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뇌 먹는 아메바’라 불리는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fowleri). 사진 CDC 홈페이지 캡처
중국에서 5세 여아가 온천욕 후 ‘뇌 먹는 아메바’로 불리는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fowleri)에 감염돼 혼수상태에 빠졌다.

5일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A양(5)은 지난달 7일과 14일 두 차례 부모와 함께 중국 푸젠성 샤먼시에 있는 한 온천에 방문한 뒤 같은 달 22일 두통과 미열, 구토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증상이 심해져 이튿날 병원에 입원했으나 상태가 급격히 악화돼 혼수상태에 빠졌다.

병원 측은 정밀 검사를 통해 A양이 파울러자유아메바에 감염됐다고 밝혔다. 파울러자유아메바는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따뜻한 담수 환경에서 번성하며, 감염 시 치명적인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높은 원충이다.

사람이 이 아메바에 감염되는 주요 경로는 코를 통한 침투다. 물놀이 중 물이 코를 통해 흡입되면 아메바가 후각 신경을 따라 뇌로 이동해 뇌 조직을 파괴한다. 이 과정에서 뇌에 심각한 염증과 부종을 유발하기 때문에 ‘뇌 먹는 아메바’라고 불린다.

잠복기는 짧게는 2~3일, 길게는 7~15일까지다. 감염 초기에는 두통·정신 혼미·후각 상실 등이 나타나며 기도 상부에서 증상이 관찰된다. 감염이 진행될수록 점차 두통이 심해지고 발열과 구토 등이 나타난다. 다만 사람 간 전파는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아메바는 드물게 인체에 감염되지만 감염 시 치사율이 97%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1937년 미국 버지니아에서 첫 감염 사례가 확인된 이후 2018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381건의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특히 미국에서는 1962년부터 2021년까지 총 154건의 감염 사례가 있었는데 이 중 4명만 생존했다. 치료제는 몇 가지 실험적 약물이 있지만 명확한 치료법은 아직 확립돼 있지 않다.

한국에서도 이 아메바에 의한 사망 사례가 존재한다. 2022년 태국에서 4개월 간 머물다 귀국한 50대 남성이 뇌수막염으로 숨진 후 검체 검사를 통해 파울러자유아메바 감염이 확인됐고 이는 국내 첫 사례로 보고됐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583 [속보] 이 대통령, 인천 맨홀 사고에 “산업재해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해야” 랭크뉴스 2025.07.07
52582 [속보]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편 '방송3법' 민주당 주도로 국회 과방위 통과 랭크뉴스 2025.07.07
52581 [속보] 李대통령, 인천 맨홀사고에 "감독강화 등 특단의 조치해야" 랭크뉴스 2025.07.07
52580 머리 빠지고 이빨 까매지고…中 유치원 덮친 ‘납중독 공포’ 랭크뉴스 2025.07.07
52579 "아내 손에 피 묻어있어" 깜짝 놀란 남편…장모 숨진 채 발견됐다 랭크뉴스 2025.07.07
52578 김건희 특검, 삼부토건 전·현직 대표 9일·10일 줄소환 랭크뉴스 2025.07.07
52577 [속보] '방송3법' 민주당 주도로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7.07
52576 "1000년에 한번 있을 괴물폭우"…통곡의 텍사스, 최소 82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7
52575 “성신여대에 다이너마이트 설치”...테러 협박에 경찰 수색 중 랭크뉴스 2025.07.07
52574 특검 "尹구속영장, 변호인 통해 전부 유출…중대 범죄" 랭크뉴스 2025.07.07
52573 [속보] ‘방송 3법’ 과방위 전체회의 통과…민주당 주도 처리 랭크뉴스 2025.07.07
52572 [속보]‘방송 3법’ 과기정통위 통과…민주당 주도 속전속결 처리 랭크뉴스 2025.07.07
52571 인천 맨홀 사망 부른 5가지 ‘안전 구멍’…전부 인재다 랭크뉴스 2025.07.07
52570 낮 최고 37도…오늘 ‘작은 더위’ 소서, 절기 무색한 불가마 더위 랭크뉴스 2025.07.07
52569 김건희 특검팀, 삼부토건 주가조작 핵심 인물들 줄소환 랭크뉴스 2025.07.07
52568 제4인뱅 표류에 MG손보 재매각… 李정부 출범 후 금융정책 ‘혼란’ 랭크뉴스 2025.07.07
52567 박수영 "부산 원하는 건 25만 원 아냐"‥민주당 "국힘, 민생회복지원금 입장 밝혀라" 랭크뉴스 2025.07.07
52566 [단독] 국민대, 박사 취소 절차 돌입했지만… 김건희 '연락 두절'로 난항 랭크뉴스 2025.07.07
52565 中 국방무관·SNS 총동원 '프랑스 라팔 깎아내리기' 랭크뉴스 2025.07.07
52564 넷플 1위 영화 나온 ‘神라면’…농심, 제니 ‘바나나킥’ 이어 두 번째 행운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