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퍼플렉시티·오픈AI, 200달러 고가 요금제 출시
AI도 프리미엄 과금 시대… “최신 기능 쓰려면 요금 더 내라”
“비싸진 AI 요금제… 접근권 격차 커진다”

일러스트=챗GPT

“예전엔 그냥 써도 충분했는데, 요즘은 제대로 쓰려면 꼭 상위 요금제 가입하라고 하더라고요. 새 기능은 비싼 요금제에만 들어가고, 기존 요금제는 점점 제약이 많아지는 느낌이에요.”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사용해 온 일부 이용자들 사이에선 최근 들어 이런 불만이 적지 않다. 요금제를 세분화하며 상위 요금제 중심으로 주요 기능을 배치하고, 무료 이용자나 기존 요금제는 상대적으로 제약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AI 기업들이 고가 요금제를 잇달아 출시하며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식 과금 모델’로 전환하고 있다. 콘텐츠 기반 구독 플랫폼처럼 사용자를 확보한 뒤 요금제를 세분화하면서 최신 기능은 상위 요금제에만 우선 제공하는 구조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퍼플렉시티는 이달 월 200달러(약 27만원)짜리 초고가 요금제 ‘퍼플렉시티 맥스(Perplexity Max)’를 출시했다. 이 요금제를 구독하면 AI 기반 분석 도구 ‘랩스(Labs)’, 향후 공개될 AI 브라우저 ‘코멧(Comet)’ 등 최신 기능을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기존 월 20달러 ‘프로(Pro)’, 40달러 ‘엔터프라이즈 프로(Enterprise Pro)’ 요금제에 더해 하이엔드 사용자를 위한 프리미엄 플랜을 신설한 것이다.

앞서 오픈AI도 지난해 12월 o1-Pro와 GPT-4o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월 200달러짜리 ‘챗GPT 프로’ 요금제를 출시했다. 이 요금제는 고속 응답, 우선 처리, 고급 음성·이미지 기능 등으로 전문 사용자층을 겨냥했다. 앤트로픽은 지난 4월 자사 최신 모델 클로드 오퍼스 4를 쓰는 고급 사용자 대상 요금제 ‘클로드 맥스(Claude Max)’를 월 200달러에 출시했다. 구글도 지난달 ‘구글 AI 울트라(Google AI Ultra)’ 요금제를 통해 최신 모델 제미나이 2.5 프로 딥싱크, 30테라바이트(TB) 저장공간, 유튜브 프리미엄 등 혜택을 월 249.99달러에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비용 구조는 민간 사용자뿐 아니라 공공 부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3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가 챗GPT 등 생성형 AI 서비스를 위해 1년간 지출한 구독료는 총 3억9168만원에 달했다. 충남·서울·경기 등 주요 지자체는 각각 10개 안팎의 AI 프로그램을 구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생성형 AI 서비스는 단순한 콘텐츠 소비가 아닌 실질적 생산 도구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업무·교육·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상위 요금제에만 최신 기능이 집중되는 구조는 심각한 ‘디지털 격차’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예컨대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의 상위 요금제가 월 2만원 내외 수준인 데 반해, 주요 AI 서비스는 월 200달러(약 27만원)를 넘는 고가 플랜이 일반적이다. AI를 활용해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려는 사용자들이 많아진 현실에서 최신 기능을 쓰기 위한 ‘입장료’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구조다. AI 업계 관계자는 “기능 제한에 대한 이용자 불만이 나올 수 있지만, AI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비용이 워낙 크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상위 요금제 중심의 수익 모델을 확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명주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AI안전연구소장은 “AI 기업들이 고가 요금제를 도입하는 건, 아직 B2B(기업대기업)나 애플리케이션 확산이 충분치 않아 모델 자체에서 수익을 내야 하기 때문”이라며 “개인보다는 기업·공공기관처럼 운영비나 연구비로 비용 처리가 가능한 조직에서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용자 간 비용 감당 능력에 따라 AI 접근성과 품질에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고, 장기적으로는 디지털 격차 문제가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888 “프랑스인은 안 돼” 스위스 국경도시 수영장서 출입 금지 논란 랭크뉴스 2025.07.05
51887 이재명 대통령 ‘코스피 5000 시대’에 보내는 소수의견 랭크뉴스 2025.07.05
51886 내란 특검, 尹구속영장 검토 하나…2차 조사도 '모르쇠' 랭크뉴스 2025.07.05
51885 산탄총 파편 70개가 몸 안에…‘솜방망이’ 처벌에 동물학대 한 해 천건 랭크뉴스 2025.07.05
51884 "러브버그 앞으로 일주일만 참으세요"…소멸 예측 나왔다 랭크뉴스 2025.07.05
51883 파키스탄 카라치서 주거용 다층 건물 붕괴…최소 16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5
51882 정은경 복지장관 후보자 재산 56억원 신고… 의사 배우자, 강원도 농지 보유 랭크뉴스 2025.07.05
51881 이 대통령, 김상환 헌재소장 임명동의안 제출 랭크뉴스 2025.07.05
51880 기후학자의 경고 "우리가 알던 장마는 오래전에 사라졌습니다" 랭크뉴스 2025.07.05
51879 스위스 국경도시, 프랑스인 수영장 출입 금지…"몰상식" 랭크뉴스 2025.07.05
51878 10분 만에 핫도그 70개 '순삭'…돌아온 푸드 파이터, 챔피언 올랐다 랭크뉴스 2025.07.05
51877 “비흡연자인데 폐암이라니”…가족력 있으면 위험 2배↑ [건강하십니까] 랭크뉴스 2025.07.05
51876 특검 "尹 2차조사 순조로웠다"…사후 계엄선포문 관여도 추궁 랭크뉴스 2025.07.05
51875 대파 280kg이 13,350원…“울며 겨자먹기로 출하” 랭크뉴스 2025.07.05
51874 ‘계엄 선포 이후’ 불법 있었나…추가 혐의 입증 주력 랭크뉴스 2025.07.05
51873 일요일 전국 무더위...한낮 서울 33도·강릉 36도 랭크뉴스 2025.07.05
51872 민생 쿠폰 21일부터 1차 지급…1인당 기본 15만 원 랭크뉴스 2025.07.05
51871 하다하다 K귀신까지 열풍...K팝과 결합, 전세계 혼뺐다 랭크뉴스 2025.07.05
51870 미용실서 아들이 흉기 난동‥폭염 속 밭에서 사망 랭크뉴스 2025.07.05
51869 공수처에서 점심으로 도시락 먹었던 윤, 특검에선?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