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북도, 내년부터 참여자 유족에 지급
"130년 전 사건을 보상하나" 지적에
"임진왜란·삼국통일 수당은?" 조롱
관련 조례 발의한 염영선 전북도의원
"12·3 계엄 때 확인한 민주주의의 힘
동학농민혁명에서 뿌리 찾을 수 있어"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지도자였던 전봉준과 참여자들을 그린 '동학혁명군 백산봉기도'.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제공


"임진왜란 참전 유족이다. 우리도 챙겨 달라." "삼국통일 수당은 없나."

전북특별자치도가 내년부터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에게 수당을 지급하기로 결정한 사실이 알려지자, 최근 온라인 공간에선 이 같은 조롱을 담은 게시글이 넘쳐나고 있다. 전북도 결정은 "세금 낭비"라는 게 비판의 골자다. 반면에 동학농민혁명은 항일·민주화운동의 모태로 평가되는 만큼, 유족에 대한 예우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만만찮다.

5일 전북도와 도의회에 따르면, 내년부터 전북 지역에 거주하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은 일정 금액의 수당을 받는다. 지난해 9월 개정된 '전북특별자치도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가 수당 지급의 근거다. 유족 범위는 혁명 참여자의 자녀와 손자녀, 증손자녀, 고손자녀까지다.

수당액이나 지급 방식은 올 하반기 추가 논의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이미 전북 정읍시는 2020년부터 관내 유족에게 1인당 월 10만 원의 수당을 제공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중 첫 사례인데, 전북도 역시 이를 참고해 '매월 10만 원 지급'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수급 자격이 있는 유족 수는 지난달 기준 915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에게 매달 10만 원씩 수당을 지급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10억9,800만 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 전봉준의 순국 123주기를 맞아 2018년 서울 종로구 영풍문고 앞에 세워진 동상. 홍인기 기자


전북도가 유족 수당을 신설하면서까지 유공자 예우에 나선 이유는 동학농민혁명 발원지가 전북 지역(정읍 고부면)이어서다. 조례는 동학농민혁명을 '1894년 3월 봉건 체제를 개혁하기 위하여 1차로 봉기하고, 같은 해 9월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국권을 수호하기 위하여 2차로 봉기해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농민 중심의 혁명'으로 규정했다. 동학농민혁명은 3·1운동과 4·19혁명, 5·18민주화운동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런 이유로 혁명 관련 기록물은 2023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그러나 수당 지급에 대한 여론이 호의적이지만은 않다. 우선 130여 년 전 조선시대 때 벌어진 사건에 관한 보상을 실시하기엔 시간이 너무나 지났다는 이유에서다. 한 누리꾼은 직장인 커뮤니티에 "처음에는 가짜뉴스인 줄 알았다"며 "역사책에서 보던 개화기 시절의 일을 2025년에 논의하는 게 믿기지 않는다"고 적었다.

다른 구국운동과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된다. 한 누리꾼은 "내 조상님은 고려를 건립한 개국공신 중 한 명인데 나도 10만 원을 받을 수 있나"라고 비꼬았고, 다른 누리꾼도 "병인양요(1866년), 신미양요(1871년) 등에 참여한 군인 유족도 수당을 줘야 한다"고 거들었다. 국가유공자 범위가 무분별하게 확대돼 포퓰리즘에 빠질 수 있다는 취지였다.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에게 수당을 지급하는 내용의 조례를 지난해 대표 발의한 전북도의회 소속 염영선 의원. 염 의원 제공


조례를 대표 발의한 전북도의회 소속 염영선(정읍2) 의원은 "거센 비판이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염 의원은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차에서 논란이 벌어진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불법 계엄 선포와 탄핵 과정을 통해 우리 사회는 민주주의의 힘을 느낄 수 있었다"며 "그 뿌리를 동학농민혁명에서 찾을 수 있는데, 유공자 측에 대한 아무런 보상이 없다는 건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동학농민혁명과 비슷한 시기에 벌어진 항일운동에 대해선 이미 국가적 예우가 이뤄지고 있다는 게 염 의원 설명이다. 그는 "동학농민혁명 발생 이듬해인 1895년에 일어난 을미의병 사건과 관련해선 국가보훈부가 참여자에게 서훈을 했다"며 "같은 항일 투쟁인 동학농민혁명을 달리 취급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다른 사건들과의 형평성 논란도 일축했다. 염 의원은 "임진왜란 등 주요 사건들은 이미 그 시대에 유공자 보상이 이뤄졌다"며 "(하지만) 동학농민혁명의 경우 처음엔 '반란'으로 평가(매도)된 만큼 유족들이 100년 넘게 숨어 지내야 했다"고 반박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622 가덕도 철수에 부산시 입찰제한 요구… 현대건설 벡스코 3전시장 수주할까 랭크뉴스 2025.07.07
52621 부산 아파트 화재 사고 2건 모두 에어컨 등 고전력 제품에 쓴 ‘멀티탭’서 발화 추정 랭크뉴스 2025.07.07
52620 이 대통령 “산업재해 잇따라 발생, 일터의 죽음 멈출 특단 조치 마련해야” 랭크뉴스 2025.07.07
52619 '쌍권 인적청산' 충돌에 초강수 뒀다…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전말 랭크뉴스 2025.07.07
52618 ‘추가 구속 기로’ 노상원 “큰 사건에 휘말려 후회스럽다”···반성보다 발뺌 랭크뉴스 2025.07.07
52617 [단독] 박강수 마포구청장, 주식 백지신탁 항소심 패소 랭크뉴스 2025.07.07
52616 '내 주식 어쩌나'...머스크 신당 창당에 긴장하는 서학개미 랭크뉴스 2025.07.07
52615 푹푹 찌는 무더위에 온열질환자 83% 급증… 2명 또 사망 랭크뉴스 2025.07.07
52614 [단독] 尹 "김성훈은 진술 안 했을 것"... 특검 "부하에 유리한 진술 유도" 랭크뉴스 2025.07.07
52613 방송 3법, 민주당 강행 처리… 국민의힘 반발 랭크뉴스 2025.07.07
52612 13층 상가서 10대 추락, 지나던 행인 덮쳐 1명 사망·2명 심정지 랭크뉴스 2025.07.07
52611 '윤석열 방어권 권고' 안창호·김용원 등 5명 내란 특검에 고발 랭크뉴스 2025.07.07
52610 “윤석열 구속 100%”…반바지 활보 내란수괴 그만 봐도 되나 랭크뉴스 2025.07.07
52609 삼성중공업, 모잠비크 FLNG 사실상 수주…계약금만 8700억원 랭크뉴스 2025.07.07
52608 건물 옥상서 10대 추락해 행인 3명 덮쳐‥1명 사망·2명 심정지 랭크뉴스 2025.07.07
52607 홀로살던 제주 70대 치매노인 실종 이틀 만에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7.07
52606 손에서 터져도 안전한 수류탄? (쿠키영상 있음) [밀리K] 랭크뉴스 2025.07.07
52605 李대통령, 인천 맨홀사고에 "일터의 죽음 멈출 특단조치 마련" 랭크뉴스 2025.07.07
52604 “6개월 내 2나노 공정 완성하라”… 삼성전자 반도체 경영진에 내려진 특명 랭크뉴스 2025.07.07
52603 상호관세 부과 코앞인데 혼란뿐인 한국… 8월 1일까지 관세 유예될까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