요.
지원금은 어떻게 받아서 어디에 쓸 수 있는 건지 김민형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 리포트 ▶
2차 추가경정예산에 포함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1차와 2차 두 차례로 나눠 국민들에게 지급됩니다.
1차 소비쿠폰은 전 국민이 받는데, 그 금액은 소득과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기본 금액은 15만 원이고 차상위계층과 한부모가족은 3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는 40만 원이 지급됩니다.
여기에 비수도권은 3만 원, 농어촌 인구 감소 지역은 5만 원을 더 줍니다.
수도권은 최소 15만 원만 주지만, 지방 취약계층은 최대 45만 원까지 줘서, 빈곤층 소득지원 역할을 하겠다는 겁니다.
신청은 7월 21일부터 9월 12일까지 약 8주간 진행됩니다.
신청자가 몰릴 것으로 보이는 첫 주엔, 몇 년에 태어났는지 끝자리에 따라 요일에 맞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체크카드로 받으려면 카드사에, 선불카드나 지역사랑상품권을 원한다면 지방자치단체에 신청하면 됩니다.
아무 데서나 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자기 주소지인 광역시·특별시 또는 시군 내에서 써야 하고, 대형마트나 백화점, 외국계 매장이 아닌 말 그대로 동네 가게, 지역 소상공인에게만 쓸 수 있습니다.
치킨집이나 편의점 같은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는 쓸 수 있습니다.
지역경제 활성화 역시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한순기/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장]
"대표적으로 전통시장, 동네 마트, 식당, 의류점, 미용실, 안경점, 교습소, 학원 등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업종에서는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차 쿠폰은 9월 말과 10월 말 신청을 받습니다.
건강보험료 납부실적 기준으로 소득 상위 10%를 뺀 90% 국민에게 이번엔 똑같이 10만 원씩 줍니다.
1, 2차 쿠폰 모두 11월 30일까지 안 쓰면 자동 소멸됩니다.
정부는 추경예산으로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약 113만여 명이 7년 넘게 못 갚고 있는 빚 116조여 원 부담도 덜어주기로 했습니다.
또 소비자가 텔레비전, 세탁기, 식기세척기 등 11개 가전제품을 살 때 에너지 소비효율 최고등급 제품을 사면, 제품값의 10%를 돌려주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김민형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