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마련된 내란특검 사무실로 2차 조사를 받기위해 출석하는 동안 시계가 9시를 가리키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내란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5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출석한 직후 즉시 조사실로 불러 2차 조사에 돌입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조사량이 많아 이날 조사에서 완료하지 못할 경우 추가 조사에 나설 가능성도 내비쳤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은 (서울고검) 청사 도착 뒤 장영표 특검지원단장 안내로 바로 조사실로 입실해 곧바로 조사가 시작됐다”며 “조사 시작 시각은 오전 9시4분”이라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을 태운 차량이 오전 9시 서울고검 청사에 도착한 뒤 4분 만에 즉각 조사가 시작된 것이다. 지난달 28일 1차 조사 당시에는 조사 시작 전 박억수 특검보 등이 윤 전 대통령 쪽에 조사 일정을 간단히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 바 있다. 박 특검보는 “내부 논의를 거쳐 바로 조사를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의 예정된 조사량이 많아 추가 조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박 특검보는 “조사량이 엄청 많아서 오늘 중으로 소화되면 오늘 중으로 끝나지만 안 되면 추가적으로 또 소환해서 조사가 이뤄져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의 특수공무집행방해, 직권남용, 허위공문서작성, 외환 혐의 등 피의사실 전반에 대해 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이날 오전 조사는 윤 전 대통령의 체포저지 혐의부터 조사가 시작됐다. 특검 쪽에서는 박억수·장우성 특검보, 김정국·조재철 부장검사, 박창환 총경, 구승기 검사 및 문영석 수사관 등 7명이 조사실에 함께 들어가 조사를 진행 중이다. 2명의 특검보가 전체 조사를 지휘하고 김정국·조재철 부장검사가 윤 전 대통령을 직접 신문하며, 박 총경 및 구 검사 등이 조사 지원을 담당한다. 지난 1차 조사 당시 윤 전 대통령의 체포 저지 혐의와 관련해 박 총경이 조사를 진행했는데, 이날 조사에선 부장검사들이 신문을 담당하고 박 총경은 수사 지원으로 역할이 변경됐다.

앞서 윤 전 대통령 쪽은 ‘박 총경이 불법 체포에 관여해 고발한 상태’라며 돌연 오후 조사를 거부했고,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쪽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며 대립을 해왔다. 이에 대해 박 특검보는 “조사량이 많은 점, 신속한 조사 진행 등 수사 효율성을 고려한 것”이라며 “(1차 조사 이후) 추가적으로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박종준 전 경호처장 조사가 이뤄지는 등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1차 조사 당시에는 특검 출범 전부터 경호처의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를 주요하게 수사해 온 박 총경이 담당하는 게 적합했으나 현재는 특검 파견검사들도 관련 내용에 대한 검토가 충분히 이뤄진 만큼 조사담당자를 변경해도 크게 무리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조사량이 많은 만큼 윤 전 대통령 쪽과의 불필요한 충돌을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분석된다.

윤 전 대통령 쪽에서는 김홍일·채명성·송진호·배보윤 변호사가 이날 조사 입회에 참여했고, 오전 조사에는 채명성·송진호 변호사 2명만 입회한 상태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321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기로‥오늘 영장심사 랭크뉴스 2025.07.09
53320 "밥통에 밥 있어야 하는 은퇴자 위한 요리"... 류수영 요리책 벌써 3만 부 팔렸다 랭크뉴스 2025.07.09
53319 세월호 기록 22건 공개된다…박근혜 지정기록물 7784건 해제 랭크뉴스 2025.07.09
53318 트럼프 "한국, 방위비 100억 달러 지불해야‥너무 적게 내" 랭크뉴스 2025.07.09
53317 “구리 50%·의약품 200%·반도체도 곧…상호 관세 연장 없어” 랭크뉴스 2025.07.09
53316 트럼프, 푸틴 향해 “온갖 헛소리를 한다” 맹비난…전쟁 장기화에 격분 랭크뉴스 2025.07.09
53315 제주도 놀러갔다 병원 간 관광객…해수욕장에 나타난 '이것' 때문이라는데 랭크뉴스 2025.07.09
53314 [속보] 트럼프 “한국, 미군 주둔비 1년 100억 달러 내야…구리 관세 50%” 랭크뉴스 2025.07.09
53313 “엄마 곁 지켰는데, 왜 똑같이 나눠?”…기여한 자녀 울리는 '유류분의 덫' 랭크뉴스 2025.07.09
53312 막판 관세 협상 속 주한미군 방위비 카드… 트럼프, 또 "너무 적다" 랭크뉴스 2025.07.09
53311 “여고생 사망 전 괴소문 돌았다” 부산 브니엘예고엔 무슨 일이 [부산 브니엘예고 의혹 ②] 랭크뉴스 2025.07.09
53310 교육자치 중심인데···관심 저조한 교육감 선출, ‘직선제’를 어찌하나[지방자치 30년] 랭크뉴스 2025.07.09
53309 [단독]국세청장 후보자, 월 1200만원 받은 세무법인에서 사건 수임 0건···임대 수익은 미신고 랭크뉴스 2025.07.09
53308 "음식에 물감 풀었다"…아이 223명 납중독된 유치원에 中 발칵 랭크뉴스 2025.07.09
53307 가족 돌보는 '영케어러' 본인은 병원도 못가…미충족의료 5배 랭크뉴스 2025.07.09
53306 오늘도 전국 폭염…한때 천둥번개 동반한 소나기 랭크뉴스 2025.07.09
53305 배달라이더 국민연금, 직장인처럼 '반반 부담' 길 열리나 랭크뉴스 2025.07.09
53304 박근혜 지정기록물 7천784건 해제…세월호 관련 기록 22건 포함 랭크뉴스 2025.07.09
53303 더 많은 재정·권한·참여···그것이 ‘진정한 분권’으로 가는 길[지방자치 30년] 랭크뉴스 2025.07.09
53302 트럼프의 ‘관세 편지’에 유럽은 왜 빠졌나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