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수분 섭취 부족한 상태에서의 음주는 통풍 발작 위험 높여"


치맥(치킨과 맥주)
촬영 김예원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바삭한 치킨에 시원한 맥주를 곁들이는 '치맥'의 계절이 돌아오면서 통풍 환자들의 근심도 커지게 됐다.

무더운 여름밤 즐기는 맥주 한잔이 자칫 극심한 고통으로 돌아올 수 있어서다. 실제 여름은 통풍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가장 많은 시기다.

5일 의료계에 따르면 통풍은 혈액 내 요산이 몸 밖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몸 안에 과도하게 쌓여서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요산은 단백질의 일종인 푸린(purine)이 체내에서 대사되고 남은 일종의 찌꺼기로, 요산 결정이 관절이나 연골 조직에 붙으면 염증과 극심한 통증인 '통풍 발작'을 일으킨다. 주로 엄지발가락이 갑자기 벌겋게 부어오르고 뜨거워지면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집계 기준 지난해 통풍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55만3천254명으로, 2020년 46만8천83명 대비 약 18% 늘었다.

특히 7∼8월과 같은 한여름에 환자가 많은데, 지난해 기준 월별 통풍 환자 수는 2월 11만1천977명으로 최저였다가 같은 해 7월 13만5천994명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풍 환자가 여름에 늘어나는 건 더운 날씨 탓에 땀 배출이 많아져 체내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혈중 요산 농도가 쉽게 높아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맥주와 같은 푸린 함량이 높은 음료를 마시면 통풍 발작 위험은 더욱 커진다. 알코올이 요산의 배출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간에서 생성하는 젖산도 요산 배출을 이중으로 방해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술과 함께 즐기는 치킨이나 곱창 등 기름진 안주에는 푸린 함량이 높아 체내 요산 생성을 부추긴다.

황지원 경희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수분 섭취가 부족한 상태에서의 음주는 소량이라도 통풍 발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하루 맥주 1캔 이상의 섭취가 반복되면 요산 수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통풍 발작을 피하려면 평소 식습관을 개선하고 음주를 삼가면서, 요산을 배출하기 위해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게 좋다. 곱창, 간, 멸치 정어리, 고등어와 같은 푸린 함량이 높은 음식 섭취를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식습관 개선에도 혈중 요산 수치가 떨어지지 않으면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방치하면 요산 결정이 덩어리가 돼 관절 부위에서 혹이 될 수도 있다.

황 교수는 "통풍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복부비만 등 대사질환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는데도 초기에 단순 관절염으로 생각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통풍 발작 경험이 있거나 고요산혈증이 있다면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한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500 김건희 특검, 명태균 게이트 제보자 강혜경 16일 조사 랭크뉴스 2025.07.09
53499 시간당 47.5㎜ 폭우 내린 평택 청북…‘물난리’ 난 주상복합 건물 [제보] 랭크뉴스 2025.07.09
53498 대통령실, 국무회의서 방통위원장 배석 제외 “정치중립 의무 위반” 랭크뉴스 2025.07.09
53497 [속보] 김건희 특검, '집사 게이트' 수사 착수… "해외도피·증거인멸 정황" 랭크뉴스 2025.07.09
53496 내란 특검 “오로지 증거·법리로 심문”…PPT 178장 준비 랭크뉴스 2025.07.09
53495 [맞수다] "尹 출석, 태도부터 불량"‥거리 활보 끝? 랭크뉴스 2025.07.09
53494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내주 국무회의부터 배석 안해" 랭크뉴스 2025.07.09
53493 특검, 김건희 '집사 게이트' 수사…"해외도피·증거인멸 정황" 랭크뉴스 2025.07.09
53492 “우리도 그린벨트 풀어달라” 요청에…국토부, 서리풀 지구 확대 ‘난색’ 랭크뉴스 2025.07.09
53491 SNS에 카카오톡 대화 폭로… '나는 솔로' 출연자 벌금형 랭크뉴스 2025.07.09
53490 [속보] 윤 전 대통령 법원 구속영장 심사 시작 랭크뉴스 2025.07.09
53489 "덥다 덥다했는데"…'서울산 바나나' 2년째 '주렁주렁' 무슨일? 랭크뉴스 2025.07.09
53488 安 "쌍권 청산" 吳 "국힘 낙제" 洪 "책임자 퇴출"…독해진 그들, 왜 랭크뉴스 2025.07.09
53487 尹 구속심사 시작…혐의소명·증거인멸 우려 두고 특검과 혈투 랭크뉴스 2025.07.09
53486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배제…“정치적 중립 거듭 위반” 랭크뉴스 2025.07.09
53485 "25년 걸린 부장 자리, 20대 신입은 대표 동생과 사귀고 열달 만에" 랭크뉴스 2025.07.09
53484 법원, ‘尹 내란 특검 구속영장’ 심문 시작 랭크뉴스 2025.07.09
53483 “미국산 쓰라” 트럼프 구리에 50% 관세…구리값 사상 최고치 폭등 랭크뉴스 2025.07.09
53482 '여수 명물' 거북선에 일장기가?... SRT 특실 간식박스 그림 논란 랭크뉴스 2025.07.09
53481 [속보] 코스피 장중 연고점 또 경신…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