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30 성별 투표 성향 차 대선서 재확인돼
불안정 노동 확대...'이대남 보수화' 추동
이대남 불만 진보정부도 파악해 대책 내야

편집자주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선보이는 칼럼 '메아리'는 <한국일보> 논설위원과 편집국 데스크들의 울림 큰 생각을 담았습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투표일인 지난달 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체육관에 마련된 개표소에서 선거사무원들이 개표를 하고 있다. 21대 대선은 20대 대선과 마찬가지로 2030세대의 성별 투표 성향 격차가 나타났다. 뉴스1


6·3 대선에서 정권교체 여부만큼 주목받은 현상이 2030 청년층의 전반적 보수화, 특히 성별로 갈라진 투표 성향이었다. 실제로 지상파TV 3사 출구조사에 따르면 이번 선거에서 20대 남성은 10명 중 7명(74%)이 보수로 분류되는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에 투표했지만, 20대 여성은 10명 중 3명(35%)이 약간 넘게 범보수 계열의 후보를 선택했다. 3년 전 대선의 경우 20대 남성 과반이 윤석열 후보에 표를 주었고 20대 여성 절반 이상은 이재명 후보를 지지했는데, 그 사이에 헌법질서를 유린한 비상계엄 사태가 있었는데도 반전이 없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대선 이후 이 현상이 주목받고 있는 건 지역과 세대에 더해 성별로까지 ‘젊은 세대’가 갈라지면서 공동체의 존속이 어려울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졌기 때문일 수도 있겠다. 걱정 많은 이들은 우리 사회에도 극우(남) 청년의 본격 등장이 시작된 것이 아닌가, 혹은 서구에서처럼 이들이 정치적 반동세력으로 영향력을 키우는 건 아닌가라는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아마도 탄핵 국면에서 당시 여당 국회의원이 무려 국회에서 ‘백골단’ 복장을 한 청년 우익 단체의 기자회견을 주선했고, 서부지법 난입사태 당시 2030 남성들의 폭력행위가 크게 부각된 탓일 것이다.

다만 청년남성의 보수화는 이들이 공동체를 폭력적으로 파괴하려 하지 않는 한 현상 자체로 시비를 가릴 수 없다. 오히려 지켜봐야 할 대목은 권력을 다시 잡은 진보진영의 태도다. 이것은 이들이 1987년 이래 견고한 정치적 지지세력이었다가 이제는 반대자로 돌아서고 있는 청년남성들을 과연 포용 대상으로 여기는지와 관련이 있다. 비록 보수화된 2030 남성들의 생각(강력한 반페미니즘, 친미반중, 사회적 소수자 배제 등)에 동의할 수 없더라도 왜 청년남성 집단이 그런 생각과 태도를 굳히게 됐는지 원인을 파악하려 노력하는 건 사회를 통합해야 할 집권세력의 책무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여성들의 활발해진 사회 진출과 가부장적 권위의 해체 이후 롤모델을 찾지 못한 청년남성의 막막함, 각박해진 일자리 경쟁이 낳은 열패감과 닫힌 미래에 대한 무력함 등 이들이 느끼는 부정적 감정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청년남성 집단의 이런 부정적 정서에 ‘역차별’ 프레임으로 불을 붙여 사회가 퇴행하건 말건 정치적 이득만 챙기려는 집단을 이미 목도하지 않았는가.

보수화의 배경은 복합적이다. 독일의 파시즘을 연구한 학자들은 ‘극우’의 탄생 시기는 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자아가 위축될 때라고 진단하기도 했는데, 보수화의 중요한 동인도 경제적 위축임은 분명해 보인다. 이런 점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출간된 정치비평서 ‘광장 이후’(문학동네)의 공저자 이승윤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의 진단을 눈여겨볼 만하다. 이 교수가 2005년에서 2022년까지 남녀 청년층(19~34세)의 변화를 고용·임금·사회보험 불안정성을 기준으로 분석해봤더니 2015, 2016년을 기점으로 ‘매우 불안정 노동’을 하고 있는 남성집단의 비율이 여성집단보다 커졌다. 청년남성은 두 명 중 한 명꼴로 매우 불안정한 노동조건에 있다는 것이다. 여전히 여성보다 남성에게 안정된 일자리와 소득을 확보해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이 강한 한국사회에서 2030 남성들이 불안정 노동에 무차별적으로 노출된 것이 보수적 태도의 동력이 됐다는 게 그의 잠정적 결론이다. ‘이대남’들의 보수화와 정치적 퇴행성이 진정 걱정된다면 진보적 비전으로 집권한 새 정부 앞에 놓인 과제가 안정된 청년 일자리의 창출이라는 점은 너무나 분명하지 않은가.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641 이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 김민석 총리 첫 참석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40 [속보] 내란 특검 "尹 2차 조사 순조롭게 진행‥체포방해 혐의부터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9 윤석열, ‘특검팀 통보’ 오전 9시 정각 서울고검 도착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8 “에펠탑 열쇠고리 안 살 수가 없네요”…한국인 마음 흔든 ‘이 남성’ [잇슈#태그]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7 전국민에 지급되는 소비쿠폰, 지역·소득별로 금액 다르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6 이민자가 사라지는 미국…성장률 높이겠다는 트럼프 [특파원 리포트]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5 "기름 넣으러 갔더니 폐차하래요"…대기오염 최악인 '이 나라' 주유소서 생긴 일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4 [속보] 이 대통령, 31.8조 추경 국무회의 의결…“최대한 신속 집행”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3 안철수, 혁신위 잔혹사 끊나…막말·비하로 빛바랜 역대 혁신위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2 日 도카라 열도서 규모 5.3 지진…보름간 땅 1220번 흔들렸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1 [속보] 이재명 정부 첫 추경 '31조 8천억 원' 국무회의 의결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0 [속보] ‘31.8조 규모’ 이재명 정부 첫 추경 국무회의 의결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9 [속보] 이 대통령 첫 '주말 국무회의'... "하루라도 빨리 집행, 경기 회복 도움"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8 [속보] '31.8조' 이재명 정부 첫 추경 국무회의 의결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7 尹, 내란특검 2차 출석…오늘도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6 '최고 36도' 폭염의 토요일… 일요일에도 열대야 지속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5 '혁신의 키' 쥔 비주류 안철수, 이번엔 보수 중심에 서나 [정치 도·산·공·원]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4 日 도카라 열도에서 규모 5.3 지진… 보름간 1220회 소규모 지진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3 美 텍사스 휩쓴 폭우…최소 13명 사망, 어린이 20여 명 연락두절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2 14세 소녀 임신시켜 출산까지…필리핀 뒤집은 韓 유튜버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