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배정한의 공간이 전하는 말
높은 곳 올라가면, 도시는 축소 나는 확장
드 세르토, 걷기의 전술로 도시 경험 재구성
시애틀 오버룩 워크, 전망대와 산책길 결합
미국 태평양 연안 북서부 워싱턴주 시애틀 워터프런트의 오버룩 워크. 전망대와 산책길 역할을 동시에 하며 도시의 일상을 직조한다. 필드 오퍼레이션스 제공

나에겐 일상의 전망대가 있다. 서울대 관악 캠퍼스 내 9층 연구실에서 다섯 걸음만 내디디면 산과 하늘을 향해 열린 테라스가 나를 환대한다. 이 작은 공중 정원은 나만의 피난처이자 망루다. 칼럼 마감에 가슴이 조여드는 날엔 열번도 넘게 전망대로 나간다. 탁 트인 시야와 바삭한 바람이 마음을 씻어준다. 고단한 일상이 뒤엉킨 도시 풍경이 평면도처럼 발아래 펼쳐진다. 멀리 여의도의 고층 빌딩 너머 인왕산과 북악산 능선의 파노라마까지 조망할 수 있다. 높은 곳에서 도시를 내려다보면 도시와 나의 관계가 조정되고 감각이 재배치된다. 마치 도시라는 복잡한 텍스트 쓰기를 잠깐 접어두고 한 발짝 떨어진 거리에서 전체 구성을 살피는 편집자가 된 기분.

도시를 조감하는 경험이 매력적인 건 무엇보다 시야의 개방감 때문일 것이다. 이카로스처럼 높이 날아올라 세상을 한눈에 담는 쾌감.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에서부터 오늘날 마천루의 전망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늘 위로 올라가 새처럼 내려다보는 즐거움을 갈망해 왔다. 평소 나를 압도하던 도시를 내 눈 아래 두는 순간, 거대한 도시는 축소되고 나는 확장된다. 남산타워에 올라 서울을 내려다보면 혼잡한 도시가 질서 정연한 한 장의 조감도로 압축된다. 인왕산 정상에서 서울의 지형과 도심 경관을 내려다보면 복잡하고 소란한 도시의 흐름 속에 던져져 살아가는 일상이 문득 소설처럼 느껴진다.

미국 뉴욕의 원월드 전망대(옛 세계무역센터 자리)에서 내려다본 맨해튼 전경. 조감의 시선은 복잡한 일상을 삭제한다. ⓒ배정한 제공

하지만 위에서 아래를 바라보는 시선에는 도시를 계획하고 통제하려는 권력의 시선이 깊게 스며 있다. 프랑스의 문화 이론가 미셸 드 세르토는 ‘일상의 발명: 실행의 기예’(문학동네, 2023)에서 조감의 시선을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널리 인용되는 ‘도시에서 걷기’ 장은 뉴욕 세계무역센터 110층에서 내려다본 맨해튼 풍경으로 시작한다. 그는 파노라마로 조감하는 도시의 구조는 잘 설계된 도면처럼 보이지만 그것에는 도시를 살아가는 이들의 구체적인 일상이 삭제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드 세르토에 따르면,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자’의 시선은 도시를 통제하고 하나의 ‘전략’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이다. 그러한 시선은 도시의 다층적인 일상을 단일 시점으로 환원하고 실재의 삶을 외면하거나 추상화한다.

우리가 도시를 실제로 경험하는 방식은 전혀 다르다. 드 세르토는 ‘걷는 자’의 체험을 강조한다. 도시에 거주하고 도시를 걷는 자는 설계된 규칙만 따르지 않는다.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 지도에 없는 길을 만들어내고 담을 넘는다. 잘 가꾼 공원을 버려두고 엉뚱한 골목길 구석에서 친구를 만난다. 드 세르토는 걷는 자의 이런 주관적이고 감각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실천을 ‘전술’이라 부른다. 그것은 도시를 바라보는 자가 요구하는 통제에 예속되지 않고 걷는 자가 스스로 만들어내는 선택, 즉 일상의 창조적 실천이다. 걷기의 전술 속에서 도시는 매일 새롭게 쓰는 텍스트가 된다.

그럼에도 우리는 전망대에 오른다. 조망은 일종의 심리적 환기이자 자기 위치를 재확인하는 행위이기 때문일 테다. 높은 산이나 고층 건물 옥상에 올라가 도시를 내려다보면, 내가 이 도시의 일부라는 사실이 새삼 낯설게 느껴진다. 도시의 극단적 이중성을 생생히 감각하게 된다. 역사와 현재, 개발과 보존, 권력과 일상이 뒤얽힌 초대형 콜라주 같은 풍경. 이토록 거대하고 복잡한 도시지만 높은 곳에서 멀리 바라보면 왠지 견딜 만하다고 느껴진다. 조망이 주는 심리적 위안이다. 서울 부암동이나 이화동의 언덕길, 후암동 같은 구릉지 주택가의 옥탑에서도 비슷한 감정을 경험한다. 도시의 속살에서 잠시 거리를 두는 순간, 우리는 그 안에서 다시 자신을 발견한다. 이처럼 도시의 전망대가 권력과 통제의 시선을 작동시키는 장치인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고된 일상을 되돌아보는 성찰과 환기의 장소이기도 하다.

