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퍼플렉시티·오픈AI, 200달러 고가 요금제 출시
AI도 프리미엄 과금 시대… “최신 기능 쓰려면 요금 더 내라”
“비싸진 AI 요금제… 접근권 격차 커진다”

일러스트=챗GPT

“예전엔 그냥 써도 충분했는데, 요즘은 제대로 쓰려면 꼭 상위 요금제 가입하라고 하더라고요. 새 기능은 비싼 요금제에만 들어가고, 기존 요금제는 점점 제약이 많아지는 느낌이에요.”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사용해 온 일부 이용자들 사이에선 최근 들어 이런 불만이 적지 않다. 요금제를 세분화하며 상위 요금제 중심으로 주요 기능을 배치하고, 무료 이용자나 기존 요금제는 상대적으로 제약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AI 기업들이 고가 요금제를 잇달아 출시하며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식 과금 모델’로 전환하고 있다. 콘텐츠 기반 구독 플랫폼처럼 사용자를 확보한 뒤 요금제를 세분화하면서 최신 기능은 상위 요금제에만 우선 제공하는 구조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퍼플렉시티는 이달 월 200달러(약 27만원)짜리 초고가 요금제 ‘퍼플렉시티 맥스(Perplexity Max)’를 출시했다. 이 요금제를 구독하면 AI 기반 분석 도구 ‘랩스(Labs)’, 향후 공개될 AI 브라우저 ‘코멧(Comet)’ 등 최신 기능을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기존 월 20달러 ‘프로(Pro)’, 40달러 ‘엔터프라이즈 프로(Enterprise Pro)’ 요금제에 더해 하이엔드 사용자를 위한 프리미엄 플랜을 신설한 것이다.

앞서 오픈AI도 지난해 12월 o1-Pro와 GPT-4o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월 200달러짜리 ‘챗GPT 프로’ 요금제를 출시했다. 이 요금제는 고속 응답, 우선 처리, 고급 음성·이미지 기능 등으로 전문 사용자층을 겨냥했다. 앤트로픽은 지난 4월 자사 최신 모델 클로드 오퍼스 4를 쓰는 고급 사용자 대상 요금제 ‘클로드 맥스(Claude Max)’를 월 200달러에 출시했다. 구글도 지난달 ‘구글 AI 울트라(Google AI Ultra)’ 요금제를 통해 최신 모델 제미나이 2.5 프로 딥싱크, 30테라바이트(TB) 저장공간, 유튜브 프리미엄 등 혜택을 월 249.99달러에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비용 구조는 민간 사용자뿐 아니라 공공 부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3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가 챗GPT 등 생성형 AI 서비스를 위해 1년간 지출한 구독료는 총 3억9168만원에 달했다. 충남·서울·경기 등 주요 지자체는 각각 10개 안팎의 AI 프로그램을 구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생성형 AI 서비스는 단순한 콘텐츠 소비가 아닌 실질적 생산 도구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업무·교육·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상위 요금제에만 최신 기능이 집중되는 구조는 심각한 ‘디지털 격차’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예컨대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의 상위 요금제가 월 2만원 내외 수준인 데 반해, 주요 AI 서비스는 월 200달러(약 27만원)를 넘는 고가 플랜이 일반적이다. AI를 활용해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려는 사용자들이 많아진 현실에서 최신 기능을 쓰기 위한 ‘입장료’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구조다. AI 업계 관계자는 “기능 제한에 대한 이용자 불만이 나올 수 있지만, AI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비용이 워낙 크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상위 요금제 중심의 수익 모델을 확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명주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AI안전연구소장은 “AI 기업들이 고가 요금제를 도입하는 건, 아직 B2B(기업대기업)나 애플리케이션 확산이 충분치 않아 모델 자체에서 수익을 내야 하기 때문”이라며 “개인보다는 기업·공공기관처럼 운영비나 연구비로 비용 처리가 가능한 조직에서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용자 간 비용 감당 능력에 따라 AI 접근성과 품질에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고, 장기적으로는 디지털 격차 문제가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196 尹측 "범죄성립 안 돼…특검 무리한 영장청구 법원서 소명" 랭크뉴스 2025.07.06
52195 당정 "물가안정에 수단 총동원…가공식품 인상률 최소화 검토"(종합) 랭크뉴스 2025.07.06
52194 “62만 명 이탈” SKT 떠나는 고객 붙잡으려 안간힘 랭크뉴스 2025.07.06
52193 저커버그의 '더 리스트'와 '판교 치킨집'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 랭크뉴스 2025.07.06
52192 재구속 기로 尹…계엄 국무회의·사후 선포문 혐의 얹은 특검 랭크뉴스 2025.07.06
52191 이재명 정부 첫 고위 당정…추경 집행·폭염 대책 등 논의 랭크뉴스 2025.07.06
52190 내란 특검, 윤석열 구속영장… 수사 18일 만에 랭크뉴스 2025.07.06
52189 “올코트 프레싱”…위성락·여한구, 대미 관세·안보 투트랙 전략 랭크뉴스 2025.07.06
52188 내란 특검, 尹 구속영장 청구…수사 18일만에 ‘초고속’ 승부수 랭크뉴스 2025.07.06
52187 내란특검, 윤석열 구속영장 청구···넉 달 만에 재수감 되나 랭크뉴스 2025.07.06
52186 민주 당권경쟁 가열…정청래·박찬대 호남 돌며 표심잡기 주력 랭크뉴스 2025.07.06
52185 “계약금 다 날려도 포기”...서울 집값, 드디어 잡히나 랭크뉴스 2025.07.06
52184 국민의힘 “국방 예산 삭감, 안보 희생양”…민주당 “불용 예산 삭감, 문제 없어” 랭크뉴스 2025.07.06
52183 내란특검, 尹 구속영장 청구…"외환혐의는 조사 많이 남아" 랭크뉴스 2025.07.06
52182 배드뱅크 확정에도 갑론을박 여전… "도박빚 선별, 사실상 어려워" 랭크뉴스 2025.07.06
52181 임은정 "검찰 장례 치르는 장의사 역할‥한 시대 잘 마무리해야" 랭크뉴스 2025.07.06
52180 내란 특검, 윤석열 구속영장 청구 랭크뉴스 2025.07.06
52179 [속보] 당정 “가용 수단 총동원해 물가 민생 안정에 만전 기하기로” 랭크뉴스 2025.07.06
52178 ‘1등 이통사’ SK텔레콤, ‘부실 보안’에 흔들리는 20년 아성 랭크뉴스 2025.07.06
52177 당정 “가공식품 가격 상승세 점검…추경 예산 85% 9월말 집행”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