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세현·구자현·노만석 등 29기 물망
총장·차관·고검장 '수평 체제' 가능성
'전직' 주영환·예세민·이근수도 거론
"검찰개혁 파고 속 중심 잡을 총장을"
심우정 전 검찰총장이 2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퇴임식에서 퇴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만석(사법연수원 29기) 대검찰청 차장검사 등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 임명된 검찰 지휘부가 4일 업무를 시작했다. 이들은 심우정 전 검찰총장의 후임이 정해지기 전까지 '풍전등화' 검찰 조직을 이끌게 된다. 차기 검찰총장은 법무·검찰 요직에 포진된 연수원 29기 동기를 앉혀 권력을 분산시키는 방안, 윤석열 정부 때 검찰을 떠난 외부 인사 중 신망이 높은 인사를 복귀시켜 안정을 꾀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신임 검찰총장은 검찰 개혁의 파고 속에서 '난파선'의 선장으로 남을지, 단단히 재정비해 새로운 항로로 나아갈 '개척선'의 선구자가 될지 갈림길에 서게 된다.

노만석·박세현·구자현 등 29기 거론… 권력 분산 효과



차기 총장 후보군으로는 연수원 29기 검찰 간부들이 우선 거론된다. 박세현 서울고검장, 구자현 법무연수원 연구위원(검사장),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노만석 대검 차장검사가 대표적이다. 박 고검장은 지난해 12·3 불법계엄 이후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장으로 내란 혐의 수사를 진두지휘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을 구속기소했다.

구 검사장은 정권에 따라 부침이 있었다. 그는 문재인 정부 초기 법무·검찰개혁단장을 지냈고, 이후 법무부 대변인,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 등을 거쳐 법무·검찰 인사와 예산을 총괄하는 법무부 검찰국장에 임명되는 등 탄탄대로를 걸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서는 대전고검 차장검사, 광주고검 차장검사를 거쳐 법무연수원으로 좌천돼 한직에 머물고 있다.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이었던 노 차장검사는 광주지검 특수부장과 인천지검 특수부장 등을 거친 특수통이다. 다만 윤 전 대통령과는 특별한 근무연이 없다. 윤석열 정부 첫 검찰총장인 이원석 전 총장이 4개월간 대검 차장검사로 총장 직무를 대행하다가 총장에 임명된 것처럼 총장 직무대행인 노 차장검사가 총장 자리로 직행할 수도 있다.

이들 가운데 차기 총장이 나오면 검찰총장과 이진수 법무부 차관, 전국 최대 검찰청인 서울중앙지검장인 정진우 검사장 모두 연수원 29기로 채워진다. 검찰 안팎에선 '권력 분산' 차원에서 이 같은 인사를 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검사장 출신의 한 변호사는 "윤석열 총장 때처럼 검찰 권력이 한곳에 집중되는 인사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검찰총장과 법무부 차관에 동기를 임명하면 총장의 위상을 차관급으로 격하시키는 효과도 있다. 인재가 많다는 연수원 29기 인재풀을 활용한다는 명분도 있다.

외부 수혈 가능성도… 누가 돼도 행보 험난



외부인사도 총장 후보로 물망에 오르고 있다. 검사장 출신의 주영환(27기) 예세민(28기) 이근수(28기) 변호사 등이 거론된다. 이들은 모두 문재인 정부 때 검사장으로 승진했고 지난 정부 때 검찰을 떠났다. 주 변호사는 대검 대변인과 검찰총장 직속 부패범죄특별수사단 1팀장 등 요직을 두루 지낸 '특수통'이고, 예 변호사는 기획과 수사 분야 주요 보직에서 실력을 인정받았다. 이 변호사 특수·공안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역량을 드러냈고 봉욱 민정수석의 여의도고 후배다. 문재인 정부에서 검찰국장과 서울중앙지검장을 지낸 이정수(26기) 변호사도 하마평에 오른다.

누가 총장 자리를 꿰차든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여권 강경파는 검찰 수사 기능의 완전한 폐지까지 주장하고 있지만, 검찰 내에선 일부 직접수사 및 보완수사 권한 유지, 사법통제 기능 강화 입장이 우세해 간극이 큰 편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5개 형사재판과 관련해 여권 일각에서 '공소를 취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이에 대한 결정도 차기 총장의 난제로 꼽힌다. 검찰 주변에선 "검찰을 인권보호기관으로 탈바꿈시키는 데 적합한 인물이 발탁되지 않겠느냐"고 보고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812 국민의힘 "민주당 '묻지마 추경' 강행, 협치 걷어찼다" 비난 랭크뉴스 2025.07.05
51811 위성락 안보실장 6∼8일 방미…관세·정상회담 협의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7.05
51810 이재명 대통령, 김상환 헌재소장 임명동의안 국회 제출 랭크뉴스 2025.07.05
51809 민생회복 소비쿠폰, 21일부터 1차 지급…1인당 15~45만원 랭크뉴스 2025.07.05
51808 트럼프, 우크라이나에 패트리엇 지원 재개 시사 랭크뉴스 2025.07.05
51807 [속보] 美관세 유예기간 종료 앞두고…위성락 안보실장 6일 방미 랭크뉴스 2025.07.05
51806 위성락 안보실장 6~8일 방미…한미 정상회담, 관세 논의할 듯 랭크뉴스 2025.07.05
51805 "더운데 마스크 써야 하나"…기침하다 사망하는 '이병' 164배 폭증했다는데 랭크뉴스 2025.07.05
51804 증시 중시하는 李 대통령…"아베노믹스와 비슷" 랭크뉴스 2025.07.05
51803 정부 "2차 추경 속도가 핵심가치"‥3개월 내 85% 이상 집행 랭크뉴스 2025.07.05
51802 尹 표지석에 스프레이로 ‘내란 대통령’…40대 男 검찰 송치 랭크뉴스 2025.07.05
51801 ‘법인카드 유용’ 의혹 이진숙 경찰 출석…“정치적 목적 있어” 랭크뉴스 2025.07.05
51800 7월 5일 대지진? 잠잠한 日… 中 자국민에 “주의하라” 랭크뉴스 2025.07.05
51799 [르포] "감탄이 절로"…처음 공개된 한라산 숨은 비경 '백록샘' 랭크뉴스 2025.07.05
51798 일본 도카라 열도서 ‘대지진설’ 당일 규모 5.4 지진 랭크뉴스 2025.07.05
51797 내란특검,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소환 조사…“체포 방해 조사 마무리” 랭크뉴스 2025.07.05
51796 내란 특검, 윤석열 ‘직권남용’ ‘외환 유도’ 집중 조사 랭크뉴스 2025.07.05
51795 美 텍사스 폭우로 24명 사망…캠프 참가 아동 20여명 연락두절 랭크뉴스 2025.07.05
51794 4년 만에 흑자전환...한전 부활 이끈 주역[2025 100대 CEO] 랭크뉴스 2025.07.05
51793 "정치적 목적 있어" "법카 사적으로 사용 안해"… 이진숙, 경찰 출석 랭크뉴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