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 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중국에서 일정 금액을 내면 밥 메뉴도, 여행지도 무작위로 결정되는 '랜덤 소비' 열풍이 불고 있다. 선택에 지친 소비자들을 공략한 마케팅 전략인데, "걸리는 대로 따르겠다"는 소비자들이 많다 보니 요즘 인기라고 니혼게이자이(닛케이)가 1일 보도했다.

중국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에 사는 쑨 모(36)는 최근 식당에서 '랜덤 조식' 메뉴를 주문했다. 고기·해산물·야채 등 10가지 재료로 만든 요리가 나오는데, 무슨 재료로 요리할지는 요리사 마음이다. 가격은 죽과 음료를 포함해 2인분에 40위안(약 7500원)이었다.

중국에서 일정 금액을 내면 밥 메뉴도, 여행지도 무작위로 결정되는 '랜덤 소비' 열풍이 불고 있다. 오늘 뭘 먹을지 운에 맡기자는 내용의 전단물. 뎬핑 캡처.

쑨의 랜덤 조식으로 나온 건 돼지고기 간장조림과 가지 요리였다. 쑨은 닛케이에 "고른다는 행위가 귀찮았기 때문에 랜덤 메뉴로 주문한 것에 만족한다"고 말했다.

이런 소비 형태를 중국에선 '망허(盲盒·블라인드 박스)'라고도 한다. 정보를 알 수 없어서 값을 치러야만 내용물을 알 수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말한다. 중국 청년보가 대학생 등 청년 1474명을 대상으로 한 최근 조사에서 응답자의 68%가 '망허 소비'에 돈을 쓴 적이 있다고 답했다.

중국 당국은 청소년들이 '망허 소비'로부터 멀어져야 한다고 당부하고 있다. CCTV 캡처


"밀크티 두 잔 값에 비행기 표"

닛케이에 따르면 중국의 한 중소여행사는 출발지만 지정하고 목적지는 랜덤인 여행 상품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신화통신은 "밀크티 두세 잔 값이면 목적지와 날짜가 랜덤하게 지정되는 기차표나 항공권을 살 수 있다"고 소개했다. 미리 여행 계획을 짜기 싫고, 뭐가 나올지 모른다는 기대감에 매력을 느끼는 이들이 주로 이용한다.

저렴한 가격에 혹해 사는 경우도 있다. 류야제는 신화통신에 "28.8위안(약 5450원)을 냈는데 실제 가치는 500위안(약 9만4600원)이 넘는 티켓을 손에 넣었다"고 자랑했다. 중국 국내 여행은 198위안(3만 7400원), 해외여행은 208위안(약 3만 9300원) 등으로 가성비 높은 상품들이 많다고 닛케이가 전했다.

여행에도 랜덤 소비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웨이보

이와 관련, 중국 관영 매체에선 "랜덤 소비는 미성년자에게 해롭다"는 비판이 나왔다. 특히 10대들이 좋아하는 문구류·장난감·피규어·카드 등이 담긴 블라인드 박스의 경우, 원하는 게 나올 때까지 계속 사는 경우가 많아 과소비로 이어지기 때문이란 것이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달 중순 "여름 방학을 앞두고 10대들의 랜덤 소비가 중독 수준이라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람들로 붐비는 중국 베이징의 한 라부부 매장. 최근 인기를 누리고 있는 라부부 인형 역시 랜덤박스 구매가 많다. EPA=연합뉴스

중국 정부는 구매 중독을 우려해 지난 2023년부터 8세 미만은 이런 상품 구매를 금지하고, 8세 이상도 보호자가 동의해야 살 수 있게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마땅한 처벌 규정이 없다는 점이 문제라고 인민일보는 지적했다. 블라인드 박스를 사는데 수천 위안을 쓴 10대도 있다고 한다. 최근 블랙핑크 리사와 가수 리한나 등이 유행시킨 중국 장난감 브랜드 '라부부'도 블라인드 박스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선 블라인드 박스 형태로 판매되는 장난감 브랜드를 비판하는 지적도 나왔다. 웨이보

양푸웨이 시난대 법학과 교수는 인민일보에 "자기통제력이 약한 미성년자들이 이런 소비에 중독되기 쉽다"면서 "실명 인증·안면 인식·보호자 확인 등 검증 시스템을 도입하고, 오프라인 매장도 강력하게 규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643 실업급여 18만7000명 더 받는다…1조3000억원 추경 랭크뉴스 2025.07.05
51642 [속보] 민생회복 소비쿠폰, 21일부터 전 국민 1인당 15만원 지급 랭크뉴스 2025.07.05
51641 이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 김민석 총리 첫 참석 랭크뉴스 2025.07.05
51640 [속보] 내란 특검 "尹 2차 조사 순조롭게 진행‥체포방해 혐의부터 조사" 랭크뉴스 2025.07.05
51639 윤석열, ‘특검팀 통보’ 오전 9시 정각 서울고검 도착 랭크뉴스 2025.07.05
51638 “에펠탑 열쇠고리 안 살 수가 없네요”…한국인 마음 흔든 ‘이 남성’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7.05
51637 전국민에 지급되는 소비쿠폰, 지역·소득별로 금액 다르다? 랭크뉴스 2025.07.05
51636 이민자가 사라지는 미국…성장률 높이겠다는 트럼프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5.07.05
51635 "기름 넣으러 갔더니 폐차하래요"…대기오염 최악인 '이 나라' 주유소서 생긴 일 랭크뉴스 2025.07.05
51634 [속보] 이 대통령, 31.8조 추경 국무회의 의결…“최대한 신속 집행” 랭크뉴스 2025.07.05
51633 안철수, 혁신위 잔혹사 끊나…막말·비하로 빛바랜 역대 혁신위 랭크뉴스 2025.07.05
51632 日 도카라 열도서 규모 5.3 지진…보름간 땅 1220번 흔들렸다 랭크뉴스 2025.07.05
51631 [속보] 이재명 정부 첫 추경 '31조 8천억 원' 국무회의 의결 랭크뉴스 2025.07.05
51630 [속보] ‘31.8조 규모’ 이재명 정부 첫 추경 국무회의 의결 랭크뉴스 2025.07.05
51629 [속보] 이 대통령 첫 '주말 국무회의'... "하루라도 빨리 집행, 경기 회복 도움" 랭크뉴스 2025.07.05
51628 [속보] '31.8조' 이재명 정부 첫 추경 국무회의 의결 랭크뉴스 2025.07.05
51627 尹, 내란특검 2차 출석…오늘도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5
51626 '최고 36도' 폭염의 토요일… 일요일에도 열대야 지속 랭크뉴스 2025.07.05
51625 '혁신의 키' 쥔 비주류 안철수, 이번엔 보수 중심에 서나 [정치 도·산·공·원] 랭크뉴스 2025.07.05
51624 日 도카라 열도에서 규모 5.3 지진… 보름간 1220회 소규모 지진 랭크뉴스 2025.07.05