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북도, 내년부터 참여자 유족에 지급
"130년 전 사건을 보상하나" 지적에
"임진왜란·삼국통일 수당은?" 조롱
관련 조례 발의한 염영선 전북도의원
"12·3 계엄 때 확인한 민주주의의 힘
동학농민혁명에서 뿌리 찾을 수 있어"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지도자였던 전봉준과 참여자들을 그린 '동학혁명군 백산봉기도'.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제공


"임진왜란 참전 유족이다. 우리도 챙겨 달라." "삼국통일 수당은 없나."

전북특별자치도가 내년부터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에게 수당을 지급하기로 결정한 사실이 알려지자, 최근 온라인 공간에선 이 같은 조롱을 담은 게시글이 넘쳐나고 있다. 전북도 결정은 "세금 낭비"라는 게 비판의 골자다. 반면에 동학농민혁명은 항일·민주화운동의 모태로 평가되는 만큼, 유족에 대한 예우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만만찮다.

5일 전북도와 도의회에 따르면, 내년부터 전북 지역에 거주하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은 일정 금액의 수당을 받는다. 지난해 9월 개정된 '전북특별자치도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가 수당 지급의 근거다. 유족 범위는 혁명 참여자의 자녀와 손자녀, 증손자녀, 고손자녀까지다.

수당액이나 지급 방식은 올 하반기 추가 논의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이미 전북 정읍시는 2020년부터 관내 유족에게 1인당 월 10만 원의 수당을 제공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중 첫 사례인데, 전북도 역시 이를 참고해 '매월 10만 원 지급'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수급 자격이 있는 유족 수는 지난달 기준 915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에게 매달 10만 원씩 수당을 지급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10억9,800만 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 전봉준의 순국 123주기를 맞아 2018년 서울 종로구 영풍문고 앞에 세워진 동상. 홍인기 기자


전북도가 유족 수당을 신설하면서까지 유공자 예우에 나선 이유는 동학농민혁명 발원지가 전북 지역(정읍 고부면)이어서다. 조례는 동학농민혁명을 '1894년 3월 봉건 체제를 개혁하기 위하여 1차로 봉기하고, 같은 해 9월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국권을 수호하기 위하여 2차로 봉기해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농민 중심의 혁명'으로 규정했다. 동학농민혁명은 3·1운동과 4·19혁명, 5·18민주화운동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런 이유로 혁명 관련 기록물은 2023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그러나 수당 지급에 대한 여론이 호의적이지만은 않다. 우선 130여 년 전 조선시대 때 벌어진 사건에 관한 보상을 실시하기엔 시간이 너무나 지났다는 이유에서다. 한 누리꾼은 직장인 커뮤니티에 "처음에는 가짜뉴스인 줄 알았다"며 "역사책에서 보던 개화기 시절의 일을 2025년에 논의하는 게 믿기지 않는다"고 적었다.

다른 구국운동과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된다. 한 누리꾼은 "내 조상님은 고려를 건립한 개국공신 중 한 명인데 나도 10만 원을 받을 수 있나"라고 비꼬았고, 다른 누리꾼도 "병인양요(1866년), 신미양요(1871년) 등에 참여한 군인 유족도 수당을 줘야 한다"고 거들었다. 국가유공자 범위가 무분별하게 확대돼 포퓰리즘에 빠질 수 있다는 취지였다.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에게 수당을 지급하는 내용의 조례를 지난해 대표 발의한 전북도의회 소속 염영선 의원. 염 의원 제공


조례를 대표 발의한 전북도의회 소속 염영선(정읍2) 의원은 "거센 비판이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염 의원은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차에서 논란이 벌어진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불법 계엄 선포와 탄핵 과정을 통해 우리 사회는 민주주의의 힘을 느낄 수 있었다"며 "그 뿌리를 동학농민혁명에서 찾을 수 있는데, 유공자 측에 대한 아무런 보상이 없다는 건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동학농민혁명과 비슷한 시기에 벌어진 항일운동에 대해선 이미 국가적 예우가 이뤄지고 있다는 게 염 의원 설명이다. 그는 "동학농민혁명 발생 이듬해인 1895년에 일어난 을미의병 사건과 관련해선 국가보훈부가 참여자에게 서훈을 했다"며 "같은 항일 투쟁인 동학농민혁명을 달리 취급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다른 사건들과의 형평성 논란도 일축했다. 염 의원은 "임진왜란 등 주요 사건들은 이미 그 시대에 유공자 보상이 이뤄졌다"며 "(하지만) 동학농민혁명의 경우 처음엔 '반란'으로 평가(매도)된 만큼 유족들이 100년 넘게 숨어 지내야 했다"고 반박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753 [사설] 국민의힘, 이 정도면 고쳐 쓰기 어려운 것 아닌가 랭크뉴스 2025.07.08
52752 유네스코 ‘군함도 논의’ 무산, 한·일 과거사 첫 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8
52751 하반기 13만 가구 분양… 복병은 대출 규제 랭크뉴스 2025.07.08
52750 “내 운동·여행 후기를 통째로”… AI 악용한 콘텐츠 도용 확산 랭크뉴스 2025.07.08
52749 뉴욕증시, 무역 관세 불확실성 앞두고 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7.08
52748 [사설] 韓 잠재성장률 1%대…단기 부양 대신 구조개혁 속도 낼 때다 랭크뉴스 2025.07.08
52747 “민주당 시스템 배워야 당이 산다”… 침몰하는 국힘 내부 자성 목소리 랭크뉴스 2025.07.08
52746 상가건물 추락 여성이 행인 덮쳐‥10대 딸 숨지고 엄마는 심정지 랭크뉴스 2025.07.08
52745 [사설] 與野 경제 공통 공약은 빠르게 추진하고 쟁점 법안은 숙의해야 랭크뉴스 2025.07.08
52744 "헬리코박터 검사·치료하면 세계 위암 1천186만명 예방 가능" 랭크뉴스 2025.07.08
52743 '항암 효과 500배' 이것 충격 반전…"절대 먹지 말라" 경고 나왔다 랭크뉴스 2025.07.08
52742 ‘고교 자퇴’ 검정고시생 31년 만에 최다…공교육 위협하나? 랭크뉴스 2025.07.08
52741 기온만큼 치솟는 냉매 가격, 중국이 쥔 한국 에어컨 리모콘 랭크뉴스 2025.07.08
52740 "尹 변호인 나가자 김성훈 진술 달라져"‥'회유 가능성' 강조 랭크뉴스 2025.07.08
52739 이란 대통령 "이스라엘, 날 암살하려 했지만 실패" 랭크뉴스 2025.07.08
52738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한·일 과거사 표 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8
52737 18㎞ 상공까지 치솟았다…화산 분화에 발리 오가는 항공기 줄취소 랭크뉴스 2025.07.08
52736 진술거부권 안 쓴 김계환, ‘수사외압’ 입장 뒤집을까 랭크뉴스 2025.07.07
52735 ‘군함도’ 유네스코 의제 채택 무산…정부 한·일관계 첫 시험대 랭크뉴스 2025.07.07
52734 '살인의 추억' 이춘재 찍었다…1400번 뽑아낸 '속옷 DNA' 비밀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