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뇌 먹는 아메바’라 불리는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fowleri). 사진 CDC 홈페이지 캡처
중국에서 5세 여아가 온천욕 후 ‘뇌 먹는 아메바’로 불리는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fowleri)에 감염돼 혼수상태에 빠졌다.

5일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A양(5)은 지난달 7일과 14일 두 차례 부모와 함께 중국 푸젠성 샤먼시에 있는 한 온천에 방문한 뒤 같은 달 22일 두통과 미열, 구토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증상이 심해져 이튿날 병원에 입원했으나 상태가 급격히 악화돼 혼수상태에 빠졌다.

병원 측은 정밀 검사를 통해 A양이 파울러자유아메바에 감염됐다고 밝혔다. 파울러자유아메바는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따뜻한 담수 환경에서 번성하며, 감염 시 치명적인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높은 원충이다.

사람이 이 아메바에 감염되는 주요 경로는 코를 통한 침투다. 물놀이 중 물이 코를 통해 흡입되면 아메바가 후각 신경을 따라 뇌로 이동해 뇌 조직을 파괴한다. 이 과정에서 뇌에 심각한 염증과 부종을 유발하기 때문에 ‘뇌 먹는 아메바’라고 불린다.

잠복기는 짧게는 2~3일, 길게는 7~15일까지다. 감염 초기에는 두통·정신 혼미·후각 상실 등이 나타나며 기도 상부에서 증상이 관찰된다. 감염이 진행될수록 점차 두통이 심해지고 발열과 구토 등이 나타난다. 다만 사람 간 전파는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아메바는 드물게 인체에 감염되지만 감염 시 치사율이 97%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1937년 미국 버지니아에서 첫 감염 사례가 확인된 이후 2018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381건의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특히 미국에서는 1962년부터 2021년까지 총 154건의 감염 사례가 있었는데 이 중 4명만 생존했다. 치료제는 몇 가지 실험적 약물이 있지만 명확한 치료법은 아직 확립돼 있지 않다.

한국에서도 이 아메바에 의한 사망 사례가 존재한다. 2022년 태국에서 4개월 간 머물다 귀국한 50대 남성이 뇌수막염으로 숨진 후 검체 검사를 통해 파울러자유아메바 감염이 확인됐고 이는 국내 첫 사례로 보고됐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026 위성락 오늘 방미‥"한미 정상회담·관세·안보 등 현안 논의" 랭크뉴스 2025.07.06
52025 이재명·트럼프 만남 성사되나 랭크뉴스 2025.07.06
52024 중국 공습에 석유화학 '보릿 고개'...위기 돌파 묘수는[2025 100대 CEO] 랭크뉴스 2025.07.06
52023 나경원 “단식·삭발만 농성이냐?…잠 못 자고 아침부터 앉아 있었다” 랭크뉴스 2025.07.06
52022 오늘 이재명 정부 첫 고위당정‥추경 집행 등 논의할 듯 랭크뉴스 2025.07.06
52021 방미 위성락 "통상·안보 협의 중요 국면…정상회담·관세 협의"(종합) 랭크뉴스 2025.07.06
52020 굴삭기 들이대자 구덩이서 튀어나왔다...영화같았던 마약왕 검거 랭크뉴스 2025.07.06
52019 국힘, 이진숙 ‘논문 표절 의혹’에 공세 집중···“연구윤리 파괴자, 사퇴해야” 랭크뉴스 2025.07.06
52018 강훈식 “이 대통령, 처음부터 대통령이었던 것처럼 일해” 랭크뉴스 2025.07.06
52017 ‘성폭력 발언’ 이준석 제명 청원 60만4630명으로 마감···동의 수 역대 2위 랭크뉴스 2025.07.06
52016 “부산 시민은 25만원 필요 없다”는 박수영에 “물어 봤나” 랭크뉴스 2025.07.06
52015 "장난치다가"…고양서 인형뽑기 기계에 갇힌 20대 랭크뉴스 2025.07.06
52014 머스크 "신당 '미국당' 창당"…트럼프 킹메이커→반란군 변신?(종합) 랭크뉴스 2025.07.06
52013 [속보]위성락 “한미정상회담 협의…美카운터파트와 면담 추진” 랭크뉴스 2025.07.06
52012 위성락 "대미 통상·안보 협의 중요 국면…정상회담·관세 협의" 랭크뉴스 2025.07.06
52011 [똑똑한 증여] 대출 줄어 차용증 쓰고 가족에게 5억 빌렸는데 증여세 ‘폭탄’ 랭크뉴스 2025.07.06
52010 머스크 “오늘 ‘아메리카당’ 창당…진정한 국민의 의지 반영돼야” 랭크뉴스 2025.07.06
52009 野주진우 "초강력 대출 규제, 文 정부 부동산 정책 실패 데자뷔" 랭크뉴스 2025.07.06
52008 10대 소녀들이 악마?…‘소년범 혐오’ 분석해보니 [창+] 랭크뉴스 2025.07.06
52007 ‘성과급’ 하면 삼성전자였는데...“우리가 어쩌다”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