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환경부 직원들이 4일 오전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가 대발생한 인천 계양산에서 물리적 방제 작업을 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2015년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는 2022년 처음 집단 발생한 이후 매년 초여름 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인천 계양산 등산로 바닥을 빼곡히 뒤덮어 민원이 빗발쳤다.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 ‘익충’이라고 하지만 불편감을 일으키는 만큼 ‘해충’으로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신승관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등 전문가 의견과 연구를 종합해 러브버그에 관해 제기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정리했다.

Q. 러브버그, 언제쯤 사라질까?

A. 러브버그는 성충 수명이 2주 이내이기 때문에 이번 주말 정도에 개체 수가 크게 줄고, 7월 중순 정도 되면 거의 보이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작년과 재작년에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Q. 러브버그, 갑자기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A. 수명이 짧은 곤충일수록 짧은 기간 많은 개체 수가 우화(애벌레가 어른벌레가 되는 것)하는 게 특징이다. 비슷한 시기에 대량으로 우화해야 짝을 만나 번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러브버그의 경우 낙엽 속에서 유충 시기를 보내다 초여름 대발생하고 1~2주 안에 알을 낳고 죽는다.

연도별 붉은등우단털파리 출현 지역. A는 2021년 이전, B는 2022년, C는 2023년, D는 2024년 분포.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Q.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갈까?

A. 지금까지는 중국 산둥 칭다오 지역에서 발생한 개체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건은 2015년 6월28일 인천 산곡동에서 관찰된 기록이다. 이 때문에 러브버그가 선박 등을 통해 인천항으로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하는 이들도 있다. 2016~2017년에는 관련 기록이 없다. 2018년 7월4일 인천 수봉산에서 관찰됐고, 2019년도 기록이 없다. 2020~2021년에는 인천 남동구, 서울 은평구·마포구·용산구·종로구, 경기 고양시에서 관찰됐다.

2022년부터 서울 은평구와 경기 고양시 덕양구를 중심으로 대발생한 이후 3년간 급격히 발생 지역이 확장됐다. 2023년에는 동남부를 제외한 서울 전역에서 발견됐고 경기 시흥, 과천, 구리, 의정부, 영종도에서 발견됐다. 지난해에는 서울 동남권과 경기 남양주, 하남, 성남, 파주에서 새롭게 관찰됐다.

서울연구원은 2070년에는 한반도 전역에 러브버그가 확산할 것으로 내다봤다.

Q. 계양산처럼 올해 많이 나온 곳에서 내년에도 많이 나올까?

A. 한번 러브버그가 나온 지역에서는 꾸준히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한번 대량으로 발생하고 나면 주변에 포식자들도 많이 생기기 때문에 밀도는 해를 거듭하며 정상화될 것으로 보인다.

3년 전 러브버그가 대량으로 발생했던 은평구의 경우도 지난달에는 민원이 전년 동월 대비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Q. 천적은 있나?

A. 새들도 러브버그를 잡아먹는다. 거미나 지네, 사마귀도 러브버그를 먹는 것으로 보인다.

Q. 서울 은평구 편백나무숲 조성 이후 러브버그가 대발생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실인가?

A. 러브버그는 유충 시절 낙엽 아래서 성장한다. 잎을 떨구는 활엽수림이 분포한 곳에서 성장하기가 유리하다. 은평구가 조성한 편백나무숲은 침엽수림이기 때문에 이 때문에 러브버그가 많아졌다는 것은 다소 무리한 주장이다.

Q. 살충제 뿌리는 등 화학적 방제, 권하지 않는 이유는?

A. 살충제는 거미, 지네, 사마귀 같은 러브버그 천적을 포함해 모든 종을 없애 버려 생태계를 망가뜨릴 수 있다. 농약에 저항성이 있는 종들만 살아남게 되는데, 특히 해충들이 농약에 저항성이 있는 경우가 많다. 똥파리 등 생각지도 못한 종의 대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화학적 방제는 조심해야 한다.

Q. ‘방역 좀 해달라’는 민원이 많다. 방역이 실제 효과가 있을까?

A. 실제 방역이 어려운 측면도 있다. 산 전체에 러브버그 유충이 사는데, 등산로 면적은 2%가 될까말까다. 등산로로 다니며 방제를 한다고 해도, 인간이 쉽게 접할 수 없는 공간에 사는 생물들을 다 없앨 수는 없다.

드론으로 살충제를 살포하는 방법도 있지만, 러브버그 유충은 낙엽 아래 살기 때문에 항공 살포도 효용이 적을 것으로 추측된다.

Q. 내년에는 언제 나올까?

A. 러브버그 출현 시기는 대발생 이후 점차 앞당겨지고 있다. 러브버그는 땅속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6월 초 기온에 따라 성충 발생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638 “에펠탑 열쇠고리 안 살 수가 없네요”…한국인 마음 흔든 ‘이 남성’ [잇슈#태그]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7 전국민에 지급되는 소비쿠폰, 지역·소득별로 금액 다르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6 이민자가 사라지는 미국…성장률 높이겠다는 트럼프 [특파원 리포트]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5 "기름 넣으러 갔더니 폐차하래요"…대기오염 최악인 '이 나라' 주유소서 생긴 일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4 [속보] 이 대통령, 31.8조 추경 국무회의 의결…“최대한 신속 집행”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3 안철수, 혁신위 잔혹사 끊나…막말·비하로 빛바랜 역대 혁신위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2 日 도카라 열도서 규모 5.3 지진…보름간 땅 1220번 흔들렸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1 [속보] 이재명 정부 첫 추경 '31조 8천억 원' 국무회의 의결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30 [속보] ‘31.8조 규모’ 이재명 정부 첫 추경 국무회의 의결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9 [속보] 이 대통령 첫 '주말 국무회의'... "하루라도 빨리 집행, 경기 회복 도움"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8 [속보] '31.8조' 이재명 정부 첫 추경 국무회의 의결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7 尹, 내란특검 2차 출석…오늘도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6 '최고 36도' 폭염의 토요일… 일요일에도 열대야 지속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5 '혁신의 키' 쥔 비주류 안철수, 이번엔 보수 중심에 서나 [정치 도·산·공·원]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4 日 도카라 열도에서 규모 5.3 지진… 보름간 1220회 소규모 지진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3 美 텍사스 휩쓴 폭우…최소 13명 사망, 어린이 20여 명 연락두절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2 14세 소녀 임신시켜 출산까지…필리핀 뒤집은 韓 유튜버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1 내란 특검 2차 조사 출석한 尹…1차 때와 같이 말없이 무표정으로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20 내란 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두 번째 소환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05
51619 중국인, 한국 부동산 '싹쓸이'...정부 칼 뺀다 new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