인왕산에서 내려다본 서울 도심 파노라마. 내가 이 도시의 일부라는 사실이 새삼 낯설게 느껴진다. ⓒ주신하 제공

전망의 비일상성과 걷기의 일상성을 결합한 흥미로운 사례가 있다.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워터프런트에 최근 조성된 ‘오버룩 워크’(Overlook Walk)다. 이름에서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 오버룩 워크는 전망대와 산책길 역할을 동시에 하는 공중 공원이다. 오버룩 워크는 오랜 세월 시애틀 도심과 부둣가 수변을 가로막았던 고가 고속도로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1.5마일에 이르는 선형 공원을 삽입해 도시와 바다를 다시 만나게 한 프로젝트의 핵심 공간이다. 오래된 시장과 부두 사이의 30미터 단차를 완만한 경사로 잇는 이 공간은, 위에서 내려다보는 조망을 제공하면서도 산책자가 자유롭게 걷고 여유롭게 머물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단일 시점을 고정하지 않고 산책자의 걸음에 따라 위아래로, 양옆으로 시선을 옮길 수 있도록 한 ‘움직이는 전망대’다.

넓은 전망대 곳곳에 펼쳐진 정원과 광장, 놀이터와 카페, 의자와 벤치는 자유를 만끽하며 걷는 이들에게 잠시 머무를 이유를 선물한다. 걸음을 멈추면 시애틀 항구의 분주한 일상이, 바다 건너 올림픽산맥의 기세가, 멀리 레이니어산의 만년설이 시야에 들어온다. 뒤를 돌아보면 다운타운의 역동적 스카이라인이 시선을 붙잡는다. 바라보기와 걷기가 교차하며 도시를 다시 읽는 여정. 드 세르토가 말하는 ‘바라보는 자의 전략’과 ‘걷는 자의 전술’ 사이의 경계가 흐릿해진다. 전망대를 걷는 사람은 단지 풍경을 보는 존재가 아니라 풍경 속을 사는 존재다. 어느 순간에는 풍경의 관찰자이고, 어느 순간에는 풍경의 일부가 된다.

시애틀 오버룩 워크는 여느 전망대와 달리 관광객을 위한 장소가 아니다. 매일 이 길을 걷는 시민들을 위해 디자인된 전망대가 그들의 일상을 조금씩 바꿔나가고 있다. 아침 산책을 즐기며 도시를 조망하고, 저녁이면 노을을 바라보며 짙은 바다 풍경을 기억한다. 하늘과 구름을 만나는 벤치에서, 버스킹 공연이 열리는 광장에서, 아이들 웃음소리가 퍼지는 놀이터에서 이 일상의 전망대는 도시의 더 많은 이야기를 품게 될 것이다.

배정한 서울대 조경학과 교수·‘공원의 위로’ 저자

배정한 서울대 조경학과 교수·‘공원의 위로’ 저자

* 환경미학자이자 조경비평가인 배정한이 일상의 도시, 공간, 장소, 풍경에 얽힌 이야기를 전한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795 美 텍사스 폭우로 24명 사망…캠프 참가 아동 20여명 연락두절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94 4년 만에 흑자전환...한전 부활 이끈 주역[2025 100대 CEO]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93 "정치적 목적 있어" "법카 사적으로 사용 안해"… 이진숙, 경찰 출석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92 이 대통령, 김상환·오영준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동의안 제출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91 [속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6~8일 워싱턴DC 방문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90 [Q&A] 소비 쿠폰 언제, 어디서, 어떻게 쓸 수 있나요?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89 80대 남성 폭염 속 경운기에 깔려…11시간 만 극적 구조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88 9월 안에 추경 ‘18조원’ 집행한다 …기재부 “속도가 핵심가치”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87 위성락 안보실장 6∼8일 방미…한미정상회담 조율 여부 주목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86 경찰 출석한 이진숙 “법카 유용 안해…정치적인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85 소비쿠폰, 나는 얼마나 받을까…스벅·배민서 사용 가능? [Q&A]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84 '경찰 출석' 이진숙 "법카 유용 안해…정치적인 목적 있어"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83 미국 텍사스 폭우로 24명 사망…캠프 참가 아동 20여명 연락두절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82 이재명 정부 출범 첫달...'한은 마통' 18조 썼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81 "나는 얼마 받을 수 있나?"…민생회복 소비쿠폰 'Q&A'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80 스포티비 '끄고', 쿠팡 '켠다'…스포츠 중계권 전쟁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79 ‘세계 최대’ 상하이 레고랜드 개장…흥행에 성공할까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78 커지는 ‘7월 대지진’ 공포…일본 도카라 열도서 규모 5.3 지진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77 [르포] 맥주 마시고 서핑?…부산 송정해수욕장서 '깜짝' 음주단속 new 랭크뉴스 2025.07.05
51776 온천 다녀온 5세, 구토 후 혼수상태…치사율 97% '이것' 감염 new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