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일본에서 주간 백일해 감염자 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환자 수가 전년 대비 급증하는 등 방역 당국과 의료계에 비상이 걸렸다.

일본 국립건강위기관리연구기구에 따르면 지난달 16~22일까지 전국 의료기관에서 총 3211건의 백일해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이는 전주 대비 241명 증가한 것으로 2018년 집계 시작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로써 올해 들어 일본 내 누적 백일해 환자 수는 총 3만5810명에 달하게 됐다.

우리나라 상황도 심상치않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백일해 감염자는 2023년 292명에서 지난해 2만8048명으로 164.5배나 폭증했다. 특히 미취학 영유아 및 학령기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감염이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보르데텔라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 질환인 백일해는 ‘무려 100일 동안 기침을 한다’는 뜻에서 병명이 붙여졌다. 주로 감염된 사람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전파될 정도로 전염성이 매우 높다.

초기 증상은 콧물, 발열, 경미한 기침 등 일반 감기와 비슷하다. 하지만 점차 기침이 심해져 발작성 기침이 나타나며,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 특히 ‘흡’ 하는 소리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심한 경우 구토가 동반되기도 한다. 연령이 어릴수록 사망률이 높으며, 폐렴, 뇌출혈 등 심각한 합병증까지 발생할 수 있다.

백일해는 예방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생후 2,4,6개월 및 만 15~18개월, 4~6세 시기에 접종이 이뤄지며, 청소년과 성인도 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 백일해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항생제 치료다. 감염 초기인 첫 2주 또는 기침이 시작된 후 최대 3주 이내에 항생제를 사용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3개월 미만의 영아나 심폐질환, 신경질환이 있는 소아는 입원 치료가 원칙이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83 이스라엘, 휴전 협상 앞두고 하마스 수정안 거부…7일 트럼프와 회담 랭크뉴스 2025.07.06
51982 트럼프에 등 돌린 머스크, ‘아메리카당’ 창당 선언…내년 중간선거 조준 랭크뉴스 2025.07.06
51981 5년 동안 25억8000만원···회삿돈 빼돌려 쓴 40대 경리 징역형 집유 랭크뉴스 2025.07.06
51980 "화장실에서 휴대폰 만지다가 '큰일'…손 씻어도 소용 없어" 전문가 경고보니 랭크뉴스 2025.07.06
51979 "더워 죽겠는데 이걸 산다고? 대체 왜?"…매출 5억 '대박' 터진 상품 뭐길래 랭크뉴스 2025.07.06
51978 尹 3차 소환? 구속영장 청구?…2차조사 마친 내란특검 고심 랭크뉴스 2025.07.06
51977 참아라? 스폰지밥? 먹방? 러브버그가 부른 각양각색 '민낯들' 랭크뉴스 2025.07.06
51976 [샷!] 외국인이 한국 오면 꼭 하는 이것 랭크뉴스 2025.07.06
51975 '샤워하는 모습 보려고'…지인 집 몰래 들어간 30대 징역형 집유 랭크뉴스 2025.07.06
51974 납북자가족모임, 8일 임진각서 “대북 전단 살포 전면 중단” 공식 선언한다 랭크뉴스 2025.07.06
51973 '트럼프法'에 반기 든 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랭크뉴스 2025.07.06
51972 갈 곳 못 정한 채···미 과학재단도 난데없이 내쫓긴다, 트럼프 몽니에 랭크뉴스 2025.07.06
51971 55년 만에 열린 ‘하늘 아래 가장 높은 샘’…한라산 백록샘 첫 공개 랭크뉴스 2025.07.06
51970 "스타벅스가 한국에만 들여오더니"…'이것' 도입한 매장이 돈 더 벌었다 랭크뉴스 2025.07.06
51969 거리에서 제철 과일을 파는 여성 노인, '탄소 중립'의 조용한 실천자 랭크뉴스 2025.07.06
51968 1주일 만에 또 워싱턴행‥"관세 유예 또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7.06
51967 전 국민 15만 원‥비수도권·취약계층 더 두텁게 랭크뉴스 2025.07.06
51966 ‘트럼프 반기’ 머스크, 신당 창당…“오늘 아메리카당 출범” 랭크뉴스 2025.07.06
51965 초강력 대출규제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거래금액 65% ‘뚝’ 랭크뉴스 2025.07.06
51964 동물복지일까 농가 담합일까…달걀값이 오른 까닭은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