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수분 섭취 부족한 상태에서의 음주는 통풍 발작 위험 높여"


치맥(치킨과 맥주)
촬영 김예원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바삭한 치킨에 시원한 맥주를 곁들이는 '치맥'의 계절이 돌아오면서 통풍 환자들의 근심도 커지게 됐다.

무더운 여름밤 즐기는 맥주 한잔이 자칫 극심한 고통으로 돌아올 수 있어서다. 실제 여름은 통풍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가장 많은 시기다.

5일 의료계에 따르면 통풍은 혈액 내 요산이 몸 밖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몸 안에 과도하게 쌓여서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요산은 단백질의 일종인 푸린(purine)이 체내에서 대사되고 남은 일종의 찌꺼기로, 요산 결정이 관절이나 연골 조직에 붙으면 염증과 극심한 통증인 '통풍 발작'을 일으킨다. 주로 엄지발가락이 갑자기 벌겋게 부어오르고 뜨거워지면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집계 기준 지난해 통풍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55만3천254명으로, 2020년 46만8천83명 대비 약 18% 늘었다.

특히 7∼8월과 같은 한여름에 환자가 많은데, 지난해 기준 월별 통풍 환자 수는 2월 11만1천977명으로 최저였다가 같은 해 7월 13만5천994명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풍 환자가 여름에 늘어나는 건 더운 날씨 탓에 땀 배출이 많아져 체내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혈중 요산 농도가 쉽게 높아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맥주와 같은 푸린 함량이 높은 음료를 마시면 통풍 발작 위험은 더욱 커진다. 알코올이 요산의 배출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간에서 생성하는 젖산도 요산 배출을 이중으로 방해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술과 함께 즐기는 치킨이나 곱창 등 기름진 안주에는 푸린 함량이 높아 체내 요산 생성을 부추긴다.

황지원 경희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수분 섭취가 부족한 상태에서의 음주는 소량이라도 통풍 발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하루 맥주 1캔 이상의 섭취가 반복되면 요산 수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통풍 발작을 피하려면 평소 식습관을 개선하고 음주를 삼가면서, 요산을 배출하기 위해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게 좋다. 곱창, 간, 멸치 정어리, 고등어와 같은 푸린 함량이 높은 음식 섭취를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식습관 개선에도 혈중 요산 수치가 떨어지지 않으면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방치하면 요산 결정이 덩어리가 돼 관절 부위에서 혹이 될 수도 있다.

황 교수는 "통풍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복부비만 등 대사질환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는데도 초기에 단순 관절염으로 생각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통풍 발작 경험이 있거나 고요산혈증이 있다면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한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821 “경고용 계엄” 尹, 직접 20분간 최후 진술… “총 보여주라는 지시 안했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20 "편의점 텅 비워두고 잠적"…'한밤중 셀프 퇴사' 알바생 "돈 안 줬다" 신고까지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9 [단독] “소설 쓴다”…유병호 감사원, ‘조작’을 조작했나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8 서부지법 사태 기록자에게 ‘징역’ 구형한 검찰···‘폭동 배후’ 전광훈은?[점선면]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7 창원서 새벽 아파트 화재 감지 반려견, 주인 잠 깨워 가족 구해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6 [단독]오세훈 말처럼…돈 공급량 만큼 집값 올랐다[양철민의 서울이야기]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5 폭염특보 속 '에어컨 끈' 학교‥쏟아진 항의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4 현지 시설 짓고 금융 지원… HD현대·한화, 폴란드 잠수함 수주 경쟁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3 [단독] 김영선, 휴대폰·체어맨 숨겨놨었다…특검 재압수수색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2 돌연 출국 뒤 사라진 '김건희 집사'‥여권 무효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1 "나라 망했다" 오열·욕설…尹 재구속에 지지자들 망연자실 해산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10 머그샷 촬영 후 독방 수용‥이 시각 서울구치소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9 “마음이 생사를 가른다? 췌장암 환자 4명 중 3명은…” [박광식의 닥터K]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8 김건희가 밀었다는 김상민…공천개입 의혹 밝힐 '키맨' 되나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7 '똘똘한 한채'는 비과세·지방2채는 과세…세금이 만든 서울 쏠림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6 국민연금에 재산 맡기면 생활비 지급?…"공공신탁제도 도입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5 "밖에 도깨비가 있어요" 구출된 후에도 아이는 두려워했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4 윤, 석방 4개월여 만에 재구속‥"증거인멸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3 금강서 물놀이하던 20대 4명 숨져…입수 금지구역서 참변 new 랭크뉴스 2025.07.10
53802 “세 번째 결혼도 당연해진다” AI시대, 대세 된다는 이 직업 new